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reasoning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1초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검증 - 가족관계와 자원관리 단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in Home Economics on the Critical Thinking - Focusing on Family Relations and Resource Management -)

  • 변현진;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
    • /
    • 200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effect of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in Home Economics : specifically. its effect on developing of critical thinking as well as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critical thinking process. with reference to its sub-factors and the level. The research subjects were consisted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119 freshman class female students from the “A” High School and the comparative group of 110 freshman class female student from the “C” High School in the city of Chung-Ju.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the pre-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administering the Pre-Post testing to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mparativ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in Home Economics : whereas the comparative group was taught under the lecture-Instruction in Home Economic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Those who studied Home Economics under the Practical reasoning method scored higher on the critical thinking Process than the comparative group students who were taught Home Economics in the lecture-style approach. 2.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who studied Home Economics under the Practical reasoning method. scored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ir ability to perceive assumption and to render Judgment among the five sub-factors of their critical thinking processes.

  • PDF

중학교 가정과‘인간발달과 가족관계’영역의 교육자료(CD-Rom) 개발 및 현장 적용 연구 -실천적 추론 수업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CD-Rom) and Its Applications to Classroom in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hrough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Model-)

  • 유태명;장혜경;유지연;김주연;김항아;김효순;신창중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15-12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sson plans. teaching guide, and teaching materials applying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model in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he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model consists of five factors: Desired results, Awareness of context, Alternative approaches, Consequences of action, and Action. This study based on practical reasoning has following process: Curriculum development. Developing lesson pan, teaching material, an teaching guide, Experimental teaching and evaluation. Feedback, Production of CD-Rom. Teaching guide includes lesson plan, workbook multimedia materials and teaching resources. Especially teaching guide in CD-Rom can be used effectively in the actual teaching. In the classroom, this teaching model accomplished active and interesting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t is proposed that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model should be applied to other areas of home economics. In addition various teaching materials based on practical reasoning need to developed.

  • PDF

기술.가정 교과서의 소비자교육에 반영된 실천적 추론 과정 분석 (Analysis of Practical Reasoning Processes Presented in Consumer Education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 문영훈;이수희;손상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9-101
    • /
    • 2013
  •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가정 교과서의 소비자교육에 반영된 실천적 추론 과정의 경향을 살펴본 것이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이며, 학년별로 6권씩 모두 24권을 분석하였다. 분석영역은 교과서의 도입-본문-활동과제-정리 및 평가부문으로 하였다. 분석기준은 기존문헌에 포함된 실천적 추론 과정별로 다루는 내용 및 질문을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였다. 실천적 추론 과정의 분석 결과, 전 학년에 문제의 맥락과 배경요소가 가장 많이 반영되어 있었으며, 그 다음은 대안적 행동과 방법요소가 많이 반영되어 있었다. 상대적으로 행동의 파급효과요소와 행동과 평가요소는 활동과제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과서 구성부문에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실천적 추론 과정이 반영된 유형은 크게 추론 과정 전체가 반영된 유형, 일부가 반영된 유형, 본문에 포함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가장 많은 유형은 일부가 반영된 유형이었다. 일부가 반영된 유형도 질문보다는 개념중심인 경우가 많아 이 부분에 대한 실천적 추론질문의 보강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들의 실천적 추론 과정에 대한 수업 적용을 도와줄 수 있도록 실천적 추론 과정 전체를 활용하는 방안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교과서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 PDF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on Problem Solving Ability)

  • 유태명;이효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3-215
    • /
    • 2009
  • 본 연구는 "실천적 추론 수업은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학교 9학년 '주거와 공간 활용' 단원에 실천적 추론 수업을 실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2007년 11월에 동질 집단으로 검증된 실험집단 39명, 비교집단 35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게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을 비교집단에게는 강의식 수업을 각각 6시간씩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천적 추론 수업은 중학생의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었고, 둘째, 실천적 추론 수업은 문제해결력의 하위영역인 문제규정과 구성화, 대안적 해결책의 산출, 의사결정 영역에서 문제해결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으나, 해결책 실행과 확인 영역에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 학습 설계 과정에서 실천적 추론 수업에 요구되는 충분 한 수업 시간과 문제해결력의 하위영역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실천적 추론 수업에 대한 연수를 받은 실행교사를 투입할 필요가 있음이 제안되었다.

