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content

검색결과 1,449건 처리시간 0.032초

오가피, 구기자, 오미자, 토사자, 복분자 및 차전자를 첨가한 한방 약술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Herbal Wine containing Acanthopanax sessiliflorus, Lycium chinense, Schizandra chinensis, Cuscutae semen, Rubus coreanum and Plantaginis semen)

  • 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93-697
    • /
    • 2016
  • 본 연구는 추출물 농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용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전자공여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15%인 경우는 21.81%로 나타났고, 35% 농도에서 40.45%로 가장 높았다. 한약재의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가장 높은 35% 첨가 농도에서의 40.45% 공여능은 이보다 더 낮았으므로 전자공여능은 미약한 것으로 생각된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한방약술 15%에서는 $113.89{\pm}1.79{\mu}g\;GAE/m{\ell}$로 나타났고, 한방약술 35% 에서는 $274.24{\pm}0.71{\mu}g\;GAE/m{\ell}$로 나타나서 첨가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총 폴리페놀의 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추출물 농도가 30%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의 증가 폭이 $61.75{\mu}g\;GAE/m{\ell}$로 가장 높았다.

Analysis of Ginsenosides and Non-Saponin Components of Red Ginseng from Landraces and New Varieties

  • Ahn, Seung Il;Kim, Sae Kyul;Yang, Byung Wook;Lee, Eun Sup;Kang, Chang Sung;Hahm, Young Ta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790-798
    • /
    • 2016
  • We quantitatively analyzed eight varieties of 6-year-old red ginseng, including four local landraces from the Inje, Geumsan, Jinan, and Punggi regions and four new varieties, Chunpoong, Yunpoong, Guempoong, and K-1, for 10 ginsenosides, acidic polysaccharide, crude polyacetylene,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to find out which varieties are most suitable for producing red ginseng. Most of the new varieties contained more ginsenosides than the local landraces. While the acidic polysaccharide content of Geumsan red ginseng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s, its crude polyacetylene content was the highest, with a mean of 33.99%. The Inje, Geumsan, and Jinan red ginseng had a significantly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 than the others.

울금가루 첨가에 따른 양갱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with Turmeric Powder)

  • 이선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47-452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with different amounts (in ratios of 0, 1, 2, 4% to the total materials) of tumeric powders.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ies, Hunter's color values, pH, Brix and sensory properties of tumeric hanging were examined. Results of analysis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ash conten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y adding turmeric powder and the more content of turmeric powder. The higher content of tumeric powder, the higher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s contents. Brix and brightness were lowered and yellowness was increased. The sensory properties were highly rated for the control without turmeric powder in four organoleptic (sensory) properties (taste, texture, odor, acceptance) except color. The group with-1% addition of turmeric powder was highly rated in the second place.

복분자 첨가 장어 데리야끼 소스의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Func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el Teriyaki Sauce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 성기협;정장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87-299
    • /
    • 2015
  • Antioxidant activity of factory eel teriyaki sauce with bokbunja was investigated by functional analysis. Sugar content analysis of eel teriyaki sauce-free with bokbunja showed fructose and glucose but not maltose. Anthocyanin content of eel teriyaki sauce with bokbunja juice concentrate was 40%.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bokbunja added eel teriyaki sauc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bokbunja and were 80% higher than control sampl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closely related to electron donating ability. The preferred concentrations of eel teriyaki sauce for commercial production were 60% for bokbunja, 40% for bokbunja concentrate, 20% for bokbunja powder eel.

생육시기에 따른 양마 잎의 항산화 활성 (Antioxdant Activity of Hibiscus cannabinus L. Leaves in Different Growth Time)

  • 김성무;엄석현;박형재;;유창연;조동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1-25
    • /
    • 2009
  • The results on the useful functional compounds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leaves cultivated in reclaimed lands and the biological activity effects of extracts were as follows. On 98 days after sowing (DAS) Tainung-2 showed the highest total chlorophyll content (1.68 mg/g), and on 141 DAS Dowling showed higher chlorophyll content (1.50 mg/g) than the other two did. In all cultivars the total chlorophyll content was higher on 141 DAS than on 98 DAS.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Tainung-2 (30.50 mg/g and 57.03 mg/g, respectively), and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30.50 mg/g and 57.03 mg/g, respectively) were the highest in 30% ethanol extraction. Ascorbic acid contents were higher on 141 DAS than on 98 DAS in three cultivars. SOD activities of kenaf leaf extract were generally over 90%.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ainung-2 was higher than others.

