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beauty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2초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의 실무경력에 따른 직무분석 (Job analysis according to the working experience of medical skincare workers)

  • 이수민;이재은;전해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41-452
    • /
    • 2021
  • 본 연구는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의 실무 경력에 따라 직무의 적합도와 중요도, 빈도, 난이도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현장에서 효율적인 직무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방법으로 빈도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 변량 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의 실무경력에 따른 직무의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피부미용 전공 교육이 메디컬 스킨케어에서 스킨케어 직무에서 적합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직무의 실제 현장에서 빈도가 높을수록 중요도가 높았고, 실무 경력에 따라 난이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료 미용산업이 성장할수록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들의 직무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전문성 있는 직무로 체계화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뷰티산업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신뢰, 이직의도와의 관계: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검증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Organizational Trust, and the Job Change Intentions of Beauty Industry Workers: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 서유정;권기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23-231
    • /
    • 2021
  • 본 연구는 뷰티산업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신뢰,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뷰티산업종사자 3개월 이상 경력자 3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 방정식 모델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뷰티산업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는 이직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뷰티산업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 중 공정성 스트레스는 조직 신뢰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뷰티산업종사자의 조직에 대한 신뢰는 이직 의도와 부(-)적인 관계에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이직 의도에 조직 신뢰와 공정성 스트레스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뷰티산업종사자의 이직 의도 감소를 위해서 조직신뢰를 증진하고 공정성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피부미용 현장 실무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수업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PBL) classes to nurture field experts in skin care)

  • 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68-178
    • /
    • 2023
  • 본 연구는 뷰티산업 현장 실무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피부미용 이론 및 실기 수업을 통해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개발 및 적용하고자 한다. 학습자들에게 피부미용 현장에서 일어나는 실제적인 문제를 제시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들 상호간에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학습자들에게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피부미용 수업을 진행하고, 수강 후 그 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본 연구 결과로 현장 실제의 문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실제 전문가들이 하는 일을 이해할 수 있었고, 주어진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는 부분을 알게 되었다고 하여 문제해결 능력 신장을 기대 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문제 탐구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과정은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인식과 현장활용성 및 만족도 연구 (The Research of Educational Recognition, Field Usability and Satisfaction for The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of Cosmetologist (Make-up))

  • 최영심;김민경;리순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02-312
    • /
    • 2019
  • 본 연구는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증 응시 경험자 및 취득자 220명을 대상으로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인식 하위요인(필요성, 효용성, 가치, 비용, 적절성)이 현장활용성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각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메이크업자격증 실기 과정 중 활용도 높은 종목은 뷰티메이크업으로 선택하였다. 자격증 교육인식에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고 비용, 연간 시험 횟수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나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장활용성에서 뷰티메이크업 활용을 높게 인식하였고 자격증 취득에 대해서 높게 만족하였으며 급여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되었다. 국가기술자격증 교육인식 하위요인 중 필요성, 비용, 적절성이 현장활용성과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그 중 적절성이 현장활용성에, 비용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메이크업 자격증 분야의 세분화 및 전문화와 취득을 위한 비용 절감 및 활용성이 높은 이론 및 테크닉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韓國) 고대(古代) 가계의 기능(機能)과 의미(意味)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Korea Ancient Gagye)

  • 임린;김은정
    • 복식
    • /
    • 제59권2호
    • /
    • pp.18-28
    • /
    • 2009
  • Korea Ancient Gagye in Clothing history has the following meanings with ceremonial, social, and aesthetic aspects, related to symbolism of its formality and procedures, flexibility about social aspects, and clothing beauty. First, Gagye must be worn in formal ceremonies with its clothes. Different Gagye in different time and place means the symbolism of its formality and ceremonies. Gagye played a big role as a means to carry out national ceremonies In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China. Second, Korea Ancient Gagye had been worn in every class irrespective of social status. Because it could be worn reflecting personal preferences even in old communities. Additionally Gagye had flexibility to reflect the historical aspects and improved various Gagye types reflecting Buddhism and practical science. So Gagye becomes significant sharing the common value with Korea Clothing culture. Third, Korea Ancient Gagye developed aesthetic spirit concerning beauty of Clothing. In the Age of the Three States, Clothing and Gagye types kept balanced and made good harmony. Gagye had gotten little exaggerated and expanded and become changed into loaded hair type.

누비기법을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 색실누비기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using Quilting Technique - Focused on the colored tread quilting technique -)

  • 오가영;김정호
    • 복식
    • /
    • 제60권10호
    • /
    • pp.80-8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containing Korean beauty with modern sense by applying quilting with dyed threat among Korean traditional quilting works. Quilting with dyed thread using various colored thread expresses curve, straight and oblique lines harmoniously, is mainly used to make household goods such as a pouch, a spectacle case and a quilting pocket and a circular pattern, a cross pattern and a geometric pattern are shown in this kind of quilting. As for sewing method, half backstitch and full backstitch are used, and products made by this method are pouches stuffing pads in cotton or silk and quilting it finely to make patterns with various colored threads of stuffing cotton between linings and spectacle cases, a packet of needles and case of spoon and chopsticks which give various feelings according to arrangement of colors. Design of cultural products by applying the beauty of curves of hanbok, sleave-seam of jeogori, trimming line of dangeui. We expect that various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convenience will be developed continually by introducing the artistic strength of quilting with dyed thread to practical life.

