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cy risk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7초

오픈 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 노출 위험 측정을 위한 통계적 방법론 연구 (A Statistical Methodology Study for Measuring Privacy Disclosure Riskin Open Data Environment)

  • 김시은;엄익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4권2호
    • /
    • pp.323-333
    • /
    • 2024
  • 최근 합성데이터는 실제 데이터의 패턴과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프라이버시 유출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그에 따라 합성데이터 활용에 대한 기술적 및 제도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명확한 표준과 지침이 부재하여 합성데이터 기술의 적극적 활용이 어렵다. 본 연구는 합성데이터의 개인정보 노출 위험 정량화를 위한 전초적 연구로 통계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개인정보 노출 위험 정량화 지수를 도출하고 유럽 개인정보 보호 규정(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를 준수하기 위한 구체적인 적용 방안을 제시한다. 오픈 데이터 환경에서 본 연구의 개인정보 노출 위험 지수를 통해 개인정보 노출 위험을 인식하고 데이터 활용성과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과잉이 정보프라이버시 보호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ormation Overload to Information Privacy Protective Response in Internet of Things(Iot))

  • 소원근;김하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1호
    • /
    • pp.81-94
    • /
    • 2017
  • 사물인터넷, 빅 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정보과잉시대를 맞이하여 개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데이터가 수집되고 정보가 처리된다. 연구의 목적은 개인정보과잉이 정보프라이버시 위험,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수집, 통제, 인식)와 개인정보 프라이버시보호반응에 관련된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정보과잉은 정보프라이버시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정보과잉은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수집, 통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프라이버시 위험은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의 수집,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통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과잉으로 인한 개인정보가 개인의도와 다르게 정보가 다른 방향으로 이용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정보위험을 개인정보사용자는 정보의 수집과정에서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보에 대한 통제는 개인정보사용자가 가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 정보프라이버시 염려(통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수집, 인식)는 정보프라이버시 보호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프라이버시(통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개인정보사용자는 개인정보과잉으로 인해 정보침해를 염려하고 있으며, 자신의 정보에 대한 보호능력이 강해질 것이다.

  • PDF

소비자의 쇼핑 가치와 위험지각 연구 - 인터넷 경매에서 경매 이용자를 중심으로 - (Pursuit of Shopping Value and Risk Perception in Consumers Participating in Internet Auction)

  • 최영희;이은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95-11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hopping values(utilitarian and hedonic values) sought and the risks(economic, functional, socio-psychological, and privacy) perceived by consumers who participate in Internet auctions by determin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shopping values and risk perceptions.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by an Internet survey of netizens who were interested in and had experience in Internet auction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ubjects through an Internet survey site and at an Internet auction cafe.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showed a slightly greater pursuit of a utilitarian value than a hedonic outcome in their Internet auction practices; however the outcomes pursued by consumers in their teens and twenties tended to be more hedonic than utilitarian. Consumers with a higher level of innovation, self-confidence in purchase, and need for information searching showed a greater pursuit of utilitarian and hedonic outcomes. The group of consumers with a higher expectation for legal protection pursued a more utilitarian outcome, whereas the group of consumers with higher influence from the reference group pursued a more hedonic outcome. The consumers showed that they perceived functional risk as boing most serious, followed by privacy risk, economic risk, and socio-psychological risk. Subjects with higher degrees of innovation, self-confidence in purchase and self-control perceived economic risk as critical. Functional risk was perceived to be highest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self-control and a need for information searching, whereas socio-psychological risk was perceived to be highest in the group of consumers showing more self-control. Privacy risk was perceived to be highest in the group of consumers with a higher degree of innovation and lowest in both groups of higher and lower affection. Both economic and privacy risks were perceived to be lower in the group of lower pursuit of a hedonic outcome.

개인정보 영향평가 사례 연구 -K병원의 영향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Privacy Impact Assessment -Focus on K hospital Privacy impact assessment case-)

  • 전동진;정진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149-157
    • /
    • 2012
  • 개인정보보호법이 새로 제정이 되어 기업 및 기관에서 이에 대한 준비와 대책 마련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정보시스템에 대하여 개인정보 침해의 위협을 사전에 예방 및 점검을 수행하는 개인정보영향평가를 K병원의 분석 사례를 통해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K병원의 개인정보 영향평가 분석을 수행한 결과 평가영역별로는 대상기관관리체계는 79.0, 대상시스템의 보호수준은 97.9, 개인정보처리단계의 결과는 67.4이고 CCTV는 90.0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보호수준이 가장 낮은 항목은 개인정보생명주기관리 항목의 저장 및 보유단계 50.0, 이용 및 제공 64.1 및 파기 단계 66.7로 나타났다. 위험도 분석결과 고위험도 항목은 개인정보처리구역 항목 11.0과 개인정보생명주기 영역의 저장 및 보유단계 항목이12.5, 파기단계 항목이 13.0으로 높은 수치가 나왔다. 종합적으로 보면 고위험도이면서 저보호수준인 항목은 저장 및 보유단계와 파기단계로 파악이 되었다.

