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cy risk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8초

TSSEM을 이용한 정보 프라이버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Information Privacy Using TSSEM)

  • 김종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149-156
    • /
    • 2019
  • 정보기술의 활용이 보편화되면서 대중과 연구자 모두 정보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연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연구결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과거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정보 프라이버시 연구에 핵심적인 네 가지 연구개념을 두 가지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기존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TSSEM이라는 정량적 메타분석 기법이 적용되었는데, 이 기법은 MASEM의 한 가지로서 구조방정식모형과 메타분석 기법을 통합하여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분석결과는 위험 중심적 모형이 염려 중심적 모형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모형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통적인 염려 중심적 모형의 설명력에 의문을 제시하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정보 제공의도를 설명하기 위하여 위험 중심적 모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mong Facebook Users

  • Chon, Bum Soo;Lee, Jeong-Ki;Jeong, HyeonJu;Park, Jowon;Park, Jonghwa
    • ETRI Journal
    • /
    • 제40권1호
    • /
    • pp.146-155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redictors of the intention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n Facebook.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679 Facebook user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usefulness and ease of us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ttitudes toward protection behavior.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risk factors (privacy risk severity and vulnerabi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otective behaviors. Based on our findings, we discussed the information protection of privacy on Facebook.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의 프라이버시 위험 대응에 있어 사용자 감정(Affect)의 역할 (An Investigation of a Role of Affective factors in Users' Coping with Privacy Risk from Location-based Services)

  • 박종화;정윤혁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01-213
    • /
    • 2020
  • 위험에 대한 인간의 반응은 인지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서적 요인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다는 경험적 연구에도 불구하고, 정보 프라이버시 연구에서는 감정적 요인의 역할이 제대로 규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정서적 관점에서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위험에 대한 대응행위를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세 가지 유형의 개인정보 위협(수집, 해킹, 2차 사용), 두 가지 감정적 반응(걱정, 분노) 및 대응행위(지속적인 사용의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사용자 552 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정 개인정보 위협에 대한 인식과 특정 감정적 반응의 결합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연관규칙(association rule)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위험에 대한 인식과 정서적 반응의 결합에 따라 사용의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체로 개인정보의 2차 사용에 대해 분노의 감정이 유발될 경우 사용의도가 가장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보 프라이버시 사용자 연구에 감정적 요인을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인지적 접근방식 편향을 보완하고 프라이버시 대응행위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프라이버시 계산 관점에서 위치기반서비스 이용의도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의 영향 (Influence of Privacy Concerns on Intention to Use Location-based Services Based on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 김종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265-272
    • /
    • 2017
  • 스마트폰의 위치기반서비스가 활발히 사용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자신의 위치정보의 노출에 대한 염려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에 기반하여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자신의 위치정보의 제공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확인하고자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SmartPL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프라이버시 계산 관점의 기존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얻었다.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은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이며, 위험과 효과 측면을 고려하여 프라이버시 정보의 제공을 결정한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프라이버시 염려는 위험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나, 사용의도는 효과에 의해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적 판단과 행동적 판단이 서로 상이한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행동경제학적 관점과 일치한다.

IoT 기반 스마트 홈카메라 이용환경에서의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에 관한 연구: 사용경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ivacy Paradox in the IoT-based Smart Home Camera Usage Environment: Focusing on a Comparative Study of User Experience)

  • 루진단;권순동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6호
    • /
    • pp.145-161
    • /
    • 2021
  • Recently, as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devices such as Io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wearable devices that focus on the individual have spread, privacy violations are also increasing. However, the privacy paradox of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to enjoy services while worrying is getting stronger. However, there are still preliminary studies on this. In this study, an intelligent home camera based on IoT technology was selected as a research object, and whether privacy paradox exists in the IoT environment, including smart home camera, was studied. To this end,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 benefit factor of smart home camera use, and privacy concern, a risk factor, on intention to use was verified.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intention to use diff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 experienc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people with and without experience in using smart home cameras, and a total of 298 data sampl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rivacy concer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proving that privacy paradox exists in the IoT-based smart home camera environment.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fact that privacy concerns have different effects on usage intentions depending on the user experience, it was verified that those with experience have a strong privacy paradox and those without experience have a weak privacy paradox.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eeks strategic implications to improve service and business performance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attitudes and behaviors of IoT service providers, including smart home cameras.

