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school teachers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26초

학교 아침급식에 대한 경북지역 영양(교)사의 인식 및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Perception and action plans for school breakfast program by school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Gyeongbuk province)

  • 오향;정해랑;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4호
    • /
    • pp.362-371
    • /
    • 2012
  •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and action plans of the school breakfast program (SBP) proposed by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buk province. The survey was carried via questionnaires throughout April to May 2010. Two hundred ten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52.5%) and out of the total, 194 were used for analysis. Of the respondents, 73% disagreed and 27% agreed to the implementation of SBP, although most respondents agreed to the importance of eating breakfast in children. The percentage of disagreement was higher among subjects with working experience of 15 years and more, age of 40 years and more, and those who were employed at elementary schools. The primary reasons of disagreement were 'eating breakfast with family is better' and 'it increases the cost of school foodservice'. The respondents preferred students' optional participation (62.9%) over universal participation (37.1%) of SBP. Action plans of SBP, which were proposed by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cluded direct operating system by the school, food delivery schedule prior to the day of serving, 2-3 hours of preparation time, serving food 50 minutes before the start of classes, and convenient style menu served at the school cafeteria. Efforts to lessen foodservice employees' workload as well as support from school principal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were suggested as prerequisites for a successful SBP implementation.

초등학교 보건교사를 위한 융복합적 직무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Feasibility and Reliability Analysis of Convergent Job Measurement Tool for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 이미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17-125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이미 개발된 직무분석의 측정도구에 대한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초등학교 보건교사 305명을 대상으로 50문항으로 구성된 직무분석 설문지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미 개발된 도구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재검증하였다. 총 50문항은 8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었으며, 4개의 요인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4개의 요인구조는 설문 기준에 따라 중요도, 수행빈도, 난이도로 분류되었으나, 중요도는 건강증진에 대한 중요도가 하나의 새로운 항목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모델의 적합도는 ${\chi}^2$ 검정결과 통계량은 3.664 (df=246, p<0.001), RMSEA=0.09, NFI=0.85, CFI=0.88로 나타났다. 하위척도의 내적일치도 Cronbach's ${\alpha}$는 0.88~0.96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무분석 도구는 측정 도구로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초·중등학교의 융합교육 운영 현황 실태조사 (Current Status of the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 권혁수;김어진;박현주;배영권;이동국;이현동;이효녕;최성연;함형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3호
    • /
    • pp.336-34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의 융합교육 운영 현황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시·도교육청에 재직 중인 교사 8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교급별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사 871명 중 449명(51.5%)이 융합교육을 실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융합교육을 실행하는 이유로 교사의 자발적 노력과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육적 필요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융합교육은 정규 교과 시간에 과목 간 연계형으로 과학, 미술, 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COVID-19에 대응하여 융합교육을 실행하는 교사 중 270명(64.0%)이 비대면 융합교육을 실행하였으며, 수업 자료 제작과 학생과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었다. 다섯째, 융합교육을 미실행하는 이유로 교사의 과중한 업무, 교사 연수와 연구회 활동 지원 부족, 다양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부족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도출과 실행 지원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2-3학년 시기 양육역량 변화유형과 예측요인: 자기체계역량, 학교생활 파악수준, 담임교사 상담횟수 및 사회관계망 변화를 중심으로 (The Types of Change in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During Their Children's 2nd to 3rd Grades of Primary School and Their Predictive Factors: Focusing on the Changes in Self-System Competency, Level of Understanding of School Life,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and Social Networking)

  • 최지혜;조혜령;김영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36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nges and predictive factors of mothers' parenting competencies during their children's second to third grades in primary school. Methods: We used the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We classified 373 mothers into three groups, 'reduced' parenting competency, 'maintained' parenting competency, and 'increased' parenting competency, and conducted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decreased between their children's 2nd year and 3rd year in primary school. Second, the 'reduced', 'maintained', and 'increased' groups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he degree of change in self-system competency, level of understanding of school life,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with homeroom teachers, and social networking. Third, the degree of change in self-system competency and social networking predicted the increase in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The degree of change in self-system competency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chool life predicted the maintenance of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has revealed the change in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and its predictive factors after the second year in primary school. How to support the growth of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was also discussed.

초등학교 과학 실험에서의 안전사고 최소화 방안 (The Suggestions for the Minimization of Safety Accidents in the Primary Science Experiments)

  • 권치순;최은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22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dangerous elements in primary science textbooks and had some suggestions for the minimization of safety accidents in the science class experim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te of accident in the primary science experiments was not high, but potential for the outbreak of safety accidents was always present. 2) it is necessary to include safety contents on science textbooks. The survey revealed that only 18 percent of safety education materials include on science textbooks. 3) It will be desirable for science experiment lessons to include safety education materials for safety experiments. This could also help the students develop the right recognition and attitude regarding safety. 4) There was lack of safety devices those were required to be kept at science labs. The survey showed that about 20 percent of the schools had the experimental clothing. 5) Safety training is often conducted in an overly simplified manner, and no special time is allocated to it. In conclusion, to improve the problems pertaining to school safety accident, courses on safety training are essential as textbooks and teachers. Constant and systematic instructions on safety should be done in order to prevent potential safety accidents.

