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ncess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5초

미야자키 하야오(宮崎 駿)작품에 투영된 생태론과 환경론 연구 (A Study on Ecology theory and Environment theory Research that is Loocked in Hayao Miyazaki work)

  • 이승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4호
    • /
    • pp.183-209
    • /
    • 2016
  • 1997년 일본에서 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 <원령공주>는 일본 영화사상 최고의 관객동원 이라는 수치상의 기록 이외에도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의 집대성" 이라고 말한다. 그것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분신이라 할 수 있는 스튜디오 지브리에 인적자원력, 기술력, 자금력 등의 외적인 조건들이라 생각되지만 내적으론 '사상적 이유'도 크다고 볼 수 있다. 그 '사상적 결산'이 무엇인지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 중 극장용 애니메이션 <미래소년 코난> <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천공의 성 라퓨타> <이웃의 토토로> <원령공주>를 중심으로 그의 작품 세계에 사상과 이념이 어떻게 생태주의(ecologism)와 환경주의 (environmentalism)적 관점들과 만났으며 어떤 방식으로 작품 속에 배열되었으며 어떤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함이 본 논문의 연구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들은 확실한 테마를 가지고 있다는데 그의 작가적 면모가 있으며 그동안 다루어 왔던 주제를 요약하면 '생명의 존엄' '자연에 대한 사랑' '자연으로의 회귀' '자연과 인간의 공존' 등이며, 이 주제는 우리가 직면해 있는 문제들 가운데 중요순위에서 앞서는 것들이며 인간이 본질적으로 갈망하는 것들이기도 하다. 우리 사회의 다양한 경제적, 도덕적, 가치체계와 욕구를 조절하는 사회체계의 균형이 맞춰진다면 우리 사회는 자연생태에 조금 더 가까워 질 수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풍경 연구 -<오세암>과 <원령공주>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Sceneries Shown in Animation Movies -Focusing on & )

  • 최돈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0호
    • /
    • pp.1-22
    • /
    • 2018
  • 이번 연구에서는 작가주의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리얼리즘 풍경을 연구하였다. 애니메이션은 쇼트의 배열에 의한 기계적인 영상의 특성을 갖고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작가의 의식작용을 바탕으로 한 공간예술을 다루는 이미지로부터 시작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애니메이션의 풍경은 애니메이션을 이미지의 관점에서 연구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의 풍경은 이야기를 위한 무대장치로서의 중립적 역할로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지만, 작가주의 애니메이션의 경우 작가의 세계관이나 작품 표현의 주요 장치로서 주체적 의미를 갖는다. 작가주의 애니메이션 중 리얼리즘 풍경의 역할과 의미가 가장 잘 반영된 애니메이션은 한국의 풍경을 투영한 <오세암>과 일본의 지역적 풍경을 보여준 <원령공주>라 할 수 있다. 두 작품에 나타난 풍경의 특징을 살펴보면, <오세암>에 투영된 풍경은 작가적 진경을 통해 어린아이의 순백의 동심을 천심으로 의미화 시키는 작가의 내면적 의식의 발견인 것이다. 한편 <원령공주>의 풍경은 작가의 내면의식을 바탕으로 시원적 자연풍경을 극사실적으로 차용함으로써 숲을 작가의 절대적 이상향의 공간으로 풀어내고 있다. 이렇듯 두 작품에서 나타난 풍경은 작가의 내면적 인식을 바탕으로 중립적 풍경을 고증적 해석과 섬세한 묘사를 통해 풍경이 작품의 세계관을 강화시키는 작가의 '생각의 틀'로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노년기여성의 배면만곡도 감소효과를 위한 의복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Cloth Design for Elderly Women to Mask Their Dorsal Curvature)

