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tato chip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2초

Potato Chip 제조시 TBHQ 와 Silicone 첨가유에 의한 저장 연장 효과 (Storage Effectiveness of Deep-Fried Potato Chip Prepared with Canola Oil Fortified with TBHQ and Silicone)

  • 정병두;이순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35-640
    • /
    • 1997
  • Potato chip을 제조시 canola유를 선택하여 potato chip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potato chip의 기름 함량이 40%정도까지 흡수하게 되는데 이 흡수된 기름이 저장과 유통되는 동안 potato chip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항산화제인 BHA, BHT, TBHQ와 silicone유를 첨가한 첨가 유의 항산화제 효과를 관능 검사와 함께 비교 고찰하였다. Potato chips에서 추출한 oil의 항산화제 효과는 canola oil+TBHQ (0.02%)+silicone (10 ppm)에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었고 다음은 canola oil+TBHQ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보다 silicone을 첨가한 것이 탁월한 안정성을 보였고 항산화제로서 TBHQ가 매우 효과가 있었고 silicone를 첨가한 유지에서 탁월한 저장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canola oil은 2개월부터 overall, flavor, aftertaste의 변화에 약간의 유의차를 나타내었으며 TBHQ과 silicone을 첨가한 oil는 2개월에서는 전 항목에서 변화가 없었고 4개월부터 overall, flavor, freshness, aftertaste의 항목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2개월 정도 저장 안정성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와 자연저온(自然低溫)에 의한 발아식품(發芽食品)의 Batch Scale 저장(貯藏)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2보(第二報) : 조사(照射)감자의 장기간(長期間) 저장후(貯藏後) Potato Chip 가공적성(加工適性)에 대하여 - (Batch Scale Storage of Sprouting Foods by Irradiation Combined with Natural Low Temperature - II. Suitability for Potato Chip Processing of Irradiated Potatoes after Storage -)

  • 변명우;이철호;조한옥;권중호;양호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64-369
    • /
    • 1982
  • 감마선 조사(照射)와 자연저온(自然低溫)에 의한 감자의 상업적(商業的) 저장법(貯藏法) 개발(開發)을 목표(目標)로 제일보(第一報)와 같은 방법으로 Irish cobbler와 Shimabara 품종(品種)을 7개월(個月) 및 9개월간(個月間) 각각(各各) 저장(貯藏)하면서 potato chip 제조적성(製造適性)에 대한 실험(實驗)을 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9개월간(個月間) 저장(貯藏)한 Irish cobbler로 제조(製造)된 potato chip은 기계적(機械的) 및 관능검사결과(官能檢査結果) 대조구(對照區)가 무처리구(無處理區)보다 우수하였다. 2. Potato chip 수율(收率)에 영향이 큰 제피율(除皮率)에 따른 손실은 무처리구(無處理區)가 조사구(照射區)보다 $20{\sim}25%$ 높았다. 3. 단경기(端境期)에 있어서 potato chip 가공원료(加工原料)로써 방사선(放射線)과 자연저온(自然低溫)에 의하여 저장(貯藏)된 감자가 적당하였다.

  • PDF

춘작 재배시 Chip 가공용 감자 품종에 따른 저장성 연구 (Studies on storage of potato chip variefies on spring crop)

  • 김경제;이은상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69-78
    • /
    • 2002
  • 춘작 재배시 가공용 감자 품종의 품질 요인을 분석하고 저장중 glucose 및 sucrose 함량과 chip color의 변화를 알기 위해하여 99년 4월 1일부터 7월 10일까지 재배한 감자 품종을 104일 동안 저장하여 춘작 재배에 가장 좋은 품질을 나타내는 품종 및 요인을 밝혀내기 위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육 중 잎의 질소 농도는 생식 행장 초기와 괴경 성숙 단계인 개화 말기에 잎의 질소 농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2. 생육중 잎의 K+ 농도는 종생종은 70일 만생종인 snowden은 90일부터 높게 나타나 약 20일간의 차이를 보였다. 3. Snowden 품종은 춘작재배시 110일 이상 수확 일수 확보가 어려워 춘작 재배 품종으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4. Solid 함량과 sugar 함량은 chip color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solid가 높을수록 sugar 함량이 낮고 저장 중품질의 변화가 적었다.

