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검색결과 2,495건 처리시간 0.04초

도시 하천 양재천에서 복원후 하안식생의 변화 (Changes in Riparian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in a Urban Stream, Yangjae Stream)

  • 조형진;우효섭;이진원;조강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11-124
    • /
    • 2008
  • 서울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하천인 양재천의 복원구간에서 7년간 식물상과 식생 분포 및 구조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1998년 가을부터 1999년 봄까지 복원구간에서 다양한 친자연 하천복원기법이 채택되어 시공되었다. 복원시공 7년후에 복원구간의 식물종수와 다양도지수는 비복원구간보다 높았다. 그러나 1999-2001년 사이의 복원후 초기단계로부터 복원후 7년까지는 다양도지수는 감소하였다. 우점종은 황무지식물인 환삼덩굴로부터 다년생인 갈대로 변화하였다. 복원공사에 의하여 새로 형성된 교란지에 식재되거나 도입된 종과 외래 혹은 황무지 식물이 복원공사 후 감소됨에 따라서 주요인분석의 결과에서 복원후 초기와 7년후 식물상 구조가 뚜렷이 구분되었다. 복원 시공 후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환삼덩굴과 망초 군집의 분포면적은 감소하였고 갈대와 물억새 군집의 면적이 증가하였다. 식물 군집의 DCA(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결과에서 복원공사후 교란된 식생에서 안정된 자연식생으로 변화하였다. 복원구간에서 총 7종의 버드나무가 발견되었는데, 이중 2종은 식재된 것이고 나머지는 자연적으로 유입된 것이었다.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양재천 복원구간에서 식물상과 식생구조는 성공적으로 회복이 되었으며 이 구간이 도시하천에서 하천복원의 모델 장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중환자 가족의 요구 요인 분석 연구 (Factor Analysis of the Seriously-ill Patient인s Family Needs)

  • 권성복;이미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2-136
    • /
    • 1987
  • A group of studies revealed that family members of the seriously ill patient had some needs during the period of patient's hospitalization. Needs of the seriously-ill patient family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aspect, i. e. needs on the prognosis of patient, needs on the well-being of family members themselves and needs on hospital environment. Several instrument were developed to measure the needs of the seriously ill patient, but their content tended to overemphasize the aspect of the prognosis of pat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instrument to measure the needs in the aspect of the seriously ill patient's family themselves in details to increase the cummulative Percentage of the scale. Subjects were 134 family members of the seriously-ill patients, who were bung cared in ICU of seven university hospital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6, 1987 to April 11, 1987.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made by the author on the basis of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Content valitity of the instrument was tested by a professor majoring in nursing and reliability by calculation of Cronbach's α with data of the respondents. Data was analyzed as follows, using SAS, computer system. Factor structures of the seriously ill patients' family needs were elicited by factor analysis. The programme was the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Method of factoring employing Varimax Orthogonal Rotation. The influences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degree of the seriously-ill patients' family need were analyzed by t-test and P-test. Results were as follows. 1. Needs of the seriously-ill patients' family elicited and their cummulative percentage were: Needs to be supported emotionally, 29.2% Needs to be informed on facilities available, 9.6% Needs to be informed on the patient's prognosis, 7.7%. Needs to be supported spiritually, 5.1%. Needs to be informed on hospital environment, 4.2%. Needs to be helped to spare time, 3.9%. Needs to be informed on their role, 3.5%. Needs to be present near patient, 3.3%. 2. Educational background was found to influence on some factors. College-graduate group had higher Bevel of needs to be . informed on facilities available to be informed on the patient's prognosis, needs to be supported spiritually, needs to be helped to spare time, needs to be informed on their role than high school graduate group. 3. Among the parents, sons and daughters and the relative groups, the parents of the seriously ill patient had highest level of needs to be present near patient.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as follows. 1. A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had high cummulative percentages in the aspect of the prognosis of patient and that in this study in the aspect of the prognosis of patient and that in this study in the aspect of the seriously ill patient's family themselves,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which combined the items of both of them is needed. 2. A study to clarify the influence of type and number of admission on need to be supported emotionally is needed.

  • PDF

기후변화가 가뭄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Drought Risk)

  • 김병식;권현한;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1
    • /
    • 2011
  •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겨울에서 봄철로 이어지는 시기에 지역적으로 만성적인 가뭄이 계속되고 있고, 특히 2001년에는 기상관측이래 때 이른 무더위와 극심한 가뭄으로 전국적으로 피해를 입었다. 가뭄에 대한 경제적인 손실은 홍수에 비해서 2~3배정도 달하고 있으며 미국 해양기상청(NOAA)이 선정한 20세기 최대의 자연재해 중 세계 각지에서 발생한 4개의 가뭄이 상위 5위안에 랭크된 바 있고, 미국 국립가뭄경감센터(NDMC)에서 발표한 통계재해 유형별 연평균피해액 중 가뭄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에도 2001년 봄 가뭄 시 국내총생산 성장률 0.45% 소비자물가 0.31% 상승하는 등 가뭄에 의한 경제적인 손실과 영향력은 막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홍수 등에 대비해서는 수해방지종합대책 등 국가차원의 사전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는 반면, 가뭄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사전예방대책보다는 응급복구 위주로 되어 있고 가뭄상황을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표도 명확하지 않아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RCM 강수모의 자료를 이용하여 표준강수지수(SPI)를 산정하여 가뭄의 변동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산정 되어진 표준강수지수를 이용하여 가뭄의 시공간적인 변동성 분석을 실시하여 2015년대, 2045년대 및 2075년대로 나누어 가뭄지수의 주성분 분석을 통하여 현재와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투사에 기초한 얼굴 인식 알고리즘들의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Projection-Based Face Recognition Algorithms)