  • 김태영;이경희;박정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3-195
    • /
    • 1990
  • The author has studied the effect of clothes design to mask the dorsal curvature that is one of the commonest changes in elderly women. Body measurements including the body type and the status of dorsal curvature were perfor-med on 153 women of over 60 years of age, and then a body form to fit to the mean measure-ments was made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designs to it. With 31 pattern designs modified by changing in their slash lines and gathers using darts, the diminishing effect of the rounded back were evaluated by means of sensor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 . Results from the body measurements 1) The mean body type in elderly women was that of obesity. 2) With the advancement of age, the angle to indicate the degree of dorsal curvature as well as the angle to indicate the posture are increased. II . Concerning to the clothes design to diminish the shape of dorsal curvature 1) Among the designs by the position of darts, the basic pattern (Fig. 5-1-(1)) showed the best effect to mask the shape of dorsal curvature. 2) Out of the applied designs of princess lines, that in which the slash line is pointing toward the shoulder point (Fig. 5-2-(1)) seemed to be most effective. 3) What has angled princess line (Fig. 5-3-(1)) had the most diminishing effect among the waist darts and armhole princess lines. 4) Among the V-shaped designs, the slashed at the shoulder point (Fig. 5-4-(1)) had the best effect to lessen the shape of the dorsal cuuature. 5) Wider angle yoke had better effect to the narrow angle one among the designs with straight yoke, and that with downward direction (Fig. 5-5-(1)) showed the best effect. 6) Between straight wide angle yoke and curved yoke, that of curved one with downward direction (Fig. 5-6-(1)) had better effect as far as the masking effect of dorsal curvature is concerned. 7) Gathers around the neck showed better effect to those around the shoulder, and the more amount of gathers (Fig. 5-7-(1)), there was better effect. 8) The design with midline gathers at the level of horizontal slash line of armhole (Fig. 5-8-(1)) showed better effect to that with seperated gathers. 9) In case of design with gathers at the horizontal line of armhole, it showed the better effect with less amount of gathers in midline ones, but with more amount in the side ones. 10) Considering all 7 different designs with better effect in covering the shape of dorsal curvature, it was evident that the design with gathers was far better than the design with application of slash lines.

  • PDF

화협옹주 출토 화장품(갈색 고체) 성분 분석 및 재현연구 (Component Analysis and Reproduction of a Brown Solid Cosmetic Excavated from Tomb of Princess Hwahyeop)

  • 이채훈;류송이;이한형;김효윤;김성미;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30-43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화협옹주 회곽함에서 출토된 화장품 중 갈색 고체 잔여물이 나타난 화장품을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화장품은 1752년 부장된 회곽함 안의 청화백자합에서 출토되었다. 국립고궁박물관에서는 유물분석과 문헌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출토화장품의 원재료와 제조법을 추정하여 크림 형태의 화장품재현을 시도하였다. 이후 출토품과 유사한 열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온, 자외선,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열화를 시행하였다. 이에 따른 변화와 화장품으로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과학적 분석과 기능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유지류가 높은 비율로 혼합된 재현품에서는 고온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색차값이 약 32 차이가 나타났고, O-H 결합과 C=C 결합에서 화학적 변화가 발생하여 유지류 산화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외선 열화를 통해서는 pH 값이 노출 시간에 따라 산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현품의 기능성 평가로 진행한 차폐율은 현대 화장품의 차폐 기준치보다 낮게 나타났다.

지브리 애니메이션 <가구야 공주 이야기>에서 나타나는 젠더 담론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gender discourse in the Ghibli animation "The Tale of the Princess Kaguya")

