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tato, late blight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1초

Screening for Antifungal Endophytic Fungi Against Six Plant Pathogenic Fungi

  • Park, Joong-Hyeop;Park, Ji-Hyun;Choi, Gyung-Ja;Lee, Seon-Woo;Jang, Kyoung-Soo;Choi, Yong-Ho;Cho, Kwang-Yun;Kim, Jin-Cheol
    • Myco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79-182
    • /
    • 2003
  • A total of 187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11 plant species, which were collected from 11 locations in Korea. Their antifungal activities were screened in vivo by antifungal bioassays after they were cultured in potato dextrose broth and rice solid media.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such as Magnaporthe grisea(rice blast), Corticium sasaki(rice sheath blight), Botrytis cinerea(tomato gray mold), Phytophthora infestans(tomato late blight), Puccinia recondita(wheat leaf rust), and Blumeria graminis f. sp. hordei(barley powdery mildew) was determined in vivo by observing the inhibition of plant disease development. Twenty(11.7%) endophytic fungi fermentation broths were able to control, by more than 90%, at least one of the six plant diseases tested. Among 187 liquid broths, the F0010 strain isolated from Abies holophylla had the most potent disease control activity; it showed control values of more than 90% against five plant diseases, except for tomato late blight. On the other hand, fourteen(7.5%) solid culture extracts exhibited potent disease control values of more than 90% against one of six plant diseases. The screening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suggested that metabolites of plant endophytic fungi could be good potential sources for screening programs of bioactive natural products.

Gui Valley: A High Yielding Potential and Good Processing Potato Cultivar

  • Lim, Hak-Tae;Dhital, Shambhu Prasad;Khu, Don-Man;Li, Kui-Hwa;Choi, Seon-Phil;Kang, Chang-Won;Kim, Tae-Joo;Mo, Hwang-Sung;Hwang, Won-Nam;Lee, Woo-Jo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83-488
    • /
    • 2009
  • The main objective of this breeding program is to develop high yielding, disease resistance and good processing potato cultivar. 'Gui Valley' is a clonal selection resulting from a cross between 'ND2471-8' and 'Cona'. It has medium plant height and light green foliage. 'Gui Valley' has medium flowering habit and light pink flowers. 'Gui Valley' is a medium maturing potato cultivar and tubers are smooth, yellow skin, light yellow flesh, long-oval tuber shape, distinct red eyes with medium depth and medium dormancy. It has high level of tuber uniformity and good keeping quality. 'Gui Valley' demonstrates resistance to potato virus Y (PVY), soft rot, but moderately susceptible to late blight and common scab. It is also resistant to most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physiological disorders particularly dehiscence, hollow heart and internal brown spot. The specific gravity of 'Gui Valley' is significantly higher (1.097) than that of 'Shepody' (1.078). 'Gui Valley' has suitable for processing mainly French fries and chips. This cultivar has high level of tuber uniformity and capable of yielding 37.6 $t{\cdot}ha^{-1}$, which is 18.2% higher than the control potato cultivar 'Shepody' under optimum agronomical practices.

한지형잔디에 설부병 방제에 대한 살균제, 노즐타입 및 살포약량의 평가 (Evaluation of Fungicides, Nozzle Type, and Spray Volume on Control of Typhula Blight on Cool Season Turfgrass)

  • 장태현;장석원;정근화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0-170
    • /
    • 2011
  • 설부병에 원인이되는 Typhula species 대하여 살균제의 감수성을 실내에서 연구하였다. 살균제, 노즐타입 및 살포약량에 대한 효과와 살균제의 살포시기(이른가을과 늦가을)에 대한효과 위스콘신에서 겨울동안 설부병에 대한 약제의 방제 효과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모든 살균제는 Typhula spp.의 8균주에 대하여 실내 PDA 배지 상에서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8균주에 대한 균사생장 저지효과는 propiconazole $1.0{\mu}g$ (a.i) / ml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Typhula incarnata 2균주는 T. ishikariensis 6균주(3품종)보다 모든 살균제에서 더 감수성을 보였다. 2년 동안 포장시험에서 7개 농약을 2지역에서 살포하였으나, 무처리구에서만 병 발생이 심각하였다. Propiconazole이 설부병 방제에 2년 동안 2곳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약제 살포용 노즐타입이나 살포약량은 두 곳 시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살제 살포시기도 설부병 방제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Resistance Induction and Enhanced Tuber Production by Pre-inoculation with Bacterial Strains in Potato Plants against Phytophthora infestans

