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program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3초

예비교사를 위한 머신러닝 활용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s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bout State Classification of the Matters using Machine 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 이소율;이영준;백성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39-149
    • /
    • 2022
  •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미래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역량을 함양하고, 동시에 학생의 학습 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물질의 상태 분류를 주제로 머신러닝포키즈와 스크래치3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15주차 분량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내용은 자발적으로 참여한 K대학교 예비교사들에게 처치되었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머신러닝의 학습을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의 학습 과정을 비유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의 사전-사후 t검정 결과는 t=-7.137(p<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은 교생실습 외에 비간접적인 방식으로 예비교사의 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데 도움이 되고, 인공지능 교육 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음이 시사된다.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Scientific Inquiry Worksheet-making Class Program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 김동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261-2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초등과학교육론 수업에서 과학 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개선시켰으며, 과학에 관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에 도움을 주어 장래 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일을 더 즐거운 것으로 느끼게 만들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탐구 기반 학습 유형을 중요한 과학 수업의 과정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이 현장에 가서 어떠한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방형 질문 결과, 수업모형의 활용 방안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지식이나 탐구과정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 PDF

예비수학교사의 MKT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MKT development program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옥보명;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57-27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순열과 조합 영역에서 예비수학교사들의 MKT 수준을 알아보고, 예비교사들의 MKT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MKT-DP)을 개발·실행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MKT 사전 검사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순열과 조합 영역의 MKT 수준이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SCK와 KCT의 수준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사후 MKT 검사 분석 결과 KCT 범주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MKT-DP는 예비수학교사들의 KCT를 함양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3가지 하위 범주(CCK, SCK, KCS)에 대해서는 사전, 사후 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어느 정도의 수준 상승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MKT 전반에 걸쳐서 MKT-DP의 긍정적 영향력을 기대해 볼 수 있다.

공학 도구 친화적 거꾸로 수업에서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on a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technology-friendly flipped classroom)

  • 김동중;김대상;최상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455-47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 도구 친화적 거꾸로 수업을 통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예비교사들의 공학 도구 활용에 대한 인식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45명을 대상으로 공학 도구 사용 범주 지수(Technology Adopter Category Index), 공학 도구가 추가된 교수학적 내용 지식(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공학 도구별(Geometer's Sketch Pad(이하 GSP), Geogebra, Cabri 3D) 반영적 검사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학 도구 친화적 거꾸로 수업 교육과정은 예비교사들의 공학 도구 사용 범주 지수와 공학 도구가 추가된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대한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쳤고, 공학 도구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 학습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공학 도구 친화적 교사를 양성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An Interdisciplinary Revolving Door Enrichment Model: Chances and Challenges of Involving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Halverscheid, Stef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8권3호
    • /
    • pp.175-182
    • /
    • 2004
  • The design of learning environments which encourage students to work in a creative manner on mathematical problems is a creative process in itself. The concept of the Saturday University program is described in which pre-service teachers are guided at teaching students in extra-curriculum activities on interdisciplinary topics. In the process of the didactical reconstruc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the pre-service teachers go through the stages of a revolving door model y.

  • PDF

초등 예비교사교육에서 평가문항 개발의 적용과 효과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velop Mathematical Tasks)

  • 이동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05-51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수학평가문항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문항이 검토 과정에서 어떻게 수정되는지 그리고 문항을 적용한 결과를 해석하면서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관점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평가문항의 변화 양상은 주로 출제의도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교육과정에 제시된 용어와 기호의 사용, 수학적 오류의 수정, 보기의 재구성 및 재배치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관점이 변화되었는데, 평가 과정에서 학생 수준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 인식, 좋은 평가문항에 대한 인식 전환 등으로 나타났다.

  • PDF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력 분석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Factors and Teacher Efficacy)

  • 고정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41-346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격유형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G지역의 3,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28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 중 외향성과 교사효능감이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경증은 교사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교사효능감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25%의 설명력을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중 외향성이 교사효능감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중 외향성이 강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나 교사효능감 증진에 외향적인 성격이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외향적인 특성을 함양하기 위한 예비유아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앱 활용 수학 수업을 위한 예비교사의 TPACK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방안 (Development of TPACK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math classes using apps for group creativity)

  • 김부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95-22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가 고등학생들의 집단창의성 신장을 위한 모바일 수학 학습 콘텐츠인 애플리케이션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E-learning 고등수학"을 활용하여 사범대학 정규교육과정에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을 함양하고 수학 수업에서 학생과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학수업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사전교육, 목표설정, 수업계획, 수업실습, 수업평가 단계로 구성된다. 이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테크놀로지 도구를 평가하였고, 앱의 두 활동에서 고등학생들이 집단창의성을 발현하도록 지도하기 위해 과제대화록, 레슨 플레이, 반성적 저널,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적용 결과, 예비수학교사의 TPACK을 함양할 수 있었고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학생과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할 수 있었다.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개념도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 이효빈;권연희;안정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05-126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veal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and demonstrating its importance. Methods: Based on Kane and Trochim's(2007) procedure, 3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ducted brainstorming and statement writing, and then the importance of selected statements were rated by 20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statements were analyz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sult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as concept mapping with 2-dimensions and eight clusters. The following eight clusters were established (1) daily practice through hands on experience, (2) nature environment, (3) recognizing and coping with environmental issues, (4) environmental preservation practices, (5)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consideration, (6) purpose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7) necessity for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8) Practice through connection with child's home and community. And then among the eight clusters, the most important was recognized as 'daily practice through hands on experience', and among the statements 'young children learn through the method of playing in nature and experience nature'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how to support to develop teacher's training program.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행복에 대한 은유분석 (Analysis of Metaphor for Teacher Happines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강유진;고희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205-218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the wa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about teacher happiness through metaphor analysis. Methods: A total of 225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from 4-year universities in the Gyeongnam area and op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ticipants. A total of 207 out of the 225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Results: First, based on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control, and life purpose were deriv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ypified teacher happiness into five type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control, and life purpose.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eacher happiness as positive. Thir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acceptance, and purpose of life as positive, while environmental control and autonomy were perceived as negativ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education and to develop a program to raise positive awareness of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study results can also be used as basic data for high quality teac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