•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Solving

검색결과 7,087건 처리시간 0.035초

EPL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문제해결 수준이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Perceived Level of Problem Solving on the Performance of Project Completeness in Programming Education)

  • 장윤재;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1-51
    • /
    • 2011
  • 정보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정보교육은 정보과학의 원리와 개념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육과정으로 개정되었다.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알고리즘 사고 학습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의 수준과 능력을 고려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 각 단계가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문제해결 수준에 따른 프로젝트 완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프로젝트 완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과정 각 단계가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문제발견 요인이 프로젝트 완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프로젝트 완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해결과정 단계를 탐색하여, 문제를 발견하는 활동과 반성적 성찰을 통한 문제해결 검토 과정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 PDF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의 문제해결과정 (The Research on PBL Application in Mathematics Method Course)

  • 이광호;장은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2호
    • /
    • pp.91-106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교사 교육과정 수업에 PBL을 적용하여 수업단계별로 초등예비교사들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그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3학년으로 구성된 6명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교실수업을 참여관찰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PBL 1단계 문제 이해 단계에서는 문제 파악하기와 문제해결계획서를 작성하는 활동을 하였다. 기존 문제의 틀에서 벗어난 PBL문제를 만나고 혼란스러워 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토론을 통해 문제해결계획서를 작성하면서 문제가 요구하는 것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게 되었다. PBL 2단계 교육과정탐색단계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탐색과정과 재탐색과정을 가졌다. 학생들은 폭넓은 지식을 접하였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의도하지 않았던 영역에까지 학습영역을 확대하면서 문제해결을 위해 스스로 계획하고 해결하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 PBL 3단계 문제해결단계에서는 최적의 해결책을 선정하고 발표, 공유하였다. 학생들은 많은 자료들 중에서 문제 해결에 가장 적절한 내용을 선별하였으며 PBL을 통해 기존의 학습방법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학습의 특별한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문제중심 스토리텔링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동기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Motiv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Problem Based Storytelling Programming Learning)

  • 구정모;박정호;송정범;배영권;안성훈;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3-32
    • /
    • 2009
  • 현 사회는 치열한 국제 경쟁 속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아이디어를 창출해 낼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프로그래밍은 문제해결능력 신장에 효과적이지만 초등학생에게 지도하기 위해서는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전략이 동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동기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해 문제중심학습과 스토리텔링을 결합한 프로그래밍 학습 모형과 학습지원시스템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였다. 8주간의 실험 처치 후 프로그래밍에 학습동기 및 문제해결능력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 PDF

문제해결과 관련된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분석 (An Analysis on Contents Related to Problem Solving in the 7th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aterials)

  • 방정숙;김상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3호
    • /
    • pp.341-364
    • /
    • 2006
  • 본 논문은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최근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온 문제해결과 관련하여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하여 현재 개정 시안에서 논의되고 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에서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취지를 어떻게 구현하고 관련 세부 내용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문제해결전략, 문제영역, 문제유형별로 문제해결 관련 내용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문제해결과 관련하여 차기 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Knowledge is Key to Variability in Solving Algebraic Word Problems

  • Ng, Swee F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4호
    • /
    • pp.311-325
    • /
    • 2011
  • In this paper I propose that teaching students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problem solving may curtail students' creativity. Instead it is important to arm students with a variety of problem solving heuristics. It is the students' responsibility to decide which heuristic will solve the problem. The chosen heuristic is the one which is meaningful to the students.

초등 영재의 페르미 추정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분석 (Elementary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Through Fermi Estimate)

  • 허정인;노지화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167-181
    • /
    • 2024
  •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combining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eir work on Fermi estimation problems. The analysis revealed that gifted students exhibited strong logical validity and breadth but showed some weaknesses in divergent thinking abilitie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Individual Strategies for Problem Solving

  • Revathy Parameswar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11-24
    • /
    • 2005
  • Problem solving is an important aspect of learning mathematics and has been extensively researched into by mathematics educator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ifficulties students encounter in various steps involved in solving problems involving physical and geometrical applications of mathematical concepts. Our research shows that, generally students, in spite of possessing adequate theoretical knowledge, have difficulties in identifying the hidden data present in the problems which are crucial links to their successful resolutions. Our research also shows that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solving problems involving constructions and use of symmetry.

  • PDF

A Face Optimization Algorithm for Optimizing over the Efficient Set

  • Kim, Dong-Yeop;Taeho Ahn
    • 경영과학
    • /
    • 제15권1호
    • /
    • pp.77-85
    • /
    • 1998
  • In this paper a face optimization algorithm is developed for solving the problem (P) of optimizing a linear function over the set of efficient solutions of a multiple objective linear program. Since the efficient set is in general a nonconvex set, problem (P) can be classified as a global optimization problem. Perhaps due to its inherent difficulty, relatively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problem (P) in spite of the potential benefits which can be obtained by solving problem (P). The algorithm for solving problem (P) is guaranteed to find an exact optimal or almost exact optimal solution for the problem in a finite number of iterations.

  • PDF

수학실 중심의 수준별 단계학습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ep learning according to level mainly performed at math room on the growth of problem-solving ability)

  • 박기석;신숙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79-91
    • /
    • 1999
  • The aim of this study focused on student-centered learning not teacher-centered teaching in middle school math class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eck the growth of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learning attitudes and changes in learning motivation among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1) The controlled group a heterogeneous group which had classes in a math room, had more meaningful growth than the uncontrolled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the high-leveled group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low-leveled group. 2) The controlled group has shown meaningful difference in their mean in learning aptitude test and attitude test converted their score into 100 points than uncontrolled group, and various kinds of learning materials suitable for problem solving are proved as a good learning factor to induce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 3) Students prefer to have classes in a math room to the small-sized and large-numbered classrooms. The atmosphere in a math room is more suitable to improving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is context, the classes performed in a math room are fairly positive. Consequently, students' leveled learning activities performed in a math room can get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attention from those who are lack of interest and think math is difficult and be effective to increase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as a learning method for acquiring the whole course of solving the problems.

  • PDF

비선형계획법을 이용한 대규모 선형계획해법의 개발 (Development of Nonlinear Programming Approaches to Large Scale Linear Programming Problems)

  • 장수영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1-142
    • /
    • 1991
  • The concept of criterion function is proposed as a framework for comparing the geometric and computation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nonlinear programming approaches to linear programming such as the method of centers, Karmakar's algorithm and the gravitational method. Also, we discuss various computational issues involved in obtaining an efficient parallel implementation of these methods. Clearly, the most time consuming part in solving a linear programming problem is the direction finding procedure, where we obtain an improving direction. In most cases, finding an improving direction is equivalent to solving a simple optimization problem defined at the current feasible solution. Again, this simple optimization problem can be seen as a least squares problem, and the computational effort in solving the least squares problem is, in fact, same as the effort as in solving a system of linear equations. Hence, getting a solution to a system of linear equations fast is very important in solving a linear programming problem efficiently. For solving system of linear equations on parallel computing machines, an iterative method seems more adequate than direct methods. Therefore, we propose one possible strategy for getting an efficient parallel implementation of an iterative method for solving a system of equations and present the summary of computational experiment performed on transputer based parallel computing board installed on IBM P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