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COVID era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4초

COVID-19 팬데믹 전후 한국 성인 남녀의 건강 및 식생활행태 비교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2019-2021년도) 자료 활용 (Comparative study on the health and dietary habits 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before and after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utilizing data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1))

  • 김채민;김은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5-80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changes in physical factors, health behaviors,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intake among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over a period of three years (2019-2021)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Methods: This study utilized raw data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1).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6,235 individuals in 2019, 5,865 individuals in 2020, and 5,635 individuals in 2021. Individuals whose daily energy intake was less than 500 kcal or exceeded 5,000 kcal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Results: In comparison to 2019, overweight/obesity rates, weight, waist circumference, weekend sleep hours, and resistance exercise days/week increased in both male and femal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Regarding eating habits, the proportions of people skipping breakfast, not eating out, consuming health supplements, and recognizing nutritional labels increased in 2020 and 2021, whereas the rate of skipping dinner decreased. Total energy intake has continued to decrease for the two years since 2019. A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per 1,000 kcal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revealed that intake of nutrients, including protein, phosphorus, iron, vitamin A, riboflavin, and niacin increased, while folic acid intake decreased. In male, calcium, phosphorus, riboflavin, and niacin intakes increased, whereas iron, vitamin C, and folic acid intakes decreased. In female, phosphorus, iron, vitamin A, and riboflavin intake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protein and niacin intake de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After COVID-19, the obesity rate, breakfast skipping rate, health supplement intake, and nutritional label use increased, while the frequency of eating out, dinner skipping rate, and total energy intake decreased. These environmental changes and social factors highlight the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management to ensure proper nutritional intake and reduce obesity rates in the post-COVID-19 era.

마스크 착용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음~"발성호흡 연구 (On an "Um~" Vocal Breathing to Relieve Stress When Wearing a Mask)

  • 전지행;배명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76-581
    • /
    • 2021
  • 유행병 후 시대에 COVID-19는 아직 완전히 통제되지 않고 있다. 마스크 착용은 여전히 전염병 예방의 주요수단이며, 마스크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은 계속되고 있다. 오랫동안 마스크를 착용하면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첫 번째 문제는 저산소증이고 다른 하나는 심리적 스트레스의 증가이다. 마스크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호흡방식을 제안하였다. 저산소증과 스트레스 증가의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음~"발성호흡이다. 이 논문에서 새로운 호흡 패턴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원리를 파악하였고, HRV와 스트레스 지수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SDNN을 지표로 사용하여 이 호흡 패턴의 효과를 스트레스지수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음 ~"발성호흡이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를 쓰지 않을 때도 일상적인 스트레스를 해소해 주기도 한다. 따라서 누구나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이 방법은 앞으로 더 대중화될 것이다.

포스트 팬데믹 시대 드론 물류배송을 위한 지하철 역사의 활용방안 (Utilization of Subway Stations for Drone Logistics Delivery in the Post-Pandemic Era)

  • 문상원;이한별;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75-383
    • /
    • 2021
  • COVID-19로 인해 사람들은 외출과 모임 자제로 온라인 쇼핑, 온라인 여행, 화상회의 등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사회의 변화는 새로운 문제들을 야기시킴과 동시에 기존의 문제들을 심화시키고 있다. 특히 온라인 소비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생활물류산업에서는 교통체증, 대기오염, 배송기사의 과중한 업무 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대면배송이 새로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드론에 인공지능, 자율주행 등을 활용한 무인 배달이 기존 생활물류산업의 대체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으나 드론의 비행에 따른 물류시설의 공간과 추가적인 물류부지 확보가 해결되어야 하는 새로운 문제점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기존의 문제들과 새롭게 생겨난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는 드론을 위한 물류시설의 공간으로 기존 운수 사업인 지하철을 활용하여 물류 이동과 보관, 배송 등과 같은 부가적인 서비스를 연계하고자 한다.

