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iotic

검색결과 908건 처리시간 0.039초

프로바이오틱스와 유산균 제품의 균수 함량과 보존방법에 따른 변화 연구 (Investig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ontent of Probiotic and Lactic Acid Bacteria Products: a Study on Changes in the Preservation Method of Probiotic Products)

  • 김영수;황선일;김상태;한나은;김혜영;김현수;박광희;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74-482
    • /
    • 2018
  • 연구는 2017년 국내에서 유통되는 유산균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과 가공식품 120건에 대하여 프로바이오틱스 함량, pH와 산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중 프로바이오틱스 5개 제품에 대한 보존방법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85건 중 2건이 표시량이하였고, 가공식품 35건은 모두 적합이었다.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프로바이오틱스수, pH, 산도 평균은 각각 $1.2{\times}10^{10}CFU/g$ (표시량: $3.4{\times}10^9CFU/g$), 5.35, 1.29%이었으며, 가공식품 중 유산균 함유량 표시 식품 17건의 유산균수 평균은 $5.8{\times}10^8CFU/g$이었다. 프로바이오틱스 5제품의 보존온도($-20^{\circ}C$, $4^{\circ}C$, $20^{\circ}C$, $40^{\circ}C$)와 보존기간(1, 3, 6개월) 경과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함량 변화를 관찰한 결과, 보존기간 1개월에서 6개월 후 프로바이오틱스수 감소율은 평균 59%이었고, $4^{\circ}C$에서 가장 낮은 감소율과 $40^{\circ}C$에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5개 제품 중 3제품에서 보존기간 1개월에서 3개월 경과 후 $40^{\circ}C$에서 70%이상 급격한 균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보존온도와 보관기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할 때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냉장보관을 권장하며 구입 후 되도록 단기간에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생균제와 항생제가 병아리의 성장과 장내세균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biotic and Antibiotic on the Performance of the Chickens and Population of Intestinal Microfloras)

  • 남궁환;손익승;정진성;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9-55
    • /
    • 1986
  • 닭에 대한 생균제 및 항생제의 성장촉진 효과 및 장내세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산란계 숫병아리 180수를 무첨가 대조구, 항생제구(virginiamycin 5ppn), 생균제구로 나누어 처리당 60수를 10수씩 battery에 완전 임의배치하여 사양실험을 하고 이어서 대사시험과 장기관 무게 및 소장내용물의 세균총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에는 처리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항생제구가 생균제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좋았다 (P〈0.01).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NEE, Ca, P의 이용율에 있어서는 처리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조섬유의 이용율은 항생제구가 유의하게 낮았다 (P〈0.05). 대사체중당 소장의 무게는 항생제구가 타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가벼웠다 (P〈.0.05). 맹장의 무게에 있어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생균제구가 타 처리구에 비해 가벼운 경향이 있었다. 소장내용물의 세균총 변화는 생균제를 급여 한 구에서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i 의 수가 타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P〈0.01) 많았으며 Coliforms 의 수는 생균제와 항생제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 (P〈0.01).

  • PDF

혼합 생균제 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 혈액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

  • ;전충환;최인학;이혁준;주영호;이성신;김동현;김삼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67-976
    • /
    • 2017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 was investigated. A total of 32 Hanwoo steers (15-17 months, average body weight $462{\pm}37.9kg$) were randomly allotted to 4 dietary treatments (0, 0.5, 1.0, and 1.5% mixed probiotics), with four Hanwoo steers per pen (two replicates per treatments), and reared for 12 month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growth performance of Hanwoo steer (P>0.05); however, feed intake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levels of mixed probiotics. Growth hormone and Blood Urea Nitrogen (BUN) levels responded linearly with increasing levels of dietary mixed probiotics (P<0.05), but not insulin and blood glucose did not. In particular,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1% mixed probiotic treatment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other treatments (P<0.05). The pH,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oking loss, and meat color were influenced by increasing levels of mixed probiotics (P<0.05), but th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hear force were not. Regarding sensory evaluation, the addition of mixed probiotics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t color, tenderness, aroma, off-flavor, juiciness, and marbling score, but not in overall acceptability. In addition, fatty acid profiles indicated no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mixed probiotic treatments. In conclusion, mixed probiotic treatment at 1% levels can enhance consumer preferences possibly by reducing cholesterol and TBARS.

