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ative Effect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5초

Isothiazoline 유도체의 합성 및 정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and Refining of Isothiazoline Derivatives)

  • 성기천;김기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3-102
    • /
    • 1997
  • Isothiazoline derivatives is widely used to food, medical drug and industrial goods, cosmetics etcs, and it makes to restrain and to sterilize a breeding of microbe as a preservative and a sterilizing agent. It differs with the raw material of paraoxybenzoic acid derivatives or imidazolydinyl urea to be in use at present, on the efficacy and effect, and has various characteristics. This synthesis makes 3,3'-dithiodipropionic chloride to add a thionyl chloride in 3,3'-dithiodipropionic acid, and 3,3'-dithiodipropionic methyl amide makes to synthesize in a reflux reaction the mono methyl amine to 3,3'-dithiodipropionic chloride. And last synthesis becomes to make chlorination-cyclization molecule doing a reflux reaction in the temperature of $90{\sim}100^{\circ}C$ to mix excessively thionyl chloride and ethylene dichloride to 3,3'-dithiodipropionic methyl amide. The last synthesis material has got in the mixture of 5-chloro-2-methyl-4-isothiazoline-3-one and 2-methyl-4-isothiazoline-3-one, and it is so-called isothiazoline derivatives. The purification of isothiazoline derivatives makes to fuse in ethyl acetate, and makes to decolorize and to deodorize in recrystallization. This experiment has been in synthesis and purification of isothiazoline derivatives, and has tried to measure on the antisepsis and sterilization function of microbe according to pH or content change.

식품유해균에 대한 차류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 on the Harmful Foodborne Organisms)

  • 오덕환;이미경;박부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0-106
    • /
    • 1999
  • Use of chemical preservative for controlling harmful microorganisms in food products has been debated due to public concerns about food quality because of perceived toxic and carcinogenic potential. Thus, use of non toxic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has become essential.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or ethanol extract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 and of solvent fractionated 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steamed green tea. Both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green tea(steamed or roasted), oolong tea and black tea exhibit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 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but not effective against yeast and mold. Also,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4 different kinds of tea was stronger than that of water extract. Among 4 different tea, ethanol extract of steamed green tea was further fractionated. One thousand g/disk buthanol extract ha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and mold. The concentr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uthanol extract in tested microorganisms ranged from 125~1000 g/disk except for Rhizopus javanicus. Antimicrobial activity of buthanol extract of steamed green tea was not destroyed by heating at 100oC for 60 min and at 121oC for 15 min, which is very stable over heat treatment.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buthanol extract on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was investigated. Growth of both strains was started in the presence of 250 and 500 g/ml after 12 and 24 hour respectively, whereas complete inactivation of both strains was occurred in the presence of 1000 g/ml.

  • PDF

황벽나무 추출물의 유기질 문화재 오염균에 대한 항균성 및 항산화 활성 (Antifungal Activities on Organic Heritage Fungi and Antioxidative effect of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ives)

  • 홍진영;김영희;정미화;조창욱;최정은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5호
    • /
    • pp.54-61
    • /
    • 2010
  • Antifung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were investigated for use as a natural preservative. After separation of P. amurense into phloem, xylem, leaf and fruit each part was subjected to methanol extraction. Each MeOH extract was further fractionated with several solvents(n-hexane, methylene chloride and ethylacetate). Among the methanol extracts, extracts of phloem and leaf inhibited effectively the growth of mold fungi and rot fungi, respectively. Especially, ethylacetate fraction from phloem showed the highest growth inhibitory effects against fungi tested, such as P. citreonigrum H3, P. toxicarium H4, P. corylophilu H5, A. clavatus, P. osteatus, S. commune, and G. lucidum. The fractions of fruit, which had lower antifungal activities mostly than those of phloem, strongly inhibited rot fungi such as G. lucidum, T. versicolor, and T. palustris. Compared to ferulic acid which is well known antioxidant, ethylacetate fraction of fruit showed high antioxidative activities on concentration of 1 to $100{\mu}g/m{\ell}$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a result, antifung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 amurense suggest that its extract and fraction have a possibility as conservative of cultural heritage because it might get conservation effects against deteriorating microorganisms of cultural heritage.