과학교육과 연계한 위험사회 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Risk Society Education Program (RSEP) in Connection with Science Education)

  • 이은주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3-132
    • /
    • 2023
  •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위험의 인식론적 불확실성의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위험사회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학생의 과학 관련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과학 글쓰기를 통해 위험사회에 관한 대학생의 이해정도와 생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생들의 과학 글쓰기를 정성 분석하여 정량화한 결과 대학생들의 이공계와 인문사회계열의 전공에 관계없이 참여한 모든 계열의 학생들에서 위험사회에 대한 이해 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위험사회 교육프로그램과 과학글쓰기는 대학생들이 코로나19 위험의 인식론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코로나19 거리두기로 인해 어렵고 힘들었던 마음을 극복하는 자세를 갖는 데에도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교육에 있어서 과학기술의 예측범위를 넘어서고 있는 기후변화와 팬데믹의 위험 시대를 살고 있는 미래세대를 위한 위험사회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임상실습에 대한 인식 유형 (Types of perception toward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 김근면;장수정;김정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7-26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ypes of perception toward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 and to characterize the types of students who experienced online clinical practice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Methods: Q-methodology was used in this study, and 270 Q populations were form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10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 as well as related literature. Interviews were performed from August 1 to 31, 2022. A total of 42 Q samples were extracted, and Q sorting was performed on 33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 A Q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C-QUANL program. Results: The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ive types: "future professional competency-focused type," "realistic convenience priority type," "task burden awareness type," "negative critic type," and "limited experience dissatisfaction type."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in nursing education. Moreover, it identified the aspects of clinical practice that cannot be replaced by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 and the elements of non-face-to-face practice that can complement clinical practice.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establish a stable and efficient syste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in the post-COVID-19 era and to implement effective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 according to student types.

코로나19에 의한 뮤지컬 공연현황과 방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Musical Performance in the COVID-19 Era and Its Direction )

  • 배혜령;신종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72-39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뮤지컬의 코로나19로 인한 피해 현황을 알아보고 코로나 시대 이후의 대처 방안 및 발전 방향 모색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해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2018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3년간의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의 공연통계자료와 온라인 공연분석을 위하여 네이버TV를 토대로 뮤지컬 공연이 송출된 2020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점, 비관적인 시사점, 낙관적인 가능성을 동시에 검증하고 도출할 가설과 근거들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오프라인공연과 온라인공연으로 분리되어 공연예술이 다면적으로 확장 할 것이다. 둘째, 온라인의 활용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지역의 격차(양극화)를 좁힐 수 있다. 셋째, 새로운 뮤지컬시장 구축을 위한 상생모델의 개발이 시급하다. 넷째, 연기자들이 공정한 저작권 보호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영상화를 위한 한국형 지원재단과 융합적 사고, 지식을 겸비한 인재가 필요하다. 오프라인 공연에서 온라인 공연으로의 전환이라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뮤지컬 시장의 보다 수준 높은 질적 양적 성장이 있어야 한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있어서 ESG 경영 사례연구 -감정평가사와 한국감정평가협회 ESG 경영 활동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ESG Management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Focused on ESG management of appraisers and Korea Association of Property Appraisers)

  • 전광섭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7호
    • /
    • pp.28-38
    • /
    • 2022
  • '제4차 산업혁명' 용어는 2016년 세계 경제 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에서 언급되었으며, 정보 통신 기술(ICT) 기반의 새로운 산업 시대를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다. 4차산업혁명의 환경속에서 경영활동에 있어서도 ESG 경영활동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나아가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조직 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등장하면서 각계각층의 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 조 등과 관련한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투자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중에서도 감정평가사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ESG 경영을 지원할 수 있는 역할에 관해 고찰해본다. 국민의 관심이 높은 분야 중 하나는 부동산이라는 점, 그리고 대부분의 ESG는 사기업의 역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전문가집단의 역할 혹은 공사, 공공기관의 역할에 관해서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점에서 연구의 동기가 있다. 부동산투자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또는 일반기업체가 부동산투자 시 ESG 평가 등 감정평가사를 활용한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한 한국감정평가사협회 역할을 수립한다면 효율적이고 건전한 부동산 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아, 전문가집단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또한 감정평가 업무는 COVID-19의 영향을 배제하더라도 점진적으로 비대면 혹은 다양한 첨단 기술(4차 산업)을 활용한 감정평가의 도입이 필요하다.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공공기관 혹은 전문가집단의 ESG 역할이 연구 중인 가운데 본 연구는 한국감정평가사협회의 ESG의 역할에 관해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뉴노멀(New Normal) 시대 언어네트워크 분석에 의한 예술정책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Art Policy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New Normal Era)