  • Kim, Hyo-Jeong;Jeun, Yong-Chull
    • Mycobiology
    • /
    • 제34권2호
    • /
    • pp.67-72
    • /
    • 2006
  • Efficacy of resistance induction by the bacterial isolates Pseudomonas putida (TRL2-3), Micrococcus luteus (TRK2-2) and Flexibacteraceae bacterium (MRL412), which were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f plants growing in Jeju Mountain, were tested in a greenhouse. The disease severity caused by Phytophthora infestans was effectively reduced in the potato plants pre-inoculated with bacterial isolates compared with those of the untreated control plants growing in a greenhouse. In order to estimate the level of protection by the bacterial isolates, Mancozeb WP (Diesen $M^{(R)}$, Kyong nong) and DL-3-amino butyric acid (BABA) were pre-treated, whereas Dimethomorph WP ($Forum^{(R)}$, Kyong nong) and phosphonic acid ($H_{3}PO_{3}$) were post-treated the challenge inoculation with the pathogen. Disease severities of chemical pre-treated as well as post-treated plants were reduced compare to those of the untreated. The disease reduction in the plants pre-treated with Mancozeb WP was the highest, whereas that of post-treated with Dimethomorph WP was the lowest. The yields of plants pre-inoculated with three bacterial isolates were greatly increased than those of control pla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ological control by bacterial isolates might be an alternative strategy against late blight disease in potato plants growing in greenhouse.

Selection of RAPD Markers for Phytophthora infestans and PCR Detection of Phytophthora infestans from Potatoes

  • Kim, Kyung-Su;Lee, Youn-Su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9권2호
    • /
    • pp.126-132
    • /
    • 2001
  • For rapid and secure differentiation of P. infestans from other Phytophthora species, two fragments obtained from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profiles were selected as markers. Also, primers for i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o detect P. infestans specifically were developed by analyzing the sequences of ITSII regions in rDNA of Phytophthora species. The primers, PISP-1 and ITS3 amplified a single. Fragment 450 bp of about in P. infestans, but not in other fungal or bacterial isolates. Annealing temperatures and template DNA quantities were varied for the optimization of PCR conditions. From the result of the PCR detection study, species-specific primers were selected under annealing temperatures ranging from 55$^{\circ}C$ to 61$^{\circ}C$, and template DNA levels ranging from 10 pg to 100 ng.

  • PDF

감자 역병균 생리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Races of Phytophthera Infestans on Patatoes)

  • 강응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4-26
    • /
    • 1965
  • In July, 1963, a virulent outbreak of late blight in the potato field of Daekwanlyung area was studied and it was known as epidemics. Two stocks are $T_1$ and $T_1$ of Phytophthora infestans (Mont.) De Bary which isolated from Irish Cobbler were inoculated at field and green house respectively by cutted leaves method. Two strains have been distinguished in reactions to leaves: $T_1$: Irish Cobbler (r), Morin No. 1 (r) have shown infectivity of disease and Kennebec ($R_1$), 1512-C(16) ($R_2$), Pentland Ace ($R_3$) and Hokkai No. 17 ($R_4$) have not shown infectivity of disease; $T_1$: Irish Cobbler (r), Norin No. I (r) and Kennebec ($R_1$) have shown infectivity of disease and 1512-C (16) ($R_2$), Pentland Ace ($R_3$) and Hokkai No. 17($R_4$) have not shown infectivity of disease. Both are the first record of race O and race 1 of Phytophthora infestans (Mont.) De Bary in Korea.

  • PDF

Potato virus Y에 의한 하령 감자의 괴경 괴저증상 (Superficial Tuber Necrosis in Potato Cultivar 'Haryeong' Caused by Potato virus Y)

  • 이영규;김점순;김주일;박영은
    • 식물병연구
    • /
    • 제19권2호
    • /
    • pp.90-94
    • /
    • 2013
  • 하령 감자는 전분함량이 높고, 역병에 저항성이며 맛이 좋은 품종으로 2005년도에 신품종으로 등록되었다. 2010년 저장 중인 하령 씨감자에서 심한 표피의 괴저와 표면이 융기되고 원형의 괴저 병반이 생기는 괴경 괴저 증상이 발생하였다. 괴경 괴저 증상의 감자를 PVY 진단용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 분석 결과 모두 PVY가 검출되었다. 괴저증상 감자에서 검출된 $PVY^{Hkr}$ 외피단백질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였고 $PVY^{Kor}$, $PVY^N$, $PVY^{NTN}$, $PVY^O$, $PVY^C$ 계통과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PVY^{Hkr}$은 2005년에 보고된 $PVY^{Kor}$와 2개의 염기를 제외하고 정확히 일치하였다. PVY 감염이 저장 중인 하령 품종에서 같은 병징을 일으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5품종의 감자(하령, 수미, 대서, 대지, 추백)와 2종의 바이러스(PVY, PLRV)를 이용하여 생물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괴경 괴저 증상은 PVY에 감염된 저장 중인 하령 품종에서만 나타났다.