  • 김예은;김숭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289-297
    • /
    • 2021
  • 애니메이션은 사회의 관념을 반영하는 미디어이며, 단순히 정보를 전달할 뿐 아니라 새로운 담론의 장을 형성하기도 한다. 본 논문은 지브리 애니메이션 <가구야 공주 이야기>의 주인공과 그 주변 인물, 서사적 특징, 작품 배경에 내재한 젠더 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디어에 반영된 사회 문제와 젠더 담론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젠더 수행과 관련한 사회 문제를 파악하고,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작품에 내재한 젠더 담론과의 연결성을 도출하도록 한다. 할아범은 딸의 행복을 강요하는 아버지의 표상이며, 할멈은 그런 남편을 말리지 못하는 어머니를 보여준다. 또한, 가구야 공주의 첫사랑이나 재력과 신분이 없다는 이유로 결혼하지 못하는 원작과 다르게 추가된 스테마루라는 캐릭터를 통해 젠더 수행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현대 여성처럼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면모를 보이던 가구야 공주는 사회와 주변 인물들로부터 견디기 힘든 억압과 강요로 인해 결국 달로 도피하는데, 이는 현대 사회에서 공공연히 일어나는 젠더 수행의 다양한 문제점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젠더 수행 문제가 개인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사회적 관념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다양한 콘텐츠에서 나타나는 젠더 담론에 대한 꾸준한 객관적 고찰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림형제 동화 '황금 새'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An Interpretation of "Golden Bird"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박상학
    • 심성연구
    • /
    • 제31권2호
    • /
    • pp.177-214
    • /
    • 2016
  • 그림형제가 수집한 민담 <황금 새>를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민담의 제시부에 나타난 문제점은 왕과 아들 세 명의 치우친 남성적 구조 속에서 이 왕국은 여성성이 결핍되어 있다. 황금 사과의 상실은 균형을 이루기 위해 더욱 더 여성적 요소를 보충할 필요성을 느낀다. 가장 어리고 바보스러운 막내의 모험과 여행은 분석심리학에서 말하는 새로운 자아의 개성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자아는 여행의 경과 중에 단계마다 새로운 왕국이라는 특정 집단의식의 지배에 사로잡히고 죽음의 위기에서 어려운 과제를 수행한 후에 해방되어 다음 단계로 나아간다. 이 과정은 성인화 과정으로 자아의 높아진 의식성의 회복 뒤에 여성성의 보충이라 하는 공주와의 결혼 즉 대극의 합일이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다. 여성성의 보충으로 보이는 새, 말, 공주는 독립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들은 서로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을 만난 자아가 아직은 온전한 성공에 이른 것은 아니다. 집단 지배의식의 지시에 따라 출발하는 두 형들의 실패 뒤에 주관적 의식이 적극적으로 개입한 새로운 자아(막내)가 나섰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페르소나의 구분과 버림은 쉽지 않은 난관이다. 반복된 고난에 이어 형들을 사형에 처한 다음에 즉 지적인 능력이 제물로 바쳐진 다음에 상위의 의식성을 획득하고 그의 아니마인 공주와 일차적 결혼을 한다. 대개의 이야기는 결혼으로 끝나지만 여기서는 다음 단계가 남아있다. 여우가 자신을 죽여 머리와 발을 잘라 달라는 간절한 부탁을 주인공이 마지못해 행하자 여우는 마법이 풀려 왕자가 된다. 여우가 공주의 오빠로 변신한 것은 동물이 인간화한 것으로 또 다른 의식화를 경험한다. 비로소 대극의 합일이 이루어지고, 신성한 결합이 전체성을 획득하고 즉 개성화의 완성을 이루게 된다.

DECOMPOSITIONS OF GRADED MAXIMAL SUBMODULES

  • Moh'd, Fida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1-15
    • /
    • 2022
  • In this paper, we present different decompositions of graded maximal submodules of a graded module. From these decompositions, we derive decompositions of the graded Jacobson radical of a graded module. Using these decompositions, we prove new theorems about graded maximal submodules, improve old theorems, and give other proofs for old theorems.

A group identification algorithm for distinguishing close contacts in ships

  • Lin, Qian-Feng;Son, Joo-Young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5-77
    • /
    • 2020
  • There was an outbreak of COVID-19 on the Diamond Princess cruise ship. Distinguishing close contacts is the important problem to be addressed. Close contacts mean people who stays with the patients of disease like COVID-19 over a period of time. The passenger position on board can be obtained by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The feature of close contacts is similar location with COVID-19 patient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the idea of distinguishing close contacts on board based on DBSCAN algorithm.