Sn-3.5Ag BGA 패키지의 기계적·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PCB표면 처리 (Effect of Surface Finish on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Sn-3.5Ag Ball Grid Array (BGA) Solder Joint with Multiple Reflow)

  • 성지윤;표성은;구자명;윤정원;신영의;정승부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61-266
    • /
    • 2009
  •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ball grid array (BGA) solder joints were measured, consisting of Sn-3.5Ag, with organic solderability preservative (OSP)-finished Cu pads and Electroless Nickel/Immersion Gold (ENIG) surface finishes.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by die shear test. When ENIG PCB was upper joint and OSP PCB was lower joint, the highest shear force showed at the third reflow. When OSP PCB was upper joint and ENIG PCB was lower joint, the highest shear force showed at the forth reflow. For both joints, after the die shear results reached the highest shear force, shear force decreased as a function of increasing reflow number. Electrical property of the solder joint decreased with the function of increasing reflow numb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sults show that the IMC thickness at the bonding interface gets thicker while the number of reflow increases.

Anti-bacterial Effect of Oenothera lamarckiana Aerial Part Extract

  • Yang, Ji Yeong;Lee, Pyoengjae;Kim, Sa-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83-388
    • /
    • 2020
  • Ingestion of food contaminated with microorganism, if not always, could lead to severe health problem. Preservatives has been added to food to prevent food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microorganism. But, these have potential to threaten the health. Therefore, much effort has been taken to find the safe materials showing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Oenothera lamarckiana aerial part extract against eight bacteria strain. In paper disc assay, extract inhibited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Bacillus cereus and Shigella dysenteriae at 200 μg/disc, but not against Escherichia coli, E. coli O157:H7, Salmonella Typhi and S. enteritidi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Bacillus cereus and Shigella dysenteriae is 250, 250, 500 and 500 μg/mL, respectively. Compared with reported MIC of other plant resources, O. lamarckiana aerial part extract showed the relatively high anti-bacterial activity. O. lamarckiana aerial part could be suitable for the preservative development. But, it still remains to be studied to evaluate safety and so on.

와송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Orostachys japonicus)

  • 윤소영;이소영;김꽃봉우리;송유진;김서진;이소정;이청조;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4-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인 와송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와송의 잎, 줄기 및 뿌리를 물과 에탄올의 2가지 용매로 추출한 후, paper disc법과 MIC test를 이용하여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관련 미생물 10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와송 잎, 줄기 및 뿌리의 물 추출물과 와송 줄기와 뿌리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 6종에 대해서는 모두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음성균의 경우에는 S. Typhimurium에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S. cerevisiae와 P. expansum에 대해 항진균 효과를 보였다. 특히, C. perfringens에 대해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여 0.05% 농도에서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S. cerevisiae에 대해서도 0.05% 농도에서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압가열처리에도 항균활성이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 subtilis를 제외한 균주에 대하여 pH $2{\sim}10$까지 처리 후에도 항균활성이 감소 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열과 pH에 비교적 안정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와송 잎 유래의 항균성 물질은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열과 pH에 대해서도 안정하므로 식품의 천연보존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에 관한 임상 연구 (Clinical Studies on the Anti-Irritation Effects of Mung Bean (Phaseolus aureus) Extract in Cosmetics)

  • 안기웅;강태원;정지헌;조병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3-28
    • /
    • 2004
  • 본 연구는 화장품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자극원에 대한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임상연구에 관한 것이다. 녹두는 해독 작용이 탁월하여 예로부터 민간요법이나 화장료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녹두의 생물학적인 효능 및 구성 성분을 구체적으로 밝혀낸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우리는 기존의 연구를 통하여 녹두의 에탄을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이러한 효능을 제공하는 유효물질인 비텍신(vitexin)과 이소비텍신(isovitexin)을 분리해낸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녹두추출물의 항염증 기작을 살펴보고자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의 항원 유도성 히스타민 유리 억제능 및 5-lipoxygen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두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히스타민 유리를 억제시켰지만 5-lipoxygenase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현재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극 유발 물질인 lactic acid, retinol, 방부제 등에 대한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체 첩포시험 결과, 5.0% lactic acid, 4000 IU retinol, 1.0% Preservative mixture가 들어간 제형에 2.0% 녹두추출눌을 첨가할 경우 각각 60%, 30%, 50% 정도의 우수한 자극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주관적인 자극을 평가하는 피부 자극감시험 결과도 2.0% 녹두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에서 약 50∼30%의 자극완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4주간 실시한 double-blind usage test 결과 역시 녹두추출물을 화장품에 사용하였을 경우 우수한 항자극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백합나무 스킨팀버의 ACQ, CUAZ, CuHDO 가압처리를 위한 처리용 목재의 적정 함수율 및 처리목재의 정착 특성 평가 (Evaluation of Pretreatment Moisture Content and Fixation Characteristics of Treated Wood for Pressure Treatment of Yellow Poplar Skin Timber with ACQ, CUAZ and CuHDO)