  • PDF

감자의 전처리 방법에 따른 환원당 함량과 potato chip의 색상 (Reducing sugar contents of potato tubers and potato chip color by pretreated methods)

  • 남경아;노완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6호
    • /
    • pp.437-442
    • /
    • 1992
  • 우리나라에서 널리 보급되어 재배되고 있는 감자 품종인 수미(秀美, Superior) 및 남작(男爵, Irish Cobbler) 두 품종을 원료로 potato chip을 제조할 때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Maillard 반응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환원당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저해제로 알려진 $CaCl_2$와 NaCl을 사용하여 감자를 전처리한 후 환원당 함량을 분석하고 potato chip을 제조하여 색상을 비교한 결과 NaCl로 침지 처리한 경우에는 환원당의 감소가 $15{\sim}30%$에 불과하고 chip의 색상도 좋지 못하였다. 그러나 NaCl 침지 가열처리의 경우에는 환원당의 감소가 평균 40%였으며, 특히 두 품종 모두 0.08% NaCl 용액으로 5분 및 7분간 처리한 것이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CaCl_2$ 용액에 침지처리한 것은 NaCl 용액으로 처리한 것보다 효과는 있었으나 색상이 고르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갈색화되었다. $CaCl_2$용액에 침지 가열처리한 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환원당의 감소가 약 50% 정도였으며 그 중에서도 0.05% 및 0.07% $CaCl_2$ 용액에 5분 및 7분간 처리한 것이 환원당의 감소는 물론 chip의 색상도 가장 좋았다. 침지시 상온에서 처리하는 것보다는 $72{\sim}82^{\circ}$ 에서 NaCl 용액 보다는 $CaCl_2$ 용액으로 blanching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Factors Influencing the Acrylamide Content of Fried Potato Products

  • Jin, Yong-Ik;Park, Kyeong-Hun;Chang, Dong-Chil;Cho, Ji-Hong;Cho, Kwang-Su;Im, Ju-Sung;Hong, Su-Young;Kim, Su-Jeong;Nam, Jung-Hwan;Sohn, Hwang-Bae;Yu, Hong-Seob;Chung, Ill-Mi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47-255
    • /
    • 2016
  • BACKGROUND: Acrylamide (CAS No. 79-06-1) is known to be a carcinogenic compound, and is classified as a Group 2A compound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1994). Acrylamide can be generated during the browning process via the non-enzymatic Maillard reaction of carbohydrates such as reducing sugars and of amino acids such as asparagine, both of which occur at a temperature above $120^{\circ}C$. Potato tubers contain reducing sugars, and thus, this will affect the safety of processed potato products such as potato chips and French fries. In order to reduce the level of acrylamide in potato processed product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understand factors that affect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potatoes, such as environmental factors and potato storage conditions, as well as understanding factors affecting acrylamide formation during potato processing itself. METHODS AND RESULTS: Potatoes were cultivated in eight regions of Korea; For each of these different environments, soi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H, electrical conductivity,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cation content were measured and correlations with potato reducing sugar content and potato chip acrylamide levels were examined. The reducing sugar content in potato during storage for three months was determined and acrylamide level in potato chip was analyzed after processing. The storage temperature levels were $4^{\circ}C$, $8^{\circ}C$, or $10^{\circ}C$, respectively. The acrylamide content of chips prepared from potatoes stored at $10^{\circ}C$ or $20^{\circ}C$ for one month was analyzed and the different frying times were 2, 3, 5, and 7 m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hosphate content within a potato field should be sufficient to avoid producing brown or black potato chips. For potatoes stored at low temperatures, a reconditioning period ($20^{\circ}C$ for 20 days) is required in order to reduce the levels of reducing sugars in the potato and subsequently reduce the acrylamide and improve chip coloration and appearance.

