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ious bid pric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수도권 아파트와 공장 경매낙찰가율 결정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Bid Price Ratio Apartments and Factor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신창국;전해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255-266
    • /
    • 2021
  • 주택가격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로 인해 공장시설에 대한 투자수요가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경매낙찰가율과 공장 경매낙찰가율에 부동산시장과 거시 경제적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부동산 경매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패널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거시경제적 변수가 아파트와 공장 낙찰가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아파트 낙찰가율의 증가는 아파트 경매 참여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장낙찰률이 증가할수록 공장낙찰가율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연구와는 달리 낙찰률과 낙찰가율 간 정(+)의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관련 경매 제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부동산시장 및 거시 경제적 요인에 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 전국과 지방으로 연구범위를 확장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경매 시스템에서 시계열 분석에 기반한 낙찰 예정가 추천 방법 (Reserve Price Recommendation Methods for Auction Systems Based on Time Series Analysis)

  • 고민정;이용규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2권1호
    • /
    • pp.141-155
    • /
    • 2005
  • It is very important that sellers provide reasonable reserve prices for auction items in internet auction systems. Recently, an agent has been proposed to generate reserve prices automatically based on the case similarity of information retrieval theory and the moving average of time series analysis. However, one problem of the previous approaches is that the recent trend of auction prices is not well reflected on the generated reserve prices, because it simply provides the bid price of the most similar item or an average price of some similar items using the past auction data. In this paper.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we propose a method that generates reserve prices based on the moving average. the exponential smoothing, and the least square of time series analysis. Through performance experiments. we show that the successful bid rate of the new method can be increased by preventing sellers from making unreasonable reserve prices compared with the previous methods.

  • PDF

EVALUATION OF COST-TIME RELATIONSHIPS FOR CONTRACTORS PARTICIPATING IN COST-PLUS-TIME BIDDING

  • Saeed Abdollahi Sean Pour;Hyung Seok David Jeo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479-487
    • /
    • 2013
  • State Highway Agencies (SHAs) have started utilizing cost-plus-time bidding (A+B bidding) since Federal Highway Agency (FHWA) declared it operational on May 4, 1995. Although this technique has successfully accelerated many projects by incorporating construction time in the bidding competition, a framework to illustrate the interactions of incentive/disincentive (I/D) rates on the competitiveness of contractors participating in the bid competition is yet to be developed. In a previous research, authors indicated that for each bid competition there is an efficient cap for I/D rates which are dictated by the capabilities of contractors in project acceleration. However, the results of previous study we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st and time. In this study, the entire cost-plus-time projects implemented by the Oklahom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ODOT) were investigated. Then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 between cost and time were analyzed for each contractor utilizing Analysis of Variance (ANOVA) technique, and the price-time function of each contractor was determined by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st and time for the majority of contractors. However, a quadratic relationship is not always significant and for some contractors a linear price-time relationship i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project can be used not only by ODOT to optimize the incentive/disincentive rates but also by contractors to determine the most competitive strategies of other bid participants.

  • PDF

공공 건설공사에서의 실적공사비 적용에 따른 물가변동률 산정기준 개선방안 (Improved Escalation Method for the Cost Estimation System using Previous Bid Price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백승호;강태경;이유섭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8-11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실적공사비 적용분에 대한 지수조정율 산정기준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실적공사비 적용분에 대해 공종별 실적공사비 단가의 평균값을 적용하는 기존 방식은 단가 규모가 큰 6개 공종의 변동이 전체를 좌우하여 유사 물가지표와 다른 추세를 보이는 등 비판 소지가 있다. 이에 건설공사비지수 등을 활용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개선의 당위성을 검증하였다. 실적공사비 비목군에 대해 건설공사비지수 등락율을 적용하는 첫번째 대안의 경우 건설공사비지수가 생산자물가지수를 활용한 가공통계이므로 유사지표간 등락추세의 일관성을 기할 수 있고, 기존 방식에 비해 물가변동 대가가 현실화될 수 있게 된다. 노무비 부분을 분리하여 별도 기준을 적용하는 두 번째 방안도 실적공사비 적용분 노무비율 만큼 투입구조 왜곡 문제가 완화되며, 유사 물가변동지표에 근접하게 되고, 물가변동 대가가 현실화된다는 측면에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파트 재건축사업의 수익성평가에 대한 확률적 위험도 분석 모형 적용방안 (Application of Probabilistic Risk Analysis for Profitability-Evaluation of Apartment Reconstruction Projects)

