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35초

Relationships between Teaching Professional Rank, Course Taking, Teaching Experience and Knowledge of Algebra for Teaching

  • Huang, Rongjin;Li, Yeping;Kulm, Gerald;Willson, Victor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9-148
    • /
    • 2014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professional rank, number of courses taken, and knowledge of algebra for teaching (KAT). 338 in-service and 376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in China completed a KAT questionnaire.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se relationships. The pre-service participants teachers perform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advanced mathematics knowledge than their in-service counterparts. Among the inservice teachers, senior teachers had scored higher in school mathematics and teaching mathematics, compared with junior teachers. Yet participants' advanced mathematics knowledge decreased as their professional rank advanced or their teaching experience increased. The number of courses taken h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mathematics knowledge and advanced mathematics knowledg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are discussed.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 사례연구 - 7${\~}$9단계 수학수업과 연계된 교수$\cdot$학습보조자료 개발을 중심으로 - (The Case Study of Using Technology in Education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Developing Materials Assisting Teaching-Learning for 7th-9th Grade Mathematics Classroom -)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4호
    • /
    • pp.337-35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학교수학수업에의 공학적 도구 활용을 논의의 주제로 설정하고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관찰을 통해 사례로 선정된 사범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하여 7${\~}$9단계 수학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수업활동을 시행하였다. NCTM과 제7차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 제안을 배경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수학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명제를 개념적 틀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연구의 방향과 자료분석의 토대로 삼았다.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관찰자료, 면담자료, 문서자료 등을 토대로 연구의 초기에 설정된 세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학교현장의 수학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공학적 도구 활용교수${\cdot}$학습 보조자료를(단계별 수학디자인 산출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 PDF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교육학 키워드 중심 학습 효과 (The Keyword-based Learning Effect of the discipline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김창일;전영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93-506
    • /
    • 2014
  • 본 연구는 예비 수학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여러 지식기반 중 하나인 교과교육 지식에 대한 학습방안 모색으로, 수학교육학의 주요 주제 및 연구자를 우선 선정하고 그 관련 내용을 키워드(keyword) 중심으로 제시한 학습 교재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재구성한 교재를 예비 수학교사들에게 투여하였다. 동시에 분절된 각 연구자의 이론을 교육적으로 연결하는 등 수학교과교육학의 개념과 원리를 예비교사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한 후, 키워드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이 예비 수학교사들에게 교육적인 효과가 있었는지를 조사하였다.

  • PDF

MQI를 이용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수업의 질 분석 (Analysis of Mathematical Quality of Instruction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김성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4호
    • /
    • pp.397-416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quality of mathematics classes with observations using the instrument, MQI(Mathematical Quality of Instruction). Class recording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2 pre-service teachers and 4 in-service teachers. This study recorded and analyzed 3 or 4 classes for each mathematics teacher by using revised MQI. There were a total of 8 raters: 2 or 3 raters analyzed each class. MQI has four dimensions: Richness of the Mathematics, Working with Students and Mathematic, Errors and Imprecision, Student Participation in Meaning-Making and Reasoning. In the dimension of 'Richness of Mathematics', all teachers had good scores of 'explanations of teacher' but had lower scores of 'linking and connections', 'multiple procedures or solution methods' and 'developing mathematical generalizations.' In the dimension of 'Working with Students and Mathematics', two in-service teachers who have worked and having more experience had higher scores than others. In the dimension of 'Errors and Imprecision', all teachers had high scores. In the dimension of 'Student Participation in Meaning-Making and Reasoning', two pre-service teachers had contrast and also two in-service teachers who hadn't worked not long had contrast. Implications were deducted from finding to improving quality of mathematics classes.