Probiotic 기능을 가진 미생물을 함유한 양어용 생균제가 넙치의 성장, 선천성면역 및 항병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biotic Microbes on Growth Performance, Innate Immunity, and Pathogen Sensitivity in Cultured Olive Flounder)

  • 이지훈;채영식;박정진;최준호;김동건;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1-49
    • /
    • 2017
  • 생균제는 성장촉진, 면역증진 및 질병예방에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의 양식에서 우수한 생산효과로 적용될 수 있다. 성장률, 선천성면역 및 항병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생균제의 효과를 조사하기위해 Bacillus subtilis, Bacillus licheniformis 및 Lactobacillus plantarum (BSL-LAB)이 혼합되어있는 생균제와 NBS (nitrifying bacteria con- sortium) 분말을 사료에 첨가 또는 수조에 투입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생균제 첨가사료는 7주간 투여하였고 3가지의 생균제 조합 시험군 모두에서 넙치의 성장과 항병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유효성을 발휘 하였다. 어병세균에 대한 항병력의 긍정적인 결과는 생균제에 대한 면역기능의 향상으로 나타난 효과이며 상기 시험결과로 볼 때, 넙치치어 양식에서 생균제의 혼합첨가는 성장 및 선천성면역 뿐만 아니라 질병저항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aenorhabditis elegans 생체대체모델을 이용한 한국 영유아분변 유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의 in vivo 장 우점능 검토 (Rapid in vivo Colonization Screening of Probiotic Bacteria Isolated from Human Infants using Caenorhabditis elegans Surrogate Host)

  • 박미리;정은선;오상남;송민호;두재균;정용섭;문용일;김영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22-530
    • /
    • 2013
  • Probiotic 기능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9개월 미만의 모유수유아로부터 100종의 Lactobacillus균을 분리하였다. C. elegans를 이용한 in vivo 실험으로 장내 우점능을 검사하여 L. rhamnosus GG와 비교했을 때 다른 균주들보다 상대적으로 장환경에 대하여 우수한 우점특성을 갖는 probiotic 유산균주 9종을 선발하였다. Mucin을 이용한 in vitro 부착능력 검토결과, L. rhamnosus GG대비 90% 이상의 부착능을 보였으며, pH 2.5에서의 내산성 및 0.5% oxgall을 함유한 내담즙성에서 각각 97% 이상과 99%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또, 81% 이상의 높은 콜레스테롤 저해능과 다양한 prebiotics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L. rhamnosus 4종, L. plantarum 5종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in vivo 실험을 통해 우선 선발한 균주들이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서 요구되는 조건을 우수하게 충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in vivo 모델로서 C. elegans을 이용한 장내우점능력 검토는 내산성, 내담즙성, 콜레스테롤 저하, 그리고 prebiotic 기질 이용능 등의 고기능성의 probiotic 균주 선발에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남은 음식물 사료와 생균제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d Waste feed and Probiotics Supplement on Productivity in Layer Chicks)

  • 양철주;;박일철;김광현;고흥범;이봉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1호
    • /
    • pp.102-112
    • /
    • 2003
  • 본 실험은 산란계에서 남은 음식물사료에 생균제를 첨가할 경우 난의 생산율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사양시험은 일반 사료만으로 구성된 대조구와 Food 30% + Protein 30% + Probiotics (0%, 0.5%, 1.0% 및 1.5%)로 구성된 첨가구로 총 5처리 4반복으로 반복당 6수로 120수를 6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산란률은 생균제 1.5%첨가구가 평균 산란율 97.9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대조구와 생균제 첨가구들 사이의 난중은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P>0.05). 산란량은 생균제 0% 첨가구가 60.40으로 가장 높은 산란량을 보여주었다 (P<0.05). 생균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백색도 (L), 적색도 (a), 황색도 (b) 대조구에 비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적색도(a)에서는 생균제 0%, 0.5%, 1.0% 및 1.5% 첨가구가 각각 5.35, 6.25, 5.23 및 4.75로 대조구 -0.17에 비해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P<0.05). 하우 유니트(HU)는 생균제1.5% 첨가구의 수치가 63.41로 가장 높았으며 생균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하우 유니트(HU)는 증가하였다 (P<0.05).

