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sm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33초

개선된 PRISM 모형을 이용한 고해상도 일강수량 추정 (Estimation of High Resolution Daily Precipitation Using a Modified PRISM Model)

  • 김종필;이우섭;조현곤;김광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139-115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M-PRISM 모형을 이용하여 $1km{\times}1km$ 공간해상도 일강수량 추정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M-PRISM 모형 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잭나이프 방법을 이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기상청 385개 강수 관측지점에 대하여 M-PRISM을 이용하여 일강수량을 추정하고 PRISM 모형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강수의 정량적 크기를 추정에서는 두 모형에서 뚜렷한 차이를 찾아볼 수 없었으나, 강수의 발생빈도 추정에 있어서는 M-PRISM 모형이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M-PRISM 모형은 고해상도의 일강수량을 추정함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ight Output Characteristics of Rounded Prism Films in the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 Lee, Won-Gyu;Jeong, Jin-Ha;Lee, Ji-Young;Nahm, Kie-Bong;Ko, Jae-Hyeon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7권4호
    • /
    • pp.1-4
    • /
    • 2006
  • The optical performances of rounded prism films were investigated using a ray tracing technique. The angular distribution of the luminous intensity was obtained as functions of the prism pitch and the curvature of rounded apex and valley of prism arrays. The gain of the on-axis luminance decreased with decreasing curvature (increasing diameter) and pitch. The existence of the curved area on the prism film decreased the recycling efficiency of the prism film, i.e., the rays which would otherwise have been recycled through total internal reflections via the prism surfaces were refracted on the curved regions and redirected toward directions other than the on-axis direction. Quantit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uminance gain and the curvature in addition to the prism pitch was obtained, which might serve as basic data for the optimization of prism film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es.

다공성 방풍벽 뒤에 놓인 삼각 프리즘 주위 유동의 PTV 속도장 측정 (PTV velocity field measurements of flow around a triangular prism located behind a porous fence)

  • 김형범;이상준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2권5호
    • /
    • pp.708-715
    • /
    • 1998
  • The shelter effect of a porous wind fence on a triangular prism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a circulating water channel. A porous fence of porosity .epsilon.=38.5% was installed in front of the prism model. The fence and prism model were embedded in a turbulent boundary layer. The instantaneous velocity fields around the fence and prism model were measured by using the instantaneous velocity fields around the fence and prism model were measured by using the 2-frame PTV(Particle Tracking Velocimetry) system. By installing the fence in front of the prism, the recirculation flow region decreases compared with that of no fence case. The porous fence also decreases the mean velocity, turbulent intensity and turbulent kinetic energy around the prism. Especially, at the top of the prism, the turbulent kinetic energy is about half of that without the fence.

모서리에 펜스를 가진 정방형주의 유체력저감 특성 (Fluid Forc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a Square Prism Having Fences on the Corner)

  • 노기덕;김광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389-395
    • /
    • 2006
  • The fluid force reduction of a square prism having fences on the corner was studied by the measuring the drag and lift acting on the prism and by the visualization experiment of the flow around the prism. The height of the fence was 10% of the square width and the range of Reynolds number considered was from $Re=0.9{\times}104$ to $Re=2.1{\times}104$. The drag of the prism was reduced about 6.8% and the amplitude of the lift was reduced by attaching two normal fences on the rear corners of the prism. In this case, the separated flow at the front corners was reattach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rism and the vortex streets at the wake region were appeared more slowly than that of the prototype prism.

초등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재 연구: 삼각기둥과 사각기둥의 전개도의 수 (A Study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Number of Development Figures of the Triangular Prism and the Quadrangular Prism)

  • 박교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93-406
    • /
    • 2016
  • 수학 6-1 지도서에 따르면, 6학년 수학에서 삼각기둥과 사각기둥의 전개도 그리기는 창의라는 측면에서 권장된다. 이런 점에서 교사는 수업에 앞서 삼각기둥과 사각기둥의 가능한 전개도를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 전개도 전부를 제시해 주고 있는 선행 연구는 찾기 어렵다. 이런 이유에서, 본 논문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재 연구의 일환으로, 밑면(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른 삼각기둥의 가능한 전개도와 밑면(사각형)의 네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른 사각기둥의 가능한 전개도를 찾을 수 있는 방법과 그 각각의 전개도의 수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수업에서 삼각기둥과 사각기둥의 서로 다른 전개도의 수를 묻는 질문에 답할 수 있기 위해, 교재 연구의 차원에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삼각기둥과 사각기둥의 전개도를 학생들이 그린 전개도의 올바름을 판단하거나, 학생들이 전개도를 창의적으로 그리도록 안내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PIV에 의한 정면에 삼각주를 가진 정방형주 주위의 유동장 특성분석 (Investigation of flowfield characteristics of a square prism having a front triangular prism by PIV)