중등 초임수학교사들의 컴퓨터 관련 지식의 형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formation and utilization of computer among beginn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 심상길;이강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2호
    • /
    • pp.163-174
    • /
    • 2013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examine the knowledge formation and utilization of computer among beginning teachers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We found that beginning teachers who had more experiences of taking computer utilization classes at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showed more interest in computer and saw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computer usage for teaching students. Teachers chose GSP the most among computer utilization knowledge learned in pre-service teachers program, and GSP is used the most in mathematics classes. However, they answered that computer is not so much available in class due to lack of hours and the relevant resources. Lastly, beginning teachers answered that the computer knowledge learned in in-service teacher program was more useful than that in pre-service. Thu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in utilizing computer should be improved through diversifying teacher training contents for beginning teachers as well as for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예비교사의 초등수학교과서 활용에 대한 관점 (Perspectives on the Use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y the Pre-service Teachers)

  • 박만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61-48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수학 수업을 관찰하면서 인식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초등수학교과서 활용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고 수학 수업에서 교과서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54명의 초등예비교사들이 서울시내 15개 지역구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54개 학급(총 1299명의 학생)의 수학 수업을 관찰하였다. 수학 수업의 관찰을 토대로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초등수학교과서의 활용과 수학 수업에서 자료의 활용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초등수학교과서의 동기유발 자료를 각색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돕기 위하여 수준별 학습을 포함하여 교과서 이외에 다양한 활동지 및 부가적인 자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이들은 수학 수업에서 교수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는 주로 TV와 PPT 등이라고 응답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초등수학교과서의 내용과 체제 자체에 대해서 보통 정도의 만족을 하고 있었고, 디지털교과서 개발의 필요성도 크게 느끼지는 않았다. 연구자는 수학 교수 학습의 질 향상을 위하여 수업의 전반적인 메커니즘 안에서 교과서와 같은 학습 자료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와 교사들을 위한 학교 현장의 적용을 포함한 실제적인 연수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예비수학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안 재구성을 통한 수업 설계 변화 탐색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Chang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y Restructuring the Lesson Plan)

  • 최희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59-177
    • /
    • 2020
  • 교육 분야의 연구자들은 학교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고자 교사의 수업 설계 능력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이와 관련한 연구들을 다양하게 수행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이 수업을 수행한 후, 계획하였던 교수·학습 과정안을 재구성함으로써 나타난 수업 설계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예비수학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과정안에서 도입단계의 학습동기 유발, 전개단계의 학습내용 제시, 정리단계의 형성평가에 대한 재구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재구성한 내용의 범주는 교과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업 설계 및 수행의 경험 부족을 원인으로 볼 수 있어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수의 실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학습 경험이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perience of Studying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Picture Book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Their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iency)

  • 이선경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3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학습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한 S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19명을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15주 동안 그림책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동일한 기간 동안 일반적인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결과 차이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학습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학에 대한 가치와 흥미를 증진시키고 수학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학습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능력에 대한 신념과 결과에 대한 신념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학습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시사한다.

초등 예비교사교육에서 평가문항 개발의 적용과 효과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velop Mathematical Tasks)

  • 이동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05-51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수학평가문항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문항이 검토 과정에서 어떻게 수정되는지 그리고 문항을 적용한 결과를 해석하면서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관점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평가문항의 변화 양상은 주로 출제의도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교육과정에 제시된 용어와 기호의 사용, 수학적 오류의 수정, 보기의 재구성 및 재배치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관점이 변화되었는데, 평가 과정에서 학생 수준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 인식, 좋은 평가문항에 대한 인식 전환 등으로 나타났다.

  • PDF

수학 교사와 예비교사의 추론 및 증명구성 역량 및 특성 탐색 (Examining Pr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roficiencies in Reasoning and Proof-Production)

  • 유은수;김구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2호
    • /
    • pp.161-185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 교사와 예비교사들이 추론과 증명을 어떻게 이해하여 구성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부분 대수적인 증명을 시도하는데 이미 알고 있는 공식이나 식을 적용한 대수적 조작으로 답을 구하는 것에 그치며 주어진 문제에 내재된 수학적 구조를 통해 증명을 구성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참여자의 상당수가 대수적 식을 통한 증명만을 완전한 증명으로 판단하였으며 대부분은 기존에 접하지 못했던 새로운 문제유형에서 추론 및 증명구성을 완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