여성 생활한복을 위한 디자인 개발 (Design Development for Activation of Women s Hanbok)

  • 조오순;전정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1378-1385
    • /
    • 2001
  • Texti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design for activation of women s hanbok focused on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as well as on keeping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n to produce them. As a result of these explorations, I have reached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transformation of jackets and skirts are mainly limited to partial change in elements of the dress design-width and length of a jacket string and the upper strip on the outside of a jacket, change in width, and granting of symbolic meaning. Second, aesthetic features and formative beauty of traditional hanbok that the harmonization of mainstream colors and highlighting colors and curved silhouettes evoke were mental by products created as our people wished to become friendly to and to harmonize with nature. Third, grounded upon study of lines form and survey on brands, I have developed designs that maintain hanbok’superiority and at the same time incorporate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to fit modern life. I believe that the outcome of these of these explorations will contribute greatly to carrying the traditional beauty of Korean dresses to the maximun, and to developing and popularizing functional and practical living-fitted Korean dresses.

  • PDF

통일신라시대 와당의 식물 문양을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A Study on Nail Art Design by Application of the Plant Patterns of the Wadang in the Unified Silla Period)

  • 조한솔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9-168
    • /
    • 2022
  • With the recent proliferation of Hallyu content, national interest in Korea and the demand for designs with traditional Korean patterns as a motif is on the rise. In addition, as customers' design requirements tend to value more and more detailed and differentiated handcrafted designs, research on the motifs used in nail experts' original nail design development and nail design is continuously nee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cope of nail design motifs with high practical value by producing nail design works applying plant patterns of Wadang, us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o diversify nail art expression techniques. The research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lated to Wadang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alyzed the collec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categorized the motif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patterns and Wadang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tangible motifs are intended to be presented as a fusion of nail art design works that utilizes both flat and stereoscopic art technique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lant pattern of Wadang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is an attractive motif that can be expressed in various nail designs expressing Korean emotions and traditional beauty, and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dea of various beauty design areas.

발해의 미용문화연구 (A Study on Balhae Beauty Culture)

  • 석은경;채금석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8-38
    • /
    • 2008
  • Balhae was an ancient Korean kingdom that existed almost 1,300 years ago. It was a dynamic time in the Korean history when the national strength was building up in terms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ereby called as "Haedongseongguk, the powerhouse in the East". Balhae had dominated parts of Manchuria and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the late 7th century and the 10th century, occupying the center stage of the northern Korean history. It serves as a window to the East Asia in the present as well as in the past. Yet, due to its geography spanning from the North Korea to Kilin Province of China to part of Heilongjiang Province and to the Littoral Province of Siberia, Balhae has been the center of historical disputes among neighboring countries that insist it is part of each of their own history. China argues that it was a prefecture of the Tang Dynasty, established by the Mohe, not a successor to Goguryeo, which is a China-oriented viewpoint of history. In addition, Russia recognizes Balhae as their first-ever medieval feudal state since the Littoral Province is now under their sovereignty. Therefore, the restoration of Balhae history is in line with the veritable establishment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For this, it is necessary to embrace inter-disciplinary achievements and to continue efforts to adopt them rather than to blame the shortage of historical documents and the difficulty of the excavation of relics. If fashion is "a visual symbol" of our society, beauty culture serve as a mirror to reflect our civilization and culture directly or indirectly. Still, it is not easy to draw similarities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attributes of various cultures and civilizations party because the essence of culture lies in diversity. Nevertheless, it is believed that cultural liaison as well as geographical liaison can be a medium to compensate for the limits of the foreign exchange history of Southeast Asia in 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and Balhae, by examining and speculating beauty culture that reflect their period. It was confirmed by various documents regarding Goguryeo out of relics, historical sites and documents. Mural paintings showed how the people of Balhae wore and accessorized themselves. They also allowed us to speculate their way of living. As the contemporary historians can assert that Balhae is part of the Korean history thanks to the realism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rediscovered the Balhae history and conducted practical researches, it is expected that researchers who study beauty culture contribute to completing the restoration of the Balhae history by thoroughly examining our history, costume and beauty culture.

  • PDF

뷰티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의 간접적 직무체험 (Job Shadowing)에서 직업진로 발달의 이해 (Understanding of the Career Development in the Job Shadowing of the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 조은희;박주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1호
    • /
    • pp.77-10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이 직무현장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에서 자신의 직업관, 진로발달, 그리고 자아에 대한 성찰을 어떻게 형성하는가를 다각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뷰티분야 직업현장을 참여 관찰하고 현직자와 인터뷰를 체험한 수도권 소재의 A대학 뷰티미용전공 학생 8명을 표본으로 선정하고,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그들이 경험한 의미를 해석하였다. 심층면담 결과에 따르면, 참여자들은 간접적 직무체험(직업현장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을 통해서, 첫째 뷰티업무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필요한 태도, 지식, 역량, 조건 등이 무엇인지를 학습하였다. 특히, 참여자들은 뷰티업종에서 직무수행의 핵심 역량이 고객과의 인간관계라는 사실을 학습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뷰티 직업이 실제 고되고 힘들다는 현실을 알게 되었고, 미래에 어떠한 진로를 선택할지에 대한 직업진로 결정의 준거를 설정하게 되었다. 즉, 그들은 직무현장 관찰을 통해 뷰티직업에 대한 그들 자신 직업선택 관점의 변화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직업진로 결정 여부 이외에 자신들의 전공에 대한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성찰 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뷰티미용전공 전문대생이 직무관찰을 통해 직업진로 발달 및 직업관 변화를 맥락적으로 파악했다는 데 그 이론적 의의가 있다. 아울러, 현장실습 및 인턴십 등 직접적인 직무체험에서 진로교육 의미 탐색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참여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라는 간접적 직무체험에서 학생들이 무엇을 학습을 했는지를 심층 분석했다는 점에서 향후 전문대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