  • 김민지;최용석;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810-817
    • /
    • 2015
  • 본 연구는 백합나무 스킨팀버의 ACQ-2, CUAZ-3, CuHDO-1 가압처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차적으로 백합나무 변재부와 심재부 시험편을 대상으로 처리용 목재 함수율이 방부제 처리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방부제 유효성분인 구리의 처리목재 내 정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백합나무 변재부는 방부제 종류에 관계없이 조사된 목재함수율 범위(50% 이하)에서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목재의 침윤도와 흡수량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백합나무 변재부의 방부제 보유량 경사를 조사한 결과,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제2011-04호에 제시된 처리용 목재의 함수율(평균 30% 이하)을 만족할 경우 재면으로부터 15 mm 깊이까지에서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재의 흡수량 기준을 충족하였다. 백합나무 심재부는 처리도가 매우 불량하여 처리용 목재의 함수율 조건 및 방부제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환경 범주 H3용 처리목재의 침윤도와 보유량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백합나무 변재 및 심재 시험편 공히 비건조 양생보다 건조 양생에서 구리의 정착속도가 빠르고 또한 최종 구리 정착율이 높았으며, 3주간 비건조 양생 후 구리 정착율이 90% 수준에 머물었으며 양생기간을 연장하더라도 정착율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OSP 표면처리의 열적 열화에 따른 Cu/SnAgCu 접합부의 접합강도 (Bonding Strength of Cu/SnAgCu Joint Measured with Thermal Degradation of OSP Surface Finish)

  • 홍원식;정재성;오철민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7-53
    • /
    • 2012
  • 무연 리플로우 공정 횟수에 따른 organic solderability preservative(OSP) 표면처리 두께변화 및 열화현상을 분석하였다. 무연솔더 접합부의 접합강도에 미치는 OSP 표면처리의 열화특성을 SnPb 표면처리 경우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리플로우 pass에 따른 무연솔더 접합강도 열화분석을 위해 OSP 및 SnPb 표면처리된 FR-4 재질 PCB를 각각 1-6회 리플로우 처리하였다. 이후 각 리플로우를 거친 PCB 위에 2012 칩 저항기를 실장한 후 접합강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리플로우 공정 중 열 노출에 의해 OSP 코팅두께가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고, 코팅두께의 변화 및 OSP 코팅 층의 산화를 유발함으로써, 솔더의 젖음성이 감소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SP 열화에 따른 솔더 접합강도는 SnPb 표리처리시 평균 62.2 N 이였으며, OSP의 경우는 약 58.1 N 이였다. 리플로우 공정 노출에 따라 OSP 코팅 층은 열분해 되지만, 솔더 접합부의 접합강도 측면에서는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기관의 전자문서관리 방향 (A proposal for managing electronic document of the government)

  • 이재하;윤대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45-257
    • /
    • 2001
  • 현재 정부에서는 잔자문서시스템을 도입하여 전자결제 및 유통업무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기관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생성되는 전자문서의 저장형태가 다양하여 향후 정보의 공동활용 및 영구보존 활용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며, 기록물관리에 필요한 주요 기능이 반영되어 있지 않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본 고에서 제시하여 향후 전자적 기록물관리업무의 발전을 기대하고자 한다. 정부기관에서 생산하고 있는 기록물의 종류는 다양하다. 종류별 특성에 적합한 전자파일의 표준형태를 제시하여 향후 전자문서의표준화를 제도 및 시스템에 반영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또한 전자문서시스템에 기록물관리 기능이 없어 보존 활용이 어려운 현 상황을 재인식시키고, 그 방안으로 기록물관리범위체제 및 관리기능을 시스템에 반영토록 제시하고 있다. 표준화되는 전자문서는 생산부서에서 작성단계부터 적용되어 자료관과 기록물전문관리기관으로 이관되어 보존 활용된다. 시청각기록물과 같이 생산부서에서 전자화하기 어려운 기록물은 전문관리기관에서 표준형태로 디지털화하여 보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