Solanum acaule 색소체 유전자형 선발을 위한 특이적 분자마커 개발 (PCR-based markers to select plastid genotypes of Solanum acaule)

  • 박태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178-186
    • /
    • 2022
  • 볼리비아 유래의 4배체 감자 야생종 중 하나인 Solanum acaule는 서리, 감자역병, 감자바이러스X, 감자바이러스Y, 감자잎말림바이러스, 감자걀쭉병, 선충 등에 대한 저항성과 같이 감자의 신품종 육성에 매우 유용한 형질들을 가지고 있어 감자 육종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용 형질들을 재배종 감자에 전통적인 교잡에 의해 도입하는 것은 야생종과 재배종 간의 서로 다른 EBN에 따라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생리적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체세포융합을 이용할 수 있는데, 육종에 활용할 적절한 체세포융합체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분자마커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서 차세대 유전체 기술에 의해 완성되어 보고된 S. acaule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이를 다른 8개의 Solanum 종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 정보와 비교를 통해 S. acaule 특이적인 분자마커를 개발하였다. S. acaule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 총 길이는 155,570 bp였으며, 총 158개의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체적인 구조와 유전자의 구성은 다른 Solanum 종들과 매우 유사하였고 12종의 다른 가지과에 속해 있는 종과의 계통수 분석에서 다른 Solanum 종과 매우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S. acaule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와 다른 7개 Solanum 종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 다중 정렬의 결과로 각각 4개와 79개의 S. acaule 특이적인 InDel 및 SNP 영역이 확인되었으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 1개씩의 InDel 및 SNP 영역 유래의 PCR 기반의 분자마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 acaule의 진화적 측면에서의 연구와 S. acaule를 이용한 감자품종 육성 연구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2000년 농작물 병해 발생 개황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in 2000)

  • 김충회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1
    • /
    • 2001
  • 2000년 기상의 특징은 봄철의 극심한 가뭄과 여름철의 이상고온 및 저온현상, 장마기 두차례의 태풍 및 가을철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로 요약된다. 벼는 전년에 비해 잎 이삭도열병이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세균성벼알마름병, 깨씨무늬병이 전국적으로 발생하여 문제시되었다. 고추는 역병과 탄저병이 생육후기에 심하게 발생하여 큰 피해를 가져왔으며 토마토는 일부지역에서 시들음병이, 오이, 수박은 CGMMV, 흰가루병, 급성위조증상, 딸기는 흰가루병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마늘은 파종기의 잦은 강우와 겨울철의 많은 강설로 흑색썩음균핵병이 대발생하였고, 봄감자는 가뭄에 의하여 바이러스병이, 가을감자는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로 무름병, 풋마름병이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고구마는 여느해와 마찬가지로 덩굴쪼김병의 발생이 심하였다. 사과 배의 병해는 예년에 비해 발생이 경미하였고 맥류의 붉은곰팡이병은 봄철의 가뭄으로 발생이 거의 없었다.

  • PDF

Septotinia sp.에 의한 개나리 가지마름병(가칭) 발생 (First Report on the Shoot Blight Disease of Gaenari (Forsythia koreana) Caused by Septotinia sp. in Korea)

  • 우지혜;김미경;이건우;한상섭;차병진
    • 식물병연구
    • /
    • 제29권3호
    • /
    • pp.234-242
    • /
    • 2023
  • 이른 봄에 개나리 꽃잎과 잎에 수침상 병반이 나타나서 조직이 괴저하며 마르고 증상이 가지까지 확산되었다. 감염된 가지에는 궤양이 생기며 5월 초부터 윗부분이 말라 죽는데, 가지 기부까지 말라 죽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마름 증상을 보이는 가지 조직으로부터 균을 분리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시료로부터 같은 균이 분리되었는데, 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서 흰색 균총을 만들었으며 23℃에서 생육이 가장 활발하였고 크기가 다양한 균핵을 많이 만들었다. 개나리의 각 기관에 균사와 균핵 현탁액을 접종한 병원성 검정에서 병원균은 꽃을 감염하며, 잎이나 가지는 감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에 나타난 증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잎과 가지로 확산되며 감염 조직을 고사시켰다. 병원균을 동정하기 위하여 ITS, LSU, Tub2, CAL 등 네 가지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Septotinia속으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는 개나리 가지마름병(가칭)에 대한 국내 첫 보고인 동시에 Septotinia속이 식물병원균임을 밝히는 국내 첫 보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