  • 노기덕;김재동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205-209
    • /
    • 2016
  • 본 연구는 상류측에 작은 삼각주를 가진 정방형주의 유동장 특성을 정방형주 한 변의 길이에 대한 삼각주의 폭비 및 정방형주 전면에서부터 삼각주 후면까지의 간격을 변수로 하여 PIV를 이용한 가시화실험으로 파악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방형주 후류측 스트로할 수는 항력감소율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간격비가 증가할수록 증가한 후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삼각주를 설치한 경우 정방형주 상류측과 하류측에 정체영역이 나타났으며, 그 정체영역의 크기는 정방형주의 상류측은 삼각주의 폭비가 클수록 증가하는데 비해, 하류측은 오히려 감소했다.

벽면 근처에 놓인 정방형주의 수직 분할판에 의한 유동 제어 (The Flow Control by a Vertical Splitter Plate for a Square Prism near a Wall)

  • 노기덕;조지룡;오세경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94-100
    • /
    • 2012
  • 본 연구는 벽면 근처에 놓인 정방형주의 모서리에 수직 분할판을 부착하여 유체력 제어 효과를 양항력 측정실험 및 PIV에 의한 가시화 실험으로 조사한 것이다. 분할판의 폭은 정방형주 폭의 10% 로 했다. 실험변수로서는 수직 분할판의 부착 위치 및 벽면과 사각주 사이의 간격으로 하였다. 정방형주 중심에서 후류방향으로 3.0B(B: 정방형주 한 변 길이) 떨어진 곳에서 와도의 변화가 가장 명확했다. 수직 분할판의 위치 및 유무와 관계없이 간격비 0.4~0.6에서 평균양력계수 및 Strouhal 수의 변곡점이 나타났다. 정방형주 윗면의 뒷 모서리에 수직 분할판을 설치한 경우 항력이 감소하였으며 각 간격비 평균 5.0%의 항력 저감 효과를 얻었다. 정방형주 윗면 박리영역의 크기는 앞쪽 모서리에 수직 분할판을 설치한 경우가 가장 컸고, 원형의 정방형주, 뒷쪽 모서리에 수직 분할판을 설치한 순서로 작았으며, 평균항력계수는 이 박리영역의 크기에 비례했다.

상품화된 근용안경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and Problem of Ready-made Reading Spectacles)

  • 이학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5-91
    • /
    • 1996
  • 국내에서 유통되고있는 상품화된 근용안경의 광학적중심점과 이를 사용하는 노인들의 동공중심간거리를 비교하여 근용안경이 눈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45세 이상의 사람 702명의 원거리 동공중심간거리(P.D)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근거리 P.D를 산출하여 상품화되어 유통되고있는 근용안경 240개의 광학적 중심간 거리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동공간 거리는 나이에 관계없이 평균적으로 남자 62.83mm, 여자 61.18mm로 조사되었고 상품화된 근용안경의 광학적 중심간거리는 Plastic Lens 재질의 제품이 71.2mm, Glass Lens 재질의 제품이 70.8mm로 조사되어 이를 사용한 사람은 남자 0.7Prism에서 3.6Prism, 여자 0.9Prism에서 4.4Prism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Wedge prism이 삽입된 단일종모우드 색소레이저 제작 (Construction of the Single Longitudinal Mode Dye Laser Inserted a Wedge Prism)

  • 고도경;김성호;이종민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0-83
    • /
    • 1994
  • Wedge prism이 삽입된 Littman형 색소 레이저 공진기를 제작하였다. 파장조정 거울 대신 wedge prism을 회전시킴으로써 미세한 파장조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때의 주파수 변화율은 약 20 GHz/deg이고 모우드 뜀없이 단일종모우드로 약 70 GHz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 PDF

수정 PRISM을 활용한 남한지역의 고해상도 격자 기후자료 생성 (Generation of high-resolution gridded climate variables using modified PRISM over South Korea)

  • 음형일;김종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1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관측지점의 공간분포에 따라 영향반경을 결정하는 M-PRISM(Modified PRISM)을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장기 격자자료를 생성하고자 하였다. 장기 기상관측자료를 제공하는 국내 60개 종관기상관측점의 자료를 기반으로 $5km{\times}5km$ 해상도의 일강수량, 일최고 및 일최저기온 등의 자료를 생성하였고 정량적 평가지표를 산정하여 평가하였다. 이와 더불어 일강수량에 대해서는 강수발생빈도를 추정할 수 있는 정성적 평가지표를 산정하고 기존 PRISM과 비교하였다. 정량적 평기지표에서는 두 모형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정성적 평가지표에서는 M-PRISM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강수 공간분포의 변동성이 큰 호우사상의 경우 M-PRISM이 효용성이 더욱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