  • PDF

프로바이오틱 Pediococcus pentosaceus BCNU 9070 균주 (Probiotic Potential of Pediococcus pentosaceus BCNU 9070)

  • 신화진;최혜정;김동완;안철수;이영근;정영기;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194-1200
    • /
    • 2012
  • 유산균은 일반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 알려져 있다. 가능성이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는 세포결합과 부착능 즉, 장상피세포 부착능 및 세포표면의 소수성이 기초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몇몇의 토착 유산균을 분리하였으며, 세포표면 소수성에 근거한 가능성이 있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산균 한종을 선발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균주로서 선별한 분리균주(BCNU 9070)의 16S 리보좀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Pediococcus pentosaceus에 속하는 균주임이 확인되었다. P. pentosaceus BCNU 9070 균주는 위액과 담즙산에 대하여 내성을 가졌으며 또한 Listeria monocytogenes 및 Shigella sonnei를 포함하는 6종의 식중독 병원균에 대하여 생육저해활성도 나타내었다. 게다가 P. pentosaceus BCNU 9070 균주는 담즙산 가수분해활성 및 콜레스테롤 동화능도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들 결과를 기초로, P. pentosaceus BCNU 9070은 기능성 식품에 적용가능한 천연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Effect of Saccharomyces boulardii CNCM-I 3799 and Bacillus subtilis CU-1 on Acute Watery Diarrhea: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in Indian Children

  • Ghosh, Apurba;Sundaram, Balasubramaniam;Bhattacharya, Piyali;Mohanty, Nimain;Dheivamani, Nirmala;Mane, Sushant;Acharyya, Bhaswati;Kamale, Vijay;Poddar, Sumon;Khobragade, Akash;Thomas, Winston;Prabhudesai, Sumant;Choudhary, Ankita;Mitra, Monjori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4권5호
    • /
    • pp.423-431
    • /
    • 2021
  • Purpose: To assess the effect of combination probiotic Saccharomyces boulardii CNCM-I 3799 and Bacillus subtilis CU-1 in outpatient management of acute watery diarrhea in children. Method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as conducted in 180 participants aged six months to five years with acute mild to moderate diarrhea. All were enrolled from six centers across India and centrally randomized to receive S. boulardii CNCM-I 3799 and B. subtilis CU-1 or a placebo along with oral rehydration salts and zinc supplementation. Each participant was followed up for three months to assess recurrence of diarrhea.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diarrhea in the probiotic and placebo groups were 54.16 hours and 59.48 hours,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diarrhea in those administered with probiotic or placebo within 24 hours of diarrhea onset was 25.21 hours. Furthermore, the difference in duration of diarrhea was 13.84 hours (p<0.05) for participants who were administered with probiotics within 48 hou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ool frequencies between the two arms. After three months, 15% in the probiotic group and 18.5% in the placebo group reported episodes of diarrhea. The mean duration of diarrhea was considerably lower in the probiotic group, 31.02 hours versus 48 hours in placebo (p=0.017). Conclusion: S. boulardii CNCM-I 3799 and B. subtilis CU-1 combinat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duration of diarrhea when administered within 48 hours of diarrhea onset. Similarly, it reduced recurrence of diarrhea and its intensity in the subsequent three months.

Inhibitory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on harmful enzymes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 Han, Seung-Bae;Kim, Dong-Hy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26.3-227
    • /
    • 2003
  • Lactic acid bacteria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ost beneficial probiotic organisms contributing to inhibition of harmful and putrefactive intestinal bacteria. Among them, Bifidobacterium spp.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beneficial probiotic organism that can improve the health of humans, since it is one of the major bacteria flora in human intestine. However, the harmful enzyme-inhibitory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of Kimchi, which is a representative Korean fermented food has not been evaluated. (omitted)

  • PDF

HOW TO DEVELOPE NEW PRO BIOTIC WITH ANTI Helicohacter pylori FUNCTION

  • Lee Yeonhe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ood,Nutrition and Health for 21st Century
    • /
    • pp.161-169
    • /
    • 2001
  •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baby feces and characterized to be used as a probiotic with anti Helicobacter pylori functions. The selected bacteria had inhibition activity on the adherance and growth of H. pylori. These bacteria had additional beneficial characteristics for the probiotic such as antibacterial activity, antitumor activity, immunostimulation activity, resistance to antibiotic and bile salt, ability to bind to the intestinal cells, and safe for the human u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