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Korea Ancient Gagye  

Yim, Lynn (Dept. of Fashion Design, Honam University)
Kim, Eun-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9, no.2, 2009 , pp. 18-2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Korea Ancient Gagye in Clothing history has the following meanings with ceremonial, social, and aesthetic aspects, related to symbolism of its formality and procedures, flexibility about social aspects, and clothing beauty. First, Gagye must be worn in formal ceremonies with its clothes. Different Gagye in different time and place means the symbolism of its formality and ceremonies. Gagye played a big role as a means to carry out national ceremonies In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China. Second, Korea Ancient Gagye had been worn in every class irrespective of social status. Because it could be worn reflecting personal preferences even in old communities. Additionally Gagye had flexibility to reflect the historical aspects and improved various Gagye types reflecting Buddhism and practical science. So Gagye becomes significant sharing the common value with Korea Clothing culture. Third, Korea Ancient Gagye developed aesthetic spirit concerning beauty of Clothing. In the Age of the Three States, Clothing and Gagye types kept balanced and made good harmony. Gagye had gotten little exaggerated and expanded and become changed into loaded hair type.
Keywords
Gagye; ceremonial function; social function; aesthetic function; symbolism; flexibility; beauty of cloth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東史綱目. 卷1, 上, 箕子朝鮮 元年. 敎民編髮蓋首 君臣 男女飮食居處之制 自此始爲
2 五洲衍文長箋散稿. 卷15, 東國婦女首飾辨證說. 新羅婦 人美髮燎首 句麗鬐髻垂右肩 百濟則分兩道 大振相類 而都只爲殷之遺制
3 晋書. 卷97, 列傳 第87, 東夷, 馬韓, 而貴纓珠 用以綴衣 或飾髮垂耳
4 海東繹史. 卷第20, 禮志3, 儀物, 章服. 三韓婦人 盤髮爲飾 女子卷而垂子後 然或作鴉髻 餘則垂之
5 沈從文 (1997). 中國古代服飾硏究. 上海: 上海書店出版社. p. 62
6 英祖實錄. 卷70, 25年 9月(成辰). 今之髻 印周副編次之 遺制 不可非禮
7 星湖僿說. 卷6, 萬物文, 髮?. 周禮追師王后之首服副編次${\cdots}$合盛世風采宛
8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 39
9 위의 책, p. 39
10 한병삼 (1973). 한국미술전집2 (고분미술). 서울: 동화출판사, p. 130
11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II.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p. 270-272
12 강순제 (1992). 우리 冠帽의 始末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9
13 김용준 (1957). 안악 제3호분(하무덤)의 년대와 그 주인공에 대하여. 문화유산, 3, p. 12
14 허정희 (2002). 안악3호분의 주인공 복식에 관한 연구-중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30-35
15 임린, 김은정 앞의 책, p. 149
16 김원룡 (1996) 한국미의 탐구. 서울; 열화당, pp. 17-31
17 정미경 (1989). 우리나라 여안의 머리모양에 관환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
18 위의 책, p. 155
19 周禮. 卷8, 追師. 王后之首服 爲副編次追衡笄${\cdots}$玄謂副 之言覆 所以覆首爲之飾 其遺象若今步搖矣服之以從 王祭祀 編編列髮爲之 其遺象若今假髻矣 服之以桑也 次次第髮長短爲之 所謂髲髢 服之以見王王后之燕居
20 Michal Sullivan (2002). The ARTS of CHINA. Univ of California Pr. p. 139
21 임린, 김은정 (2007). 확대형 두발양식의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조선후기와 로코코시대의 비교분석. 복식, 57(4), p. 153
22 周汛, 高春明 (1988). 中國歷代婦女裝節. 上海: 學林出版社, p. 16
23 釋名. 卷4, 釋首飾. 簂恢也 恢廓覆髮土也
24 한병삼 앞의 책, p. 98
25 호암미술관학예연구실 (1999). 인물로 보는 한국미술. 서울: 호암미술관, p. 111
26 강순제, 앞의 책, p. 26
27 王子淸 (1975). 歷代婦女袍服考實. 北京: 中國祺袍硏究會 . 欣欣彩色製版有限公司, p. 48
28 조선화보사 (1986). 고구려고분벽화. 북한소적학술총서8. 조선화보사출판부, p. 79
29 周汛, 高春明. 앞의 책, p. 36
30 東國通鑑. 三國記, 文武王2年 頭髮. 海東繹史. 世紀10新羅, 眞平王53年, 女樂二人(皆鬒髮美色). 三國史 記. 新羅本紀, 聖德王 22年, 美髢. 增補文獻備考. 朝聘1, 聖德王29年 頭髮八十兩. 海東繹史, 交聘志, 聖德 王33年 頭髮百兩, 海東繹史, 交聘志, 景文王9年, 四尺五寸 頭髮百五十兩 · 二尺五寸頭髮三百兩 . 金叙 . 頭五色綦帶 . 瑟瑟鈿金針筒
31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앞의 책, p. 212
32 추원교 (1989). 한국여성장신구의 형성과정과 조형성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9
33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96). 한국 한자어사전, 4.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p. 953
34 周汎, 高春明. 앞의 책, p. 49
35 위의 책, pp. 144-145
36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000). 漢韓大辭典, 권1,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p. 415
37 星湖僿說. 卷6, 萬物文, 髮?. 巾幗婦人之服 幗本作簂 卷幘也 以巾爲之 故從巾而作幗
38 說文解字. 第14, 上, 新府. 釵笄屬
39 김원룡 (1980). 한국미술전집4(벽화). 서울: 동화출판사, p. 71
40 김영숙 (1988). 한국복식사사전. 서울: 민문고, p. 35
41 釋名. 卷4, 釋首飾. 梳言其齒疏也 數言比 比於疎其齒差 數也 比言細相比也
42 邢莉 (1995). 中國女性民俗文化. 北京: 中國檔案出版. pp. 158-159
43 東史綱目. 卷1, 上, 箕子朝鮮 40年. 當時制作 雖無傳者${\cdots}$婦女之首節說者謂 殷之遺制 其或信烈也
44 하일식 (2003). 통일신라시기의 羅唐 교류와 唐 官制의 수용. 강좌 한국고대사4, 서울: 가락국사적개발 연구원. p. 183
45 김용문 (1992) 가계와 보요에 관한 연구-중국을 중심으로. 복식, 18, p. 221
46 星湖僿說. 卷6, 萬物文, 髮?. 羅濟句麗時以髮燎首 分明 是殷之遺制
47 星湖僿說. 卷6, 萬物文, 髮?, 古者惟盛服用髮 其餘自 王后至士庶 皆不然 不似今之常用 故雖不取他人髮 可以用之
48 隋書, 卷81,列傳 第46, 東夷, 百濟. 辮髮垂後 已出嫁則 分爲兩道 盤於頭上
49 임린, 김은정 (2005). 한국 가계양식의 변천과정과 특성. 복식, 55(7). p. 144
50 한국고전용어사전편찬위원회 (2001). 한국고전용어사전, 3.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972
51 황호근 (1976). 한국 장신구 미술연구. 서울: 일지사, p. 90
52 周汛, 高春明, 앞의 책, p. 15
53 周汛, 高春明. 앞의 책, p. 49
54 說文解字. 第7, 下, 巾部, 婦人首飾
55 舊唐書, 卷199, 列傳, 高麗傳. 衣裳服飾 唯王五綵 以白羅爲冠, 白皮小帶 其冠及帶 咸以金飾, 官之貴者 則靑羅爲冠 次 以排羅 插二鳥羽 及金銀爲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