  • PDF

입체재단법에 의한 ART NOUVEAU 의상 SILHOUETTE의 PATTERN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s of ART NOUVEAU Silhouette by Draping Design)

  • 정흥숙
    • 복식
    • /
    • 제50권
    • /
    • pp.5-22
    • /
    • 2000
  • The study on the past costume should be done first for the creation of new style of fashion. That is one of the reasons why we have to annalize characteristic style in each period. Before the latter of nineteenth century one must have made the costume by draping design. Because the complicated clothes can be expressed by draping deign think that the subject draping design is even more important than other subject. But there haven't been the studies that analyzed the pattern of Art Nouveau style by draping design in Korea. Art Nouveau style is a certain one that was relatively more changeable than the ones of other peri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about the patterns of hourglass and S-curve style which represented the Art Nouveau style. The results of the study summarized as follows. 1. Bodice pattern : In the front Hourglass silhouette has the princess line for fitting bodice while S-curve silhouette has the wide midriff due to the blousing. There is the yoke in S-curve one. In the pattern of back bodice we can't see the much differences but Hourglass silhouette is used the princess line like the front one while S-curve is made use of the waist darts for fitting back. 2. Sleeve pattern : Hourglass silhouette is made of two pieces the upper part and lower part besides S-curve is consisted of one pieces. The former has the big upper part in order to the emphasis of the shoulder and the tight lower part. The latter is the tight sleeve that similar to the basic sleeve pattern at present. 3. Skirt pattern: There is partially a gored line in the front skirt in Hourglass silhouette however S-curve silhouette is consisted of the six pieces gored skirt. At this part we can also see the fact that s-curve is more complicated than Hourglass silhouette. 4. Others: Wecan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Hourglass and S-curve pattern easily at the parts of the collar flounce wing and so on. Summing up, the patterns of S-curve style are more expanded than those of Hourgalss style for the most part.

  • PDF

가례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A Study of the Royal Lady's Dress in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King's Wedding Process)

  • 김소현
    • 복식
    • /
    • 제59권3호
    • /
    • pp.96-108
    • /
    • 2009
  • This study is made on the royal lady's dress In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King Heon-jong and Lady Kyung-bin's Wedding Diary in the year of Jung-mi(1847) and summarised as follows: Girls' full dress was a set of a red skirt, a violet undo. jacket, and a light yellow jacket and a green Gyeon-ma-gi(a kind of top jacket) with he. hair Saeng-meo-ri hanging Do-tu-rak-daeng-gi(a kind of hair ribbon). At the big ceremony, girls wore a green Dang-ui instead of Gyeon-ma-gi. A girl picked up as a royal concubine wore a green Won-sam, which was decorated with gilt letters meaning longevity, patched emblems of gilt letter meaning longevity on the breast and on the back, belted with Bong-dae(a red sash with gilt phoenexes), like a princess's full dress. At the Kyung-bin's installation of Crown Princess and her first greeting ceremony with royal elders, she wore a green Won-sam as a formal dress, which had an embroidered emblem of phoenix, the belt with crystal ornaments, Pae-ok(佩玉), Kyu(圭) of blue jade, Shou(綬) with an phoenix. At a Dong-wrae-yun(drinking ceremony after bride and bridegroom's bowing to each other), she wore the embroidered red Jang-sam as a formal dress. Kyung-bin wore a purple Won-sam with Bong-dae as a full dress for a royal feast. According to the occasions, the same dress was differentiated with ornaments and rotors. Ji-keum-bal was an attire for ordinary ceremony. The attire was equipped with a woven gold green Dang-ui with an emblem of phoenix, a blue gilt underskirt and a red gilt overskirt. No-ui was worn as outdoor clothes. Jang-sam was worn by various classes, so it was differentiated with materials and names according to her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