Quantity and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Potatoes for Chipping during Autumn Cultivation by Harvest Time

  • Gyu Bin Lee;Jang Gyu Choi;Do Hee Kwon;Jae youn Yi;Young Eun Park;Yong Ik Jin;Gun Ho Ju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25-25
    • /
    • 2023
  • As the demand for processing potatoes increases, imports of raw potatoes and potato products are increasing,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potato production as raw materials for processing in Korea. Potato varieties for processing that can be grown in fall have been developed, but research on cultivation technology and processing quality management technology to improve chip processing quality is ver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harvest time by investigating the quantity and chipping characteristics of potato chips during autumn cultivation. As the test varieties, the chip processing varieties "Saebong", "Eunsun", and "Geumnaru" were used, and the potato cultivation site was the Seocheon-gun Test field (214 Gaeya-ri) of the Chungcheongnam-do. The test treatment was at harvest time after spring cultivation, and the potatoes were harvested at 70, 80, 90, and 100 days after sowing based on the sowing time. The investigation items were potato productivity (total yield, yield of standard processing, and number of tubers) and chip-processing characteristics (chip color, dry matter content, glucose content, etc.).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yiel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arvest tim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found according to the treatment. The total yield (ton/ha) was 27.5 to 3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ime of 70 to 100 days after harvest. The standard quantity for processing (yield of 81-250g potatoes per unit) also showed a similar trend. In chipp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rvest tim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high in specific gravity and glucose content. The specific gravity was highest at 1.077 at 70 days after harvest, and the glucose (mg/dL) content was the lowest at 37.5 at 80 days after harv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recognized, but chip color (L value) was the highest at 64.4 at 70 days after harvest.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chip processing is 70 to 80 days after sowing.

  • PDF

감자 유전자원 평가 및 다양한 컬러 감자 품종 개발 (Evaluation of Potato Genetic Resources and Development of Potato Varieties with Diverse colors)

  • 임학태;이규화;구동만;양덕춘;전익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4-274
    • /
    • 2003
  • 한국감자육종소재 은행(KPGR)에서 는 많은 감자유전자원을 수집함과 동시에 수집된 유전자원을 분석해서 감자육종에 활용하고 있다 다양한 유전자원 중에서 2001년 우리나라 준고냉지 지역인 장평과 양구에서 수확한 58가지 감자 계통 및 품종에서 식용 및 칩 가공에 적합한 품종 및 계통을 선발하였다. 감자의 선발 기준은 지역적 응성, 감자 괴경형태(눈 깊이, 모양, 표피색, 육색, 생산량, 더뎅이병 저항성과 중심공동 및 내부갈색저항성)와 감자의 칩 색도에 아주 큰 영향을 주는 환원당 함량 등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기존 '수미'와 대등한 흰색 표피 품종은 '얼리밸리', '썸머밸리', '윈터밸리', '태복밸리'였고, '골든밸리'는 노란색 품종으로, '고구밸리'와 '주스밸리'는 적색표피 품종으로, '퍼플밸리'는 보라색 표피 품종으로 각각 선발되었다. 가공용 재배 품종인 '대서' 칩 색도와 비슷하고 생산량(4.0톤ha)이 비교적 높고 환원당 함량(0.30%이하)이 비교적 낮은 24계통 및 품종이 선발되었다. 선발된 계통 및 품종의 괴경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태동밸리', '강심밸리', '강원밸리' 품종이 밝은 흰 색칩용으로 선발되었는데 환원당 함량은 각각 0.23%, 0.27%와 0.29%였으며; '보라밸리', '로즈밸리', Valley54는 칼라 칩용으로 선발하였는데 그중 '보라밸리' 의 환원당 함량은 0.26%로서 밝은 보라색 칩색도를 나타냈으며 '로즈밸리'의 환원당 함량은 0.19%로서 칩 색도는 밝은 황색을 나타냈으며 밸리54의 환원당 함량은 0.27%였다. '스틱밸리'와 밸리72은 프렌치 프라이용으로 선발하였는데 환원당 함량은 각각 0.22%와 0.15%로서 괴경의 형태가 비교적 긴 형태로서 프라이 색도는 밝은 담황색을 나타냈다.