빅데이터 시대의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과 정책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Research on Information Privacy Risks and Policy Model in the Big data Era)

  • 박천웅;김준우;권혁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1-145
    • /
    • 2016
  • 최근 빅데이터와 같은 디지털 환경으로 다양한 정보 매체를 통해 정보와 지식을 생산되고 있는 반면 이렇게 생산된 정보가 법적인 테두리를 벗어나 무분별하게 확대되고 재생산 되는등 정보의 역기능 역시 커지고 있다. 특히, 개인정보의 경우 기존의 목적 외에 사용되거나 잘못된 형태로 사용이 되면 피해가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개인 스스로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공유하고 있는 이유는 기업이나 조직이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지켜줄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위험과 이를 억제하는 정책이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과 정책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신뢰,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빅데이터 시대에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을 낮추고 정책을 명확하게 제시한다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낮아지고 기업에 대한 신뢰가 높아져 개인정보를 제공할 것이라는 것을 밝혔다.

사물인터넷(IoT)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위험 분석 프레임워크 (Risk Analysis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in IoT Environments)

  • 이애리;김범수;장재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62
    • /
    • 2016
  • In Internet of Things (IoT) era, more diverse types of information are collected and the environment of information usage, distribution, and processing is changing. Recently,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cases involving breach and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in IoT services, for examples, including data breach incidents of Web cam service or drone and hacking cases of smart connected car or individual monitoring service. With the evolution of IoT, concerns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has become a crucial issue and thus the risk analysis and management method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prepared. This study shows risk factors in IoT regarding possible breach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nfringement of privacy. We propose "a risk analysis framework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in IoT environments" consisting of asset (personal information-type and sensitivity) subject to risk, threats of infringement (device, network, and server points), and social impact caused from the privacy incident. To verify this proposed framework, we conducted risk analysis of IoT services (smart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car, smart healthcare, smart home, and smart infra) using this framework.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identified the level of risk to personal information in IoT services and suggested measure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nd appropriately use it.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지각된 위험이 지각된 가치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단려니;정철호;박경혜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10년도 춘계국제학술대회
    • /
    • pp.203-212
    • /
    • 2010
  • The mam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erceived risk elements influence to customers' perceived valu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the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To achieve the goal, we set 6 sub-dimensions - privacy risk, social risk, time loss risk, economic risk, psychological risk, and performance risk - based on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related studies, and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included 2 factors such as perceived value and repurchase intention to measure performance in internet shopping malls. From 174 customers of the electronic commerce shopping malls survey data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ovariance structural model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ive perceived risk characteristics of privacy risk, time loss risk, economic risk, psychological risk, and performance risk a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Secondly, perceived value IS very significantly related to repurchase intention in electronic commerce shopping malls. Consequently, we discussed the strategies to create perceived valu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Also we suggested the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 PDF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 프라이버시 우려에 관한 연구: 운동추적기 사례를 중심으로 (Users' Privacy Concerns in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e Case of Activity Trackers)

  • 배진석;정윤혁;조우제
    • 지식경영연구
    • /
    • 제16권3호
    • /
    • pp.23-40
    • /
    • 2015
  • 최근 등장한 IoT(Internet of Things)는 개인과 기업에게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공해 줄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IoT의 정착은 빅데이터를 생성시키는 환경을 만듦으로써, 빅데이터분석을 통해 사회전반에 걸쳐 효율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서비스 창출의 기반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IoT 기술이 새로운 가치를 제공해 주는 이면에, 다양한 프라이버시 침해요소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사용자가 IoT 서비스를 사용할 때 느낄 수 있는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는 장기적으로 사용자의 수용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IoT 산업의 빠른 발전속도에 제동을 걸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oT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프라이버시 침해를 세 가지 측면(기술적 위협, 서비스제공자의 위협, 정책에 대한 신뢰)에서 살펴보고 프라이버시 우려에 미치는 영향 수준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스마트홈 사용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User Attitude Toward Smart Home)

  • 이미숙;정갑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57-169
    • /
    • 2018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user attitude toward Smart Home service as the demand of Smart Home service is increasing and it somewhat involves privacy risk. To this end, the research model includes five independent variables, trust in service provider, perceived privacy risk, self efficacy, interpersonal influence, and external influence,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Smart Home service. So,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ich variable is the most critical and influential among the five factor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Smart Home industries. This study first reviews the literature on Smart Home services and describes its Korean situ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residents living in a smart apartment complex. The results show that (1) users have a very positive attitude toward Smart Home service in total, (2) trust in service providers, self efficacy, and interpersonal influence positively impact user attitude toward Smart Home service and interpersonal influence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however, (3) perceived privacy risk and external influence dose not significantly impact i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ole of service providers, self efficacy, and interpersonal influence are important factors on the user attitude toward Smart Home service. Finally, the study's finding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and potential avenue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협업적 의사소통을 통한 B2C 웹사이트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 활동의 성과에 관한 연구: 장기 관계적 성과 관점을 중심으로

  • 이상훈;이호근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93-51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effect of communication strategy as effectively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decreasing Internet Web site users' perceive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s important factor affecting to positive behavior or behavioral intentions on long-term relational outcome perspectives.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s concepts and causal relationship about information privacy issues. First, it addresse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trategy (CCS) model of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for Web site's IPP to users. Second, it provided comparing and integrating streams of information privacy research on long-term relational outcomes perspective. Third, it assessed effectiveness of Web site's IPP on organization legitimacy ensured continuous survival of organization.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and subsequent hypotheses were empirically tested with partial least square (PLS) based on 684 responses from the users of 21 Internet Website among entirely finance, recruit, portal /e-store Web site. It was learned that CCS(as a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tionship quality(representing long-term relational outcomes)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creasing user's IPC more than privacy risk. Also, legitimacy to information privacy practic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illingness to information providing more than negative effect of IPC. Lastly, their association strength was partially moderated by the type of real information sensi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