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teacher education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3초

Learning a Foreign Language Using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Comfortable Implementation of the Professional Position of a Future Specialist in a Foreign Language Environment

  • Postolenko, Iryna;Biletska, Iryna;Kmit', Olena;Paltseva, Valentyna;Mykhailenko, Olena;Yatsyna, Svitlana;Kuchai, Teti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63-70
    • /
    • 2022
  • At the present stage, the main directions of the professional position of a specialist in the implementation of English-language Education are to improve and spread the practice of learning languages throughout a person's life by involv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digital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Computer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first and most promising area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necessity of ensuring timely training and retraining of specialists of various profiles (in particular teachers) on the effective use of domestic and foreign electronic resources with the help of modern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fessional position of a future specialist in a foreign-language environment is noted. The main goal of teaching a foreign language (the formation of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means mastering the language as a mean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defined. The types of speech activity that cover the content of teaching a foreign language are highlighted. The main types of assessment in a foreign language are shown - current (non-classroom), thematic, semester, annual assessment and final state certification. The task of the teacher is drawn, which is to create conditions for practical language acquisition for each student, to choose such teaching methods by mean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that would allow each student to show their activity, their creativity; to activate the cognitive activity of the student in the process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수학문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분석 (An Analysis of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n Mathematical Problems)

  • 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125-141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에게 초등학교 수준의 좋은 수학문제를 만들고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해 보도록 하면서 예비교사들이 수학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A교육대학교 2학년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86명은 자신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학문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예비교사들은 제시한 수학문제에 대하여 초등학교 학생의 해결전략을 예상하고,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관찰하면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좋은 수학문제로 수학 개념이나 알고리즘의 활용, 동기유발, 개방형의 문제의 유형을 선호하였고 일부 전략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은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관찰과 분석 경험이 교사의 문제해결에 대한 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수학 문제해결에 대한 전문성 신장을 위해 예비교사들에게 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관찰과 질 높은 수학문제의 개발 경험을 제공하고 교과서의 문제와 연계한 양질의 수학문제의 보급을 제안하였다.

초등교사의 로봇활용SW교육 활용의도와 영향 요인간 구조적 관계 분석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Affecting Teachers' Robot-based SW Education Acceptance in Primary School)

  • 이정민;정현민;고은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15-229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로봇활용SW교육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고, 성별, 연령, 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교사 171명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을 진행하여 수집된 데이터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로봇활용SW교육에 대해 느끼는 유용성, 용이성, 개인혁신성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용성, 용이성, 개인혁신성은 태도를 매개로 활용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적 관계에서 경험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성별, 연령은 용이성, 유용성, 태도, 개인혁신성, 수업활용의도 변인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초등교사의 로봇활용SW교육 활용 촉진을 위해 성공적인 수업사례, 활용사례, 콘텐츠를 공유하고 이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의 관련 경험 정도에 따라 차별적인 전략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관련된 억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A Meta-regression Analysis on related Protective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 문동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5-44
    • /
    • 2012
  •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의 보육교사 이직의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직의도를 억제하는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조사시기와 조사지역에 따른 변화추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분석을 위해 효과크기 변환이 가능한 논문 33편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와 관련된 억제변인군의 효과크기는 조직외면적, 직무, 조직내면적변인군 순으로 나타났고, 세변인군 모두 중간효과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외면적변인군의 하위변인은 근로시간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변인군의 하위변인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이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내면적변인군의 하위변인은 대인관계와 원장과의 관계의 관계가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조사년도에 따른 이직의도 억제와 관련된 변인의 메타회귀분석 결과 모든 연구 개념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변인들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복지후생은 수도권외지역보다 수도권지역일 수록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난 수학적 사고의 유형 (Types of Mathematical Thinking that Appeared in Challenge Math in the 5th and 6th Grade Math Teacher's Guidebooks)

  • 임영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43-160
    • /
    • 2022
  • 본 연구는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난 수학적 사고의 유형을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수·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 및 육성이 가능한 수학적 사고의 유형을 정리하고,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기 위한 틀을 구상한 뒤,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은 계획 수립, 실행의 단계에서는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지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형의 문제로 구성이 되어있다. 다만 자세한 보조문항으로 인하여 의도된 수학적 사고만이 발현될 것이 우려되며, 스스로 수학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한 경우가 많았다. 둘째, 교사용 지도서의 문제 이해 단계와 반성 단계의 발문이 매우 전형적으로 제시됨으로써 해당 단계에서는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유발하기 어렵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는 수학적 사고에 대한 명시적 설명이 부족하며 추후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수학적 사고에 대한 명시적 설명을 보완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초등예비교사의 성별 및 지구과학 이수 여부가 '계절변화' 개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e-primary Teachers' Gender and Earth Science Completion on the Concept of 'Seasonal Change')