감자의 가공제품 종류와 조리방법에 따른 Glycoalkaloid의 함량 (Glycoalkaloid content in potato tubers by various cooking methods and potato products)

  • 김정애;소궤신행;한재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6-80
    • /
    • 2004
  •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감자 가공제품 12종류와 8가지의 다른 방법으로 조리한 감자 가공품의 potato glycoalkaloid(PGA)의 함량을 HPLC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리 후 PGA의 감소는 물에 삶은 감자(91.68%)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물에 데친 감자(84.17%)였다. 기름에 튀긴 감자와 볶은 감자의 감소율은 각각 49.42%, 49.51%였으며 찐 감자는 50.52%로서 삶은 것에 비하여 감소율이 낮았으며 전자레인지에서 조리한 감자는 40.82%, 구운 것은 9.14%로서 가장 감소율이 낮았다. 증류수에 삶은 감자보다 1% 소금물에 삶은 감자의 PGA가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PGA 함량의 감소율이 높은 순서는 boiling 〉 blanching 〉 boiling with 2% NaCl 〉 steaming 〉 sauteing 〉 frying 〉 microwaving 〉 baking 이었다. 2. 수입 감자로 만든 국내회사의 1종류 potato chip에서 PGA 69.57mg/100g 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동일 브랜드의 국내산 감자로 만든 potato chip은 0.23mg/100g으로 미량이 함유되었다. 냉동 french fry용 감자에서는 미국산, 캐나다산의 수입 제품은 각각 PGA 5.54mg/100g, 6.45mg/100g 이었으나 국내산은 2.05mg/100g 였다. 국내 유명 fast food점 2곳에서 판매되고 있는 french fry 감자에는 PGA가 검출되지 않았다. Potato powder로 만든 과자류는 미국산 수입제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국내사 2종류는 3.68mg/100g, 4.88mg/100g 의 함량을 보였다.

Brazilin의 Potato Chip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Brazilin on Potato Chips)

  • 최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62-668
    • /
    • 2009
  • 소목으로부터 분리한 brazilin을 potato chip 제조시 사용하는 튀김유에 첨가하여 항산화 활성 정도를 시험하였다. 이때 현재 사용중인 항산화제도 동일 조건에서 시험하였다. 저장 30일 후 potato chip에서 추출한 유지의 과산화물가는 대조구(control), BHA(50 ppm)-BHT(50 ppm), $\delta$-tocopherol(100 ppm) 및 brazilin(100 ppm)이 각각 134 meg/kg oil, 84.06 meg/kg oil, 117.10 meg/kg oil 및 68.56 meg/kg oil을 나타내었다. 각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BHA(50 ppm)-BHT(50 ppm)가 1.6배, $\delta$-tocopherol(100 ppm)이 1.14배, brazilin(100 ppm)이 1.97배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위 결과에서 brazilin(100 ppm)의 경우, BHA(50 ppm)-BHT(50 ppm)보다도 과산화 물가가 낮아 과산화물 생성 억제력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유도기간연장 효과는 Rancimat을 이용한 고온가열시험($180^{\circ}$, 100 ppm)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BHA(50 ppm)-BHT(50 ppm)가 1.4배, brazilin (100 ppm)이 1.53배로 brazilin이 상업용 항산화제보다 보다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brazilin(100 ppm)은 palmitic acid($C_{16:0}$)/linoleic acid($C_{18:2}$) 값의 감소를 억제하는 능력과 conjugated dienoic acid 함량의 증가 억제력이 상업용 항산화제보다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