  • PDF

분할과 반복 조작을 통한 분수지도 탐구 (A Study on a Fraction Instruction via Partitioning and Iterating Operations)

  • 최근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3호
    • /
    • pp.411-424
    • /
    • 2010
  • 이 연구는 Steffe의 분수 조작과 스킴의 바탕이 되는 분할 및 반복과 관련된 예비 초등교사가 지니고 있는 개념 인식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약간의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 분할과 반복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실제적인 응용의 일환으로, 나누는 수가 분수인 분수 나눗셈과 관련된 초등 수학교과서 내용을 재구성하는 예시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 조사 및 초등 교사와의 인식 비교 (School Administrators' Perspectives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and Comparison to Teachers' Perspectives)

  • 권미선;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4호
    • /
    • pp.329-347
    • /
    • 2016
  • 본 연구는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을 알아보고,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와 초등 교사와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관리자 32명을 대상으로 자유기술식, 등위식, 척도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교 관리자의 인식 조사 결과, 자유기술식 설문에서는 구체적 조작물을 활용하는 수업, 학생들이 사고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등이 좋은 수학 수업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등위식 설문에서는 대영역 중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이, 중영역 중 교육과정 구성이 좋은 수학 수업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선택되었다. 또한 척도식 설문에서는 학생 수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시한 수업, 수학과 기본 개념 사이의 연계성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등은 매우 좋은 수학 수업으로, 계산을 능숙하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물리적 환경이 잘 조성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등은 상대적으로 덜 좋은 수학 수업이라는 인식이 드러났다.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와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경향은 유사하였다. 하지만 각 요소별로 실시한 t 검정 결과 총 48개 중 20개의 요소에서 학교 관리자와 초등 교사의 인식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과 초등 교사와의 인식 차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Preservice Teachers화 Change of Season)

  • 채동현;변원섭;손연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109-12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o analyze of the preservice teachers' naive theories about the change of season. And it is to find a instruction strategy which can solve problem about this. The general idea about the change of season is observed by the 3 methods which are simply explaining with words, explaining with pictures and models. The author is to find the similarity. difference and relationship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about the general idea about the change of season. The important changable primary factors, which can effect to the general Idea formation, are naturally dragged out through the observation of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on. For this study, 4 first year preservice teachers of one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re used. Before the interview. the author tries to form rapport with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ment materials, pencil. paper, camcorder, digital recorder and interview note were used for the study with reflection of them just way they are. As the result of the interview. all of 4 preservice teachers had not being understand the concept about the change of season and the three ways of explanation methods were not matched each other, so it is revealed that the general Idea of the change of season,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is not strongly formed. In spite of the repeated study of the change of season from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it has many problem about recognition of the general idea about the change of season which pre-elementary teachers have. Therefore it is needed to improve the experiment in elementary science text book and naive theories by the activity which is explaining the change of season in three dimension space. to prevent the naive theories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may have.

  • PDF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분석 -'비교' 상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Proportional Reasoning Understanding of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ocusing to 'comparison' situations-)

  • 박지연;김성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5-129
    • /
    • 2016
  •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학적 과정은 수학적 추론, 수학적 문제 해결, 수학적 의사소통의 형태로 강조되고 있으며, 수학적 추론의 한 형태인 비례 추론은 비와 비율 개념과 관련된 추론이다. 비례 추론은 초등학교 수학에서 규칙성 영역의 핵심이면서 중등수학에서 학습하는 함수 개념의 기본이 된다. 본 연구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사이에 놓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례와 관련된 형식적인 알고리즘을 배우기 전 단계에서 비례 추론의 특징과 유형을 분석해봄으로써 비례 추론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과 오류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비례 추론 문항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비와 비율을 학습하기 전후에 비례 추론 관련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또 어떠한 오류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그 결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문제의 조건과 유형에 따라 다양한 비례 추론 전략을 활용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곱셈적 추론 수준에 있으며, 비례 추론 검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전략으로는 분수 전략과 간비교, 내비교 전략 등이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상대적인 비교를 필요로 하는 문제의 경우 문제의 이해 단계에서부터 어려움을 나타냈다. 따라서 절대적 상대적 변화를 비교하는 수준에 이를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비례 추론 문항 개발이 요구되며, 이와 함께 비례 추론 상황을 포함하여 지도할 수 있는 교수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A Proposed Conception of Technical Solutions to Address the Educational Loss in Mathematics in the Fifth Grade of Primary School

  • Ahmad Almassaad;Abdullah ALSHdaie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6호
    • /
    • pp.35-48
    • /
    • 2023
  • The study aimed to provide a proposed conception of technical solutions to address the educational loss in mathematics in the fifth grade of primary school, and the study adopted the descriptive approach. male and female teachers, and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the researcher built a tool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in which he used the comprehensive inventory metho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identifying the learning outcomes that represent an educational loss, and identifying the learning outcomes that are considered essential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the fifth grade of primary school. In the event that it is not achieved by students, it is considered an educational loss that may affect the future of students' education and learning. Because it is a basis for later experiences in mathematics in other classes, and the study also fou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visualization of technical solutions provided to address the educational loss in mathematics for the fifth grade: (short electronic tests, YouTube channel, homework, educational platform, electronic worksheets, and communication chann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