A Pervasive P3P Negotiation Mechanism for Robust Ubiquitous services

  • Kwon, Oh-Byu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11-416
    • /
    • 2007
  • Only a few P3P-based privacy aware systems address the discrepancy between a service provider's privacy policy and the user's typical concerns-hence, putting service usage at risk. Moreover, since users are typically nomadic in pervasive computing services, their specific privacy concerns would dynamically chang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context. This leads us to develop a dynamically adjusting P3P-based policy for a personalized, privacy-aware service as a core element of secure pervasive computing. H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pervasive P3P-based negotiation mechanism for privacy control which functions in a dynamic and flexible way.

  • PDF

A Trajectory Substitution Privacy Protection Scheme in location-based services

  • Song, Cheng;Zhang, Yadong;Gu, Xinan;Wang, Lei;Liu, Zhizh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9호
    • /
    • pp.4771-4787
    • /
    • 2019
  • Aimed at the disclosure risk of mobile terminal user's location privacy in location-based services, a location-privacy protection scheme based on similar trajectory substitution is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anonymized identities of users and candidates who request LBS, this scheme adopts trajectory similarity function to select the candidate whose trajectory is the most similar to user's at certain time intervals, then the selected candidate substitutes user to send LBS request, so as to protect user's privacy like identity, query and trajectory. Security analyses prove that this scheme is able to guarantee such security features as anonymity, non-forgeability, resistance to continuous query tracing attack and wiretapping attack. And the results of simulation experiment demonstrate that this scheme remarkably improve the optimal candidate' trajectory similarity and selection efficiency.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지각된 위험이 지각된 가치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Affecting Perceived Valu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 단려니;정철호;박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3호
    • /
    • pp.13-21
    • /
    • 2012
  • 본 연구의 주목적은 전자상거래 환경 하에서 지각된 위험요인이 고객의 지각된 가치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문헌 고찰결과를 토대로 전자상거래 이용자의 지각된 위험으로 프라이버시 위험, 시간적 위험, 경제적 위험, 심리적 위험, 상품성능 위험 등 여섯 가지 요인을 설정하였고, 전자상거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지각된 가치와 재구매의도를 포함한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자상거래 이용자 174명으로부터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공분산 구조모델 분석을 통해 가설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지각된 위험 중 프라이버시 위험, 경제적 위험, 심리적 위험, 상품성능 위험 등 네 가지 요인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가치는 전자상거래 쇼핑몰의 재구매의도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고객의 지각된 가치와 재구매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스마트시티 위험요인과 저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City Risk Factors and Resistance)

  • 박현애;유영천;이환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5-28
    • /
    • 2020
  • 스마트시티는 기존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큰 기대를 받고 있으나, 보안위험 증가에 우려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보안위험 인식에 따른 스마트시티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4차산업혁명 기술 활성화 및 스마트시티의 발전을 위해서도 개선해야 하는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각된 위험 이론과 사용자 저항이론을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내 위험요인과 스마트시티 저항 태도 간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288명의 연구 표본을 대상으로 한 실증 분석결과에 따르면, 보안 위험, 사회적 위험, 신체적 위험요인은 스마트시티 저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경제적, 성능, 사생활 침해에 대한 위험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안위험이 다른 위험에 선행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스마트시티 환경에서는 사생활 침해 위험과 보안 위험에 대해 구분해서 논의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인들 관점에서 스마트시티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논의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활성화를 위해 보안 및 안전 문제와 더불어 사회적 교류를 위한 정책적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1인 미디어의 지각된 위험 및 상호작용성이 사용자 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and Interactivity on User's Satisfaction and Commitment in Personal Media)

  • 정영수;정철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8권1호
    • /
    • pp.125-156
    • /
    • 2009
  • 본 연구의 주목적은 1인 미디어 사용자의 만족과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요인을 구체화시켜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인 미디어, 지각된 위험 및 상호작용성, 그리고 만족과 몰입 등에 관한 종합적인 문헌고찰 결과를 토대로 연구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인 미디어 사용자의 만족과 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특성요인으로 프라이버시 위험, 사회적 위험, 시간적 위험, 경제적 위험 등을 포함하는 지각된 위험과 능동적 통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반응성 등을 포함하는 지각된 상호작용성의 크게 두 가지 범주를 제안하였다. 설문조사 수행 결과, 1인 미디어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428명의 표본으로부터 응답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SPSS 15.0과 AMOS 5.0 등의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측정모델분석, 그리고 구조모델분석 등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라이버시 위험, 능동적 통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반응성의 네 가지 요인이 사용자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프라이버시 위험, 시간적 위험, 경제적 위험, 능동적 통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의 다섯 가지 요인이 사용자의 몰입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인 미디어 사용자의 만족은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관련분야 연구자들을 위한 이론적인 시사점과 1인 미디어 활성화 및 마케팅 전략을 위한 관리적 차원의 함의를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