  • 우광민;이학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167-176
    • /
    • 2006
  • 현재 재건축사업은 추진 의사결정과 관련한 확정된 지표나 기준이 없이 막연한 수익성에 대한 기대를 토대로 시행되고 있으며, 사업시행과정 에서 직면하게 되는 제반 위험 에 대해 경험 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재건축조합이나 시공예정 회사들이 제공하는 관리처분계획에 포함된 수익성에 관한 정보는 결정론적 분석을 통한 단순한 예측에 불과하여 재건축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결과가 수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수익성에 대한 예측이 재건축시행 과정상의 유동적인 상황에서 변경됨에 따라 예측결과에 대한 신뢰도는 근본적으로 내 외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재건축사업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확률적으로 평가하여 수익과 위험을 동시에 분석하는 수익성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개발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여 기존의 결정론적 접근방식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건설공사 대안입찰 담합으로 인한 손해액 산정모델 연구 - 설계점수 및 투찰률 차이 인자 활용 - (A Study on Method for Damage Calculation Caused by Bid Rigging in Alternative Tenders for Construction Projects -Utilizing the Difference of the Design Score & Bidding Rate as Factor -)

  • 민병욱;박형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5호
    • /
    • pp.741-749
    • /
    • 2018
  • 본 연구는 건설공사 입찰담합으로 인한 손해액 산정에 대하여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산정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입찰담합 손해액 산정에 대한 선행 연구 및 판결 사례 등을 검토한 결과,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낙찰자 결정기준 등의 특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부족하고 부적정한 비교표준시장의 선택, 가상경쟁가격 영향 인자의 적정성 검토 부족 및 산정모델에 대한 검증의 결여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안입찰공사를 대상으로 한 손해액 산정모델을 제시하였다. 산정모델은 첫째, 낙찰자 결정기준 등에 부합하는 표준시장을 선정하고 둘째, 가상경쟁가격의 영향 인자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 적합인자를 선택하였으며 셋째, 선택 인자의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모델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한 모델에 대한 적합성, 유의성 및 정규성 등의 검증과 실제 담합 사례를 적용하여 실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산정모델을 통하여 소송 당사자 일방에게 부당한 손해액 부담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분쟁을 조기에 해결하게 하여 관계자 모두의 기회손실 등을 방지하는데 기초가 되고자 한다.

시계열을 이용한 실적단가 예측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ime Series Analysis of the Actual Unit Cost based on the Bid Prices)