  • 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6-247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성별, 고교재학 중 지구과학 이수여부가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개념영역, 개념이해 수준 및 오개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본 연구로서 2021년 5월부터 11월까지 P교육대학교 초등예비교사 71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이 계절변화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개념영역은 성별에 따른 차이보다는 고교 재학 중 지구과학 이수여부에 따라서 더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에 대한 개념이해 수준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고교 재학 중 지구과학을 이수한 집단이 이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개념이해 수준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와 관련한 오개념 소지 비율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고교 재학 중 지구과학을 이수하지 않은 집단이 이수한 집단에 비해 오개념 소지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이상에서 살펴 본 결과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에 대한 개념영역, 개념이해 수준, 오개념은 성별에 따른 차이보다는 고교 재학 중 지구과학 교과의 이수 여부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받는다고 판단된다.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기하판의 활용 (A Practical Use of Geoboard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

  • 최창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6권1호
    • /
    • pp.1-10
    • /
    • 2002
  • The objectives of the current study are on the practical use of geoboard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 To do this, we first investigate how come geoboard is significant in a practical use. Second, we present an example of practical use of geoboard connecting with the analysis of the 7th curriculum. Third, we investigate the results of geoboard which is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cla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ion of using geoboard can give an interest and curiosity to all students. Second, right triangle, rectangle, square and so on can be easily constructed because geoboard is linked by dots. Third, by constructing figures on geoboard and comparing figures which is made by themselves, students could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figures rather than the explanation of teacher. fourth, students can be improved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and spatial sense by providing experience for exploration. Fifth, students need not to have anxiety for error because geoband is used and so can be corrected easily.

  • PDF

한.일 양국 초등학교 아동과 학부모의 학교급식에 관한 의식 및 아동의 식품기호도 비교연구 (The conciousness of prim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about school food service and food preference of children in Korea and Japan)

  • 유영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21
    • /
    • 1996
  • To find out the reference data of the school food service system, I serveyed four primary schools in Seoul, Korea and Nara, Japan respectively. The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of whom arbitrary selected two classes among each primary school, were taken the questionaire about the present school food service system and their favorate fo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74.8% of Korean and Japanese children, and 92.5% of their parents were in favor of school food service. 2) Korean childrin wanted more amount of food and less salty taste. 3) Korean and Japanese children and their parents believed that the school food service system correct children's unbalanced diet. 4) Korean children wished more kinds of foods, western-styled cooking and that the food would be served in warm state. 5) Korean parents wanted that school food service system should be natural and better quality food material, and teacher should educate good eating habit. 6) Korean school children prefer yogurt, cuttle-fish, chicken, bean-curd, tomato, orange, dried laver, sweet potato, pine-mushroom in each food group. In conclusion, school food service system should be enough to meet children's good nutrition status, and the menu would be selected with consideration of children's preference and Korean traditional diet habit. Good table manner and eating all kinds of foods should be targht by school food service system as well as preparing good quality of food.

  • PDF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과학과의 평가 실태 (A Survey on Evaluation in Science Education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n Korea)

  • 정은영;최원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168-181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초 중 일반계 고등학교 과학과 평가의 실태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0개교, 중학교 40개교, 일반계 고등학교 20개교를 표집하여 설문지를 발송하였고, 초등학교 교사 292명, 중학교 교사 110명, 고등학교 교사 116명, 총 518명의 응답 결과를 얻었다. 설문 조사 결과,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지필평가의 비율이 늘고 수행평가의 비율이 줄어들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과 지필평가에서 서술형 문항의 비율이 선다형 문항에 비해 낮았고, 중 고등학교는 초등학교와 비교할 때 선다형 문항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지필평가에서 지식 영역과 탐구 영역의 출제 비율을 살펴본 결과, 학교급, 성별, 교직 경력과 상관없이 모두 지식 영역이 탐구 영역보다 출제 비율이 더 높았다. 채점 시간을 고려하여 서술형 문항을 제한된 범위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향은 초등학교보다 중 고등학교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교사들은 서술형 문항을 개발하여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파악할 수 있음을 잘 인식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서술형 문항에 대한 채점 결과를 신뢰하기 어려워서 서술형 문항을 제대로 개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등학교의 경우 수행평가를 실시 목적에 맞게 실시하는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평가를 실시 목적에 맞게 실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수행과 관련되어서만 평가하고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해서 수행평가를 형식적으로 실시하는 경우도 있었다. 학교 현장에서 수행평가가 실시 목적에 맞게 실시되고 서술형 평가가 정착되며 탐구 영역의 출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교사 연수, 실험과 평가 지원을 위한 조교 배치 등 행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 PDF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오해와 진실 (Misunderstandings and Truth on Student-Centered Instruction)

  • 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2호
    • /
    • pp.81-94
    • /
    • 2008
  • 제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 수업을 강조하는 패러다임적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교사들의 신념은 여전히 이전의 교육과정을 실천하기에 적합한 신념들을 형성하고 있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교사들은 자신의 신념을 바뀌어가고 있는 중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패러다임적 전환이 이루어진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 교사들이 형성해야 할 신념들 중 학습자관, 차시별 학습목표, 교육과정상의 모든 지식의 지도가능성, 학급당 인원수, 학업성취도 등 몇 가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런 논의가 학습자 중심 수업의 실천을 더욱 강조하는 2007개정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