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Chang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y Restructuring the Lesson Plan

예비수학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안 재구성을 통한 수업 설계 변화 탐색

  • Received : 2020.02.28
  • Accepted : 2020.03.21
  • Published : 2020.03.30

Abstract

Education researchers have been continuously interested in the teacher's ability to design lessons and conducted various studies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school instruction. So,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 of instructional design through the lesson reflection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practicum settings. As a result, in the lesson plan prepared b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e motivation to induce learning in the introduction stage, to present the learning contents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to reconstruct the formative evaluation of the closing stage was the highest rate. And the categories of the reconstructed contents appeared intensively in terms of curriculum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result can be attributed to the lack of experience in designing and performing lessons b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o it suggests that the opportunity to design and conduct class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practical aspects of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교육 분야의 연구자들은 학교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고자 교사의 수업 설계 능력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이와 관련한 연구들을 다양하게 수행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이 수업을 수행한 후, 계획하였던 교수·학습 과정안을 재구성함으로써 나타난 수업 설계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예비수학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과정안에서 도입단계의 학습동기 유발, 전개단계의 학습내용 제시, 정리단계의 형성평가에 대한 재구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재구성한 내용의 범주는 교과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업 설계 및 수행의 경험 부족을 원인으로 볼 수 있어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수의 실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찬 (2016). 반성적 성찰기법 활용을 통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능력 향상 전략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231-261.
  2. 권나영, 이민희 (2019).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활동 일지에서 살펴본 노티싱의 특징.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1), 63-80. https://doi.org/10.30807/ksms.2019.22.1.004
  3. 김구연, 전미현 (2017). 수업지도안 분석을 통한 수학교사의 수업설계역량 (Pedagogical Design Capacity) 탐색. A-수학교육, 56(4), 365-385.
  4. 길양숙 (2008). 예비교사가 수업계획과정에서 당면하는 문제, 해결방법 및 기준. 교과교육학연구, 12(2), 493-514.
  5. 김윤정, 오현근, 김세리 (2011).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기획 및 분석 역량 모델 개발 연구. 교육방법연구, 23(1), 77-106. https://doi.org/10.17927/TKJEMS.2011.23.1.77
  6. 문은경, 박인우 (2016). 수업 설계자 역량에 대한 집단별 요구의 차이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32(1), 87-111.
  7. 박기용 (2014).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학습 지원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30(2), 285-306.
  8. 박기용, 배영직, 강이철 (2009).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 169-197.
  9. 박성혜 (2008). 중등 교사양성과정 중<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이 예비교사들의 교수효능감과 교과 교육학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5, 209-233.
  10. 양찬호, 이지현, 노태희 (2014).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 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2), 187-195.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87
  11. 이봉주 (2008). 중등수학 예비교사 수업장학 실태 및 요구 조사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1), 1-18.
  12. 이순아 (2015). 한국과 미국의 예비교사들의 교육과 교직에 대한 견해 차이 들여다보기: 문화교류 프 로젝트의 온라인 대화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8(2), 57-92.
  13. 이영주 (2012). 동료피드백 활동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수업설계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ASSURE 모형 활용 수업지도안 작성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8(4), 687-706.
  14. 임찬빈, 이화진 (2006). 수업 전문성 일반기준과 활용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ORM 2006-24-1.
  15. 임철일 (1999). 상호작용적 웹기반 수업 설계를 위한 종합적 모형의 탐색. 교육공학연구, 15(1), 3-20.
  16. 장명덕 (2006). 초등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지도안 작성 전략 분석. 초등과학교육, 25(2), 191-205.
  17. 정한호 (2009).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설계 실태에 대한 질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25(3), 157-191.
  18. 정한호 (2017).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수업설계 교육을 통해 나타난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특징 탐색. 교육방법연구, 29(2), 285-312.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2.285
  19. 최희선, 한혜숙 (2019). 예비수학교사의 수업 반성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5), 999-1028.
  20. 한혜숙 (2016). 예비수학교사의 MKT 에 관한 연구. E-수학교육 논문집, 30(1), 101-120.
  21. Ball, A. L., Knobloch, N. A., & Hoop, S. (2007). The instructional planning experiences of beginning teacher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48(2), 56-65. https://doi.org/10.5032/jae.2007.02056
  22. Bogdan, R., & Biklen, S. K. (1997).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Boston, MA: Allyn & Bacon.
  23. Gagne, R. M., & Briggs, L. J. (1974).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Holt, Rinehart & Winston.
  24. Greene, B. A., Miller, R. B., Crowson, H. M., Duke, B. L., & Akey, K. L. (2004). Predicting high school students' cognitive engagement and achievement: Contributions of classroom perceptions and motiv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9(4), 462-482. https://doi.org/10.1016/j.cedpsych.2004.01.006
  25. Kinach, B. M. (2002). A cognitive strategy for develop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secondary mathematics methods course: Toward a model of effective practi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8(1), 51-71. https://doi.org/10.1016/S0742-051X(01)00050-6
  26.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 Merrill, M. D. (2002). A pebble-in-the-pond model for instructional design. Performance improvement, 41(7), 41-46. https://doi.org/10.1002/pfi.4140410709
  28. Moallem, M. (1998). An expert teacher's thinking and teaching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nd principles: An ethnographic study.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6(2), 37-64. https://doi.org/10.1007/BF02299788
  2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2007). Mathematics teaching today: Improving practice, improving student learning. Reston, VA: Author.
  30. Reigeluth, C. M. (1999). What is instructional-design theory and how is it changing.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2, 5-29.
  31. Rose, E. (2002). Boundary talk: A cultur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design and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14-22.
  32. Schon, D. A. (1992). The theory of inquiry: Dewey's legacy to education. Curriculum inquiry, 22(2), 119-139. https://doi.org/10.1080/03626784.1992.11076093
  33.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34. Silber, K. H. (2007). A principle-based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A new way of thinking about and teaching ID. Educational Technology, 5-19.
  35. So, W. W. M. (1997). A study of teacher cognition in planning elementary science lesson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1), 71-86. https://doi.org/10.1007/BF02463033
  36. Visscher-Voerman, I., & Gustafson, K. L. (2004). Paradigms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and training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2(2), 69-89. https://doi.org/10.1007/BF02504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