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가정 교과서의 소비자교육에 반영된 실천적 추론 과정 분석

Analysis of Practical Reasoning Processes Presented in Consumer Education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 Moon, Young-Hoon (Colleg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oo-Hee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hn, Sang-Hee (Dept. of Consumer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3.05.31
  • 심사 : 2013.06.30
  • 발행 : 2013.06.30

초록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가정 교과서의 소비자교육에 반영된 실천적 추론 과정의 경향을 살펴본 것이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이며, 학년별로 6권씩 모두 24권을 분석하였다. 분석영역은 교과서의 도입-본문-활동과제-정리 및 평가부문으로 하였다. 분석기준은 기존문헌에 포함된 실천적 추론 과정별로 다루는 내용 및 질문을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였다. 실천적 추론 과정의 분석 결과, 전 학년에 문제의 맥락과 배경요소가 가장 많이 반영되어 있었으며, 그 다음은 대안적 행동과 방법요소가 많이 반영되어 있었다. 상대적으로 행동의 파급효과요소와 행동과 평가요소는 활동과제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과서 구성부문에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실천적 추론 과정이 반영된 유형은 크게 추론 과정 전체가 반영된 유형, 일부가 반영된 유형, 본문에 포함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가장 많은 유형은 일부가 반영된 유형이었다. 일부가 반영된 유형도 질문보다는 개념중심인 경우가 많아 이 부분에 대한 실천적 추론질문의 보강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들의 실천적 추론 과정에 대한 수업 적용을 도와줄 수 있도록 실천적 추론 과정 전체를 활용하는 방안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교과서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how practical reasoning processes were reflected in the revised consumer education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in secondary schools. Twenty-four textbooks from secondary schools for 7th to 10th grades were analyzed. Areas of textbooks analyzed were introduction, body content, learning activity, and evaluation. Analysis criteria were extracted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regarding contents and questions dealing with practical reasoning processes and revised by a researcher of this paper.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es showed that, across all grades, "contexts" was the most common element, and "alternatives and means" was the second most common elements. The elements of "consequences", "action and reflection" were less represented in the textbooks, with the exception of the learning activity part. The types of practical reasoning process reflected were classified either as the entire process of reasoning being reflected or some of the process being reflected, or included in the body content. Most of these were some of the process being reflected. Since there were a lot of concept-oriented statements rather than questions, more practical reasoning questions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reasoning process. In addition, a need exists to develop a variety of ways to utilize the entire practical reasoning processes in the textbooks to help teachers apply the practical reasoning processes to their lesson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