  • 문현준;백순화;전병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5A호
    • /
    • pp.717-725
    • /
    • 2000
  • 최근 수년간 얼굴인식에 관한 많은 알고리즘이 개발되었고 그 대다수가 view와 투사에 기초한 알고리즘이었다. 본 논문에서의 투사는 비단 직교 기저상에 영상을 투사하는 것으로 국한하지 않고 영상 화소값을 변환하는 일반적인 선형 변환으로써 상관관계, 주성분 분석, 클러스트링, gray scale 투사, 그리고 추적 필터매칭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FERET 데이터베이스 상의 얼굴 영상을 평가한 알고리즘들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투사에 기초한 알고리즘은 3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는 off-line상에서 행하며 알고리즘 설계자에 의해 새로운 기저가 설정되거나 또는 학습을 통해 새로운 기저를 결정한다. 두 번째 단계는 on-line상에서 행해지며 영상을 설정된 새로운 기저상에 투사한다. 세 번째 단계는 on-line상에서 행해지며 영상내의 얼굴은 가장 인접한 이웃 분류자로 인식된다. 대부분의 평가 방법들은 단일 gallery 상에서의 성능 평가가 이루어짐으로써 알고리즘 성능을 충분히 측정하지 못하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독립된 galley들의 집합을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다른 galley상에서 가지는 변화와 이들의 상대적 성능을 평가한\ulcorner.

  • PDF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계육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변화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Chicken during Storage)

  • 신희영;구경주;박상규;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61-767
    • /
    • 2006
  • 계육의 신선도를 판정할 수 있는 신선도표시계를 제작하였고, 냉장저장 중 계육의 신선도 및 품질변화를 측정하고자 저장 중 표면 pH, VBN, TBARS, 총균수, 전자코 측정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저장 중 계육의 모든 부위는 저장 3일 경과 후 신선도표시계의 색의 변화로 신선도가 저하되었음을 제시해주었다.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 신선도표시계의 반응시점과 같은 저장 3일에 VBN, TBARS, 총균수의 값 또한 부패시점에 도달하였고,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 4일 이후에는 이취 및 표면에 점질물 생성 등으로 가식이 불가능하였다. 부패취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전자코 분석에서도 저장 0일차, 저장 3일차, 저장 5일차의 향기분석에서 주성분 분석값이 뚜렷한 차이를 보여 계육 부패시점이 3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선도표시계인 신선도표시계는 계육의 저장 중 신선도 확인을 실시간으로 해줌으로써 계육의 유통기한 확립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장치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은평 뉴타운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Chemical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Eunpyeong Newtown Site)

  • 강형태;조남철;한민수;김우현;홍지윤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35-345
    • /
    • 2009
  • 은평 뉴타운 유적 토광묘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60점에 대하여 성분조성, 납동위원소비를 주사전자현미경-에너지분산형분광기와 열이온화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성분조성별 차이점과 납유리를 제작할 때 사용한 납의 산지를 추정코자 하였다. 성분조성을 분석한 결과 출토유리는 크게 포타쉬 유리($K_2O$-CaO-$SiO_2$)와 포타쉬납유리($K_2O$-PbO-$SiO_2$)계통으로 분류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III-3지구 1005호 토광묘에서 출토된 시료는 유리가 아니라 석영으로 판단된다. II-3지구 101호 토광묘와 III-3지구 908호 토광묘에서 출토된 무색투명한 9점의 납유리는 성분조성이 매우 일정하며 오차가 작아 동일한 원료로 동일 장소에서 함께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주성분분석(PCA)결과에서도 출토된 유리구슬은 크게 두 개의 그룹인 포타쉬 유리($K_2O$-CaO-$SiO_2$)와 포타쉬납유리($K_2O$-PbO-$SiO_2$)로 나뉘어진다. 즉, 은평 뉴타운 유적은 주요 성분조성이 상이한 두 계통의 유리구슬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납동위원소비를 분석하여 납유리를 제작할 때 사용한 납의 산지를 추정한 결과 대부분의 납유리는 중국 북부 지역의 방연석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호텔.레스토랑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수학실력의 관계에서 수학불안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Role of Mathematics Anxiety in the Influence of Self Efficacy on Mathematics Skill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ospitality Management)

  • 김민정;김현정;김동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9-69
    • /
    • 2012
  • 본 연구는 호텔 외식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수학실력의 관계에서 수학불안이 갖는 매개역할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Baron RM과 Kenny DA(1986)가 제시한 3단계에 걸친 일련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 특정 대학 내 조리 관련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호텔 레스토랑 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19.0을 이용한 기술통계, 주성분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자기효능감척도(GSES)와 수학불안척도(MARS)가 이용되었으며, 신뢰도분석 결과 내적일관성이 각각 ${\alpha}$=.906과 ${\alpha}$=.890으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은 수학불안에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에 비해 수학실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학 불안을 매개변수로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이 수학실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과 수학실력 사이에 수학불안이 미치는 매개효과가 밝혀졌다.