  • 김미연;권병웅
    • 예술경영연구
    • /
    • 제58호
    • /
    • pp.153-177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촉발된 뉴노멀 시대의 예술정책에 관한 이론과 국내외 정책 동향을 바탕으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3월부터 9월까지의 '코로나'와 '예술'의 키워드가 들어간 자료를 구글(Google)뉴스와 웹(web)문서에서 수집하여 227개의 정제된 주제어를 추출하였고, 추출된 주제어를 넷마이너 프로그램을 통해 주제어 빈도분석과 중심성을 지표로 분석하였다. 또한 각 주제어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해 언어네트워크의 시각화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많은 빈도수를 드러낸 주제어는 '코로나'였고, '문화예술', '예술', '공연', '온라인', '지원'이 최다 빈도수를 기록한 그룹에 포함되었다. 중심성 분석에서는 '코로나'가 가장 빈도가 높았고, '시대', '이후', '포스트', '예술', '문화예술' 순으로 나타나 빈도수가 높은 '코로나'와 '예술', '문화예술'은 대부분의 중심성에서도 우위를 차지했다. 특히, 주제어 빈도수와 중심성 분석에서 공통으로 상위를 차지하는 주제어는 '온라인'과 '지원' '정책'이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상화에 따라 비대면·온라인콘텐츠의 급부상과 예술계에 대한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도서관 이용교육이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nline User Instruction on Information Literacy Ability: Suggestions for COVID-19 Era)

  • 박연경;이용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67-285
    • /
    • 2021
  • 대학도서관은 코로나-19로 인해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을 대면으로 진행할 수 없었기 때문에 온라인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이용자 교육이 대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의 발생 직후인 2020년에 대학에 진학한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정보 활용 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들 중 온라인 이용자 교육을 이수한 대학생(N=50)과 이수하지 않은 대학생(N=50)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정보 활용 능력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두 대학생 집단 간의 정보 활용 능력 측정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온라인 이용자 교육을 이수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상황뿐 아니라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도 비대면 온라인 이용자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도서관 이용자의 정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디지털도서관의 특성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시켰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정보 활용 능력 측정 도구는 온라인 정보 활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는 디지털 정보 활용 능력 및 이용자 교육에 관한 연구의 확장에 기여하였으며, 또한 비접촉(언택트) 서비스가 의무화된 환경변화에 대처하면서 학술도서관이 어떻게 정보서비스를 촉진시킬 것인지에 대한 실질적인 함의를 제공하였다.

미디어 이슈를 통해 본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도서관 서비스 연구 (A Study on Library Service in the Post-COVID Era through Issues on Media)

  • 박태연;오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51-279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가 도서관 내외부 환경에 미친 파장에 주목하고, 감염병의 사회적 확산에 따른 도서관계의 대응 활동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도서관을 둘러싼 환경 변화를 가늠하기 위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활용해 뉴스의 보도 양상과 주요 이슈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코로나19에 대한 국내 도서관계의 대응을 파악하였으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과 요구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수집된 뉴스보도 1,852건과 도서관 관련 트윗 227,983건을 대상으로 주요 이슈를 도출한 결과, 비대면 상황의 장기화, 전자책 대출의 증가, 온라인 서비스 및 사서에 대한 기대감 향상, 도서관 공간 요구의 재조명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언택트(비대면) 상황에서 제공된 도서관 서비스들의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장서, 서비스, 공간으로 구분·정리함으로서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는 도서관 서비스의 방향성을 가늠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