  • 박원영;서종원;강상혁;최봉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0-57
    • /
    • 2009
  • 공공 건설사업의 계약에 있어 합리적이며 적정한 예정가격의 산정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공공 공사 예정가격 산정 근거로 사용되어 온 표준품셈과 더불어 실적공사비 제도를 단계적으로 확대 도입키로 했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에 낙찰되었던 계약단가 뿐 아니라 모든 입찰단가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한 실적단가의 변동패턴을 분석하여 예측하는 일련의 절차 및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 있는 자료 확보를 위해 저가입찰 등과 같은 전략적 입찰단가를 제거한 실적단가를 활용하여 시계열 자료를 구성하여 이 시계열을 웨이블릿 분석을 통해 변동 패턴과 추세를 파악하고 신경망을 이용하여 공사비를 예측하는 방안을 주요하게 다루고 있다. 건설 공사비는 매우 다양한 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그 예측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오차 또한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웨이블릿 변환을 통하여 다양한 특성의 변동을 찾아내어 이를 예측에 이용함으로써 예측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다만 시계열이 매우 단기간의 자료로 구축되어 변동의 양상이 정확하게 분석될 수 없었으나 지속적으로 실적공사비 자료기 축적되어 장기간의 자료를 바탕으로 시계열이 구축된다면 향후 수행될 건설사업의 기획 시 개략적인 공사비 산출에 참고할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시설공사 입찰단가를 활용한 실적단가의 산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ng Method for Actual Unit Cost Based on Bid Prices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강상혁;박원영;송순호;서종원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159-166
    • /
    • 2006
  • 우리나라의 공공 건설공사 예정가격 산정 근거로 사용되어 온 표준품셈은 다양한 시공환경, 공법, 기술수준 등에 따른 공사비의 변동을 현실적으로 반영하지 못하여 부실시공이나 과다비용의 산정과 같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에 정부는 표준품셈을 2004년부터 점차 축소하는 대신 실적공사비 제도를 단계적으로 도입키로 했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 낙찰되었던 계약단가 뿐 아니라 모든 입찰단가 자료를 활용하여 실적단가를 산출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 및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절차에서 주요하게 다룬 사항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확보를 위해 저가입찰 등과 같은 전략적 입찰단가 추출에 대한 분석기준이다. 과거의 입찰단가 자료의 기술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두 차례에 걸쳐 전략적 입찰단가로 의심되는 통계적 이상치를 제거하고, 시간에 따른 보정을 통해 현가화하여 현재 활용가능한 실적단가를 산출하였다. 또한 입찰방식 및 예상낙찰률에 따른 입찰단가의 변동특성을 분석 악하여 실적단가 보정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일련의 분석 및 산출 과정을 거쳐 현실성 있고, 시장성을 보다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합리적인 예정가격의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nalysis of the ordering factors influencing the awarding price ratio of service contract in KONEPS

  • Jung-Sung Ha;Tae-Hong Choi;Wan-Sup C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239-248
    • /
    • 2023
  • 본 연구는 낙찰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용역계약에 대한 요인을 나라장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서 발주기관과 입찰자가 광범위한 나라장터에서 낙찰가율에 영향을 주는 용역계약을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살펴보았다. 분석모형으로 낙찰가율 영향 요인으로 예산액, 계약 방법, 공고 일수, 낙찰 방법, 낙찰 하한률 등 5개의 독립변수를 활용하였다. 조사분석은 지난 18년간 나라장터 용역입찰건에 대한 데이터를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차원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산액은 낙찰가율을 결정하지 않는다. 다만 소액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였다. 둘째, 계약 방법은 낙찰가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고 일수가 길어질수록 낙찰가율이 감소하고 있다. 넷째, 낙찰 방법은 낙찰가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섯째, 낙찰 하한률은 낙찰가율을 결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낙찰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인터넷 경매에서 경매빈도와 거래규모가 경매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uction frequency and transaction volume on auction performance in internet auction)

  • 박종한;김현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59-170
    • /
    • 2011
  • 구매 물량이 많고 구매 시점이 분산되어 있는 기업간 구매경매에서 경매빈도와 한번 경매 시 거래되는 거래규모에 대한 결정은 구매경매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이제까지 구매경매 연구에서는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거나, 참여자들의 행위 분석 위주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경매빈도와 거래규모의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MRO 구매대행 업체의 실제 경매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매빈도와 거래규모가 경매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같은 대하여 경매빈도가 낮을수록 입찰자들이 경매시장에 대한 사전 정보가 부족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판매기회를 잡기 위해 낮은 가격으로 입찰하여 낙찰가격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래규모는 가설과 달리 거래규모가 증가하여도 낙찰가격이 낮아지지 않았다. 대상 제품인 MRO 제품이 표준화되어 대량 생산되는 제품이므로 규모의 경제에 의한 가격 할인이 이미 반영된 것으로 파악되고, 특정 경매에서 거래규모의 크기가 추가적인 가격인하에 미치는 영향이 없고 오히려 거래규모가 적을 때, 상대적 낙찰가격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