  • PDF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7학년 가정 교과서에 반영된 실천적 추론 과정의 분석 (Analysis of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 Presented in Home Economics Textbooks of 2007 Revised Curriculum)

  • 이민정;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09-138
    • /
    • 2010
  • 이 연구는 2010년부터 학교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7학년 가정 교과서에서 실천적 추론 과정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에 따른 교과서 분석에서는 발간된 교과서 12권을 모두 분석하였으며, 도입-본문내용-활동-정리 및 평가영역으로 교과서 체계를 재구성하여 분석 대상영역을 정하였다. 분석 준거는 기존 여러 문헌으로부터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가치를 둔 목표-문제의 배경과 맥락-대안적 행동과 방법-행동의 파급효과-행동 및 평가'의 요소로 분류하여 각각의 요소에서 다루는 내용 및 질문을 추출하였다. 각 교과서별로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본 결과 첫째,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가 반영된 가정 교과서는 10권으로 도입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교과서는 총 6권이었으며, 주로 행동의 파급효과 과정이 반영되어 있었다. 둘째, J교과서는 실천적 문제 중심으로 서술된 교과서로써 거의 모든 소단원의 주제를 실천적 문제로 제시하고,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로 본문내용을 구성하였다. 셋째, 활동영역은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를 가장 많이 반영하고 있는 영역으로, 모든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리 및 평가 영역은 4권의 교과서에서 실천적 추론 과정의 일부 요소가 반영되어 있었다. 교과서에 실천적 추론 과정이 반영된 유형과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첫째, 가치를 둔 목표가 부재된 유형이 있었다. 둘째, 본문내용에 실천적 추론 과정이 반영된 유형이 있었다. 셋째, 실천적 추론과정의 요소를 반영하였지만 일반적 문제 해결 과정으로 다루어진 유형이 있었다. 넷째, 서로 다른 교육과정 관점에서 소단원의 주제 및 본문내용이 서술된 유형이 있었다. 다섯째, 실천적 추론 과정의 일부 요소를 제시한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7학년 가정 교과서에 반영된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는 활동영역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대부분 실천적 추론의 일부 요소가 누락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가정 교과서 개발 시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소들이 각각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실천적 추론 과정의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가정과 교사의 Brown에 의해 분류된 가정과 교육과정 모형 선호도 -교육과정 모형을 결정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Home Economics Teaehers' Preferences for Home Economies Curricnlum Design categorized by Brown -Focusing on elements detel111ining curriculum designs-)

  • 백은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1-104
    • /
    • 1998
  •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1) to determine the preferences for three home economics curriculum designs(HECD) categorized by Majorie Brown(Technical HECD, Self Actualization HECD, and Practical Reasoning HECD), (2)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middle school HE teachers and high school HE teachers on each curriculum element, and (3)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ferences for three HECD by curriculum elements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HE teachers. For these objectives, the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HE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in the areas of Seoul, In-Cho, and Keungi. The 300 data collected by mailed survey were analyzed into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and contingency coefficient using SAS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HE teacher respeondents preferred the Practical Reasoning HECD about the following curriculum elements: Purpose of HE education, knowledge, subject matter, teaching method, society and culture, learner, learning atmosphere, and HE teacher's role. 2) No significant difference emerged when Chi-square was applied to determin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middle and high school HE teachers) on three HECD according to each curriculum element. 3) The contingency coefficient between preferences of HE education purpose for three curriculum designs and age was 21, years of teaching was 23, between preferences of learning atmosphere of three curriculum designs and location of school was. 17. These mean that the younger and more beginning teachers perferred HE purpose of the Practical Reasoning HECD, and HE teachers working in urban area more preferred learning atmosphere of Practical Reasoning HECD.