  • PDF

영일만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Yongil Bay)

  • 강양순;김귀영;심정민;성기탁;박진일;공재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31-437
    • /
    • 2002
  • 영일만 수질의 시공간적인 변동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일만의 13개 조사정점의 1990년부터 1998년까지 9개년간 각 계절별 수질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수질의 시 $\cdot$공간적 변동상황을 조사하였다. 염분은 강수량이 많은 8월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정점별로는 하천수가 유출되는 만내측인 St-2에서부터 만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염분의 양이 높아졌다. 용존무기질소 평균농도 중에서 질산질소가 $65.0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또한 염분이 낮고 강수량이 많은 8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만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양이 감소되었다. 염분과 영양염간의 상관을 종합해서 보면 모든 정점에서 질산질소와 유의적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형산강, 냉천등의 하천수의 유입이 질산질소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일만의 주오염원은 하천수 유입에 의한 질산질소인 것으로 생각된다. 주성분분석결과를 통해 영일만의 시$\cdot$공간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주된 요인은 하천수 유입에 따른 질산질소의 증가로 영일만의 계속되는 적조를 막고, 만내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하천으로부터 질산질소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덩굴딸기(Rubus oldhami)의 종내변이 (Intraspecific Variations of Rubus oldhami)

  • 김미나;장수길;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60-269
    • /
    • 2005
  • 덩굴딸기의 종내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꽃의 형질에 의해 유형화 한 3가지 유형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 분석, 주성분분석. 화분학적형질 분석, RAPD 및 PCR-RFLP분석을 실시하였다. 외부형태에서는 꽃잎과 꽃받침의 크기. 정소엽과 소엽의 크기 등이 3개의 유형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형질이었지만 줄기, 화경의 길이, 잎의 거치형태, 엽축의 길이, 잎에 털의 분포양상 등은 변이가 없었다. 14가지의 외부형태형질을 이용한 주성분분석에서 3가지 변이형태는 유형별로 구별이 가능하였다. 화분학적 형질에서는 화분입상, 발아구의 수, 표면무늬 등에 있어 매우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RAPD분석에서는 20개의 primer 중 8개가 분류군 전체에서 반응을 보였고 이로부터 총 33개($60\%$)의 다형화 밴드를 얻었으며, 유집분석 결과 type 2는 독립적으로 소그룹을 형성하였지만 다른 두 가지 변이형의 개체들은 서로 중복되어 유집되어 나타났다. PCR-RFLP분석은 엽록체 DNA 중 증폭된 일부 구간을 얻을 수 있었지만 제한효소 처리 결과에서는 다형화 밴드를 전혀 찾을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덩굴딸기의 종내변이 형태는 외부형태형질에 따라 유형별 구분이 가능하였지만 화분학적 형질이나 DNA수준에서는 전혀 뒷받침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type 1과 2는 정상개체와는 꽃의 형질에 차이가 있으나 동일한 자생지에 함께 분포하므로 자연잡종에 의한 일시적인 변이형이거나 생태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종합병원 사무직 여성의 직무 및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 and psychosocial stres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ving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female office workers)

  • 이정현;조우현;장세진;김영훈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2
    • /
    • 2012
  • This study tires to examine affects that job and socio-psychological stresses of female office workers influe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leaving intentions. A complete data a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with 240 female office workers from 9 medical institutions regarded as almost general hospital in Seoul. It is analyzed that the relation between socio-psychologic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leaving intentions by using t-test;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as it was comprehended by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at the female office workers' level of job and socio-psychological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ving inten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tinctions from their age, marital status, presence of children, position in the organization, type of employment, and monthly average income. Second, this study regarded relationship between the female office workers' level of job and socio-psychological stress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ving intention. Job and socio-psychological stress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he stresses were positive with leaving intention. Third, after evaluating effect that 8 features related to the job stress could influence job stress, the most effective valuables were in order to unfairness in organizational structure, workplace culture, inadequate compensation, and relationship conflict. Fourth, when looking at the overall effects of the job and sociopsychological stresse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ving intention, work autonomy wa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of work stress levels. The level of the job stress seemed to be a prevalent impact on the leaving intention and it showed the most negative relationship that path coefficient from leaving intention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lso from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defined that the job and socio-psychological stresses strong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ving inten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