  • PDF

원격학습 환경에서 가정교과 실천적 추론 과정에 대한 중학생의 요구도 조사연구 (The Needs Assess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Classes in the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 최성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학습 환경에서 실천적 추론 과정에 대한 중학생의 요구도를 조사하고,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과 교사 상호작용, 학생 간 상호작용에 따라 요구도의 차이를 검증하며, 교사와의 상호작용,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도, 실천적 추론 과정에 대한 반영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대전, 충북, 세종 등 7개 학교의 중학생 1,842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천적 추론 과정의 질문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원격수업의 반영도를 온라인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이 중 1,095명이 답한 결과로 요구도를 산출하고,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경로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원격학습 환경에서 가정교과의 실천적 추론 과정에 대해 중학생들은 중요도 평균이 3.76으로 실천적 추론 과정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가정교과 원격수업에서 요구도의 우선순위를 The locus for focus 모델로 확인한 결과, 문제의 가치와 중요성, 문제의 상황과 관련된 고정관념, 해결방안의 파급효과, 정보의 신뢰성, 실천을 어렵게 하는 요소의 극복 방안, 실천내용을 반성하게 하는 질문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개인적 특성, 교사와의 상호작용, 학생 간 상호작용에 따라 요구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성별, 원격수업의 자발적 참여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교사와의 상호작용, 학생 간의 상호작용은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격학습 환경에서 학생의 자발적 참여도와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반영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반영도는 요구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원격학습 환경에서 실천적 추론 수업을 실행할 때 비판적 질문을 통해서 학습자로 하여금 행동을 반성하고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질문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 학생 간의 상호작용과 학생의 자발적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여 실행할 필요가 있다.

정성분석기법을 이용한 공용중인 강철도교의 잔존피로수명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tigue Life Evaluation for the Servicing Railway Steel Bridge)

  • 박용걸;최정열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82-987
    • /
    • 2004
  • Most design practices have not taken advantage of the advanced theories in the modern fracture mechanic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due to complexity of analysis as well as the large quantity of vaguely defined parameters in actual designs. This paper considers fatigue problems in bridge structures using effective analytical and design tools from the field of qualitative constraint reasoning. A set of software modules was developed for fatigue analysis ,and evaluation, which is easily applicable in engineering practices of bridge designers. The software modules integrate techniques in the field of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qualitative reasoning, into the conventional fatigue analysis. The techniques enable the use complex analysis formulations to tackle practical problems with uncertainties, and present the design outcome in two-dimensional design space. Appropriate engineering assumptions and judgments in carrying out these procedures, often the most difficult part for practicing engineers, can be partially produced by using qualitative reasoning to define the trends and ranges, interval constraint analysis to derive the controlling parameters, as well as design space to account for practical experience. This paper depicts a way of complex analysis to practical engineering designs with qualitative reasoning.

  • PDF

복잡한 분야의 한정된 데이터 상황에서의 사례기반 추론: 공정제어 분야의 적용 (Case Based Reasoning in a Complex Domain With Limited Data: An Application to Process Control)

  • 김형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2)
    • /
    • pp.75-77
    • /
    • 1998
  • Perhaps one of the most versatile approaches to learning in practical domains lies in case based reasoning. To date, however, most case based reasoning systems have tended to focus on relatively simple domains. The current study involves the development of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 complex production process with a limited database. This paper presents a set of critical issues underlying CBR, then explores their consequences for a complex domain. Finally,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s examined for resolving various types of quality control problems.

  • PDF

실천적 추론 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 유태명;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1-47
    • /
    • 2006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천적 추론을 강조한 가정과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현장 교사가 이 수업을 실행하여 자아존중감의 효과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형태는 의사실험 연구(quasi-experimental research)로서 독립 변수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수업이며 종속변수는 자아 존중감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전후검사설계로 기존의 학급을 유지하면서 실험집단에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수업을 행하고 비교 집단에는 기존에 행하고 있는 가정과수업을 그대로 행하여 실험전과 후에 자아존중감을 검사를 하였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알파계수가 .69에서 .84의 범위 수준이었다.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내었으며, 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은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특히 자아존중감 하위영역 중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실천적 추론 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결심하면 실천하도록 하며, 자신에 대해서 만족하구 혼자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자신을 좋아하고, 원하면 친구를 사귈 수 있다고 생각하게 하는데 효과적인 수업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