남부평야지에서 적미 품종의 이앙시기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 및 수량변이 (Polyphenol Content and Yield Variation of Red-colored Cultivars Depends on Transplanting Date in Southern Plain Region of Korea)

  • 배현경;오성환;황정동;서종호;김상열;오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66-171
    • /
    • 2017
  • 본 실험은 적미의 재배에 있어서 고품질 고수량을 위한 적정이앙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네 품종의 적미를 재료로 2015~2016년에 밀양에서 실시하였다. 1. 수량구성요소 중 이앙시기 변화에 따라 가장 크게 달라지는 요인은 등숙률이었고 6월 20일 이후 이앙하면 등숙률이 낮아져 현미수량이 하락하였다. 2. 6월 20일에 이앙했을 때 폴리페놀 함량과 현미수량을 종합한 폴리페놀 생산량이 2,341~3,349 g/10a로 가장 높았다. 3. 출수 후 30일간 평균온도가 낮을 수록 폴리페놀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일정 수준 이하로 온도가 떨어지면 현미수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22{\sim}23^{\circ}C$ 정도가 고품질 고수량 적미를 생산하기에 가장 적정한 온도였다. 4. 출수 후 30일간 평균온도가 $22{\sim}23^{\circ}C$가 되는 시점을 최적 출수기로 하고 출수소요적산온도를 $1,660^{\circ}C$로 하여 계산한 최적 이앙시기는 밀양시가 6월 18일~6월 24일 이었다. 경상남도 지역은 6월 중순에서 7월 초순, 경상북도 지역은 6월 초순에서 6월 중하순이 최적 이앙기였다.

한국산 배의 Polyphenol 화합물군이 쥐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Korean Pear on Immunofunctional Activity)

  • 최희진;한호석;박정혜;배종호;우희섭;안봉전;배만종;김현구;최청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03-310
    • /
    • 2003
  • 한국산 배로부터 polyphenol 화합물을 분리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면역기능의 활성화에 관하여 동물실험을 하였다. 배의 polyphenol 화합물이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에서는 배로부터 분리된 polyphenol 화합물 I, II 및 III에 대하여 Rosette 형성은 배의 polyphenol 화합물 II와 III을 투여한 군에서 분리된 비장과 복강 상재성 마크로파지에서 Rosette 형성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원 투여 후 혈중의 히스타민을 측정한 결과는 거의 정상군에 가깝게 혈중 histamine 함량을 낮추는 역할을 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참당귀 유효 성분의 추출 및 생리활성 효능 (Extraction of Active Compounds from Angelica giga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its Physiological Activity)

  • 박수인;허수현;이진서;신문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6-212
    • /
    • 2021
  • 본 연구는 참당귀에서 유효 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찾아 참당귀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열수, 에탄올 및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으로 참당귀를 추출한 후,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함량 분석, 총 폴리페놀 함량 정량, 그리고 항산화, 미백, 항균에 대한 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의 함량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에서 38.65%로 매우 높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 순으로 높았지만, 그 차이가 비교적 적었다. 항산화 효능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경향이 일치하였고, 항균 효능은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함량과 경향이 일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참당귀에서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임을 확인하였다.

감잎(Diospyros kaki folium) Polyphenol 화합물군의 알레르기 저해효과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folium) on Antiallergy)

  • 박무희;최청;손규목;안봉전;배만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6-119
    • /
    • 2000
  • 한국산 감잎으로부터 분리한 폴리페놀 화합물군으로부터 알레르기 저해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를 얻고자 수동피부 아니필락니스 반응에 대한 효과 및 비만세포에서 유리되는 히스타민의 유리억제능을 관찰하였다. 수동피부 아나필락시스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군에서 유의하게 격감되었으며, 3차에 걸친 항원투여 기간에 있어서도 이러한 경향은 계속되었으며, 항원 투여 후 혈중의 히스타민을 측정한 결과 거의 정상군에 가깝게 혈중 히스타민 함량을 낮추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알레르기 치료제들이 갖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국산밀의 폴리페놀 산화 효소 활성과 국수 색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olyphenol Oxidase Activity and Color of White Salted Noodles Prepared from Korean Wheat Cultivar)

  • 강천식;김경훈;박종철;김경호;박광근;정영근;윤성중;박철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70-478
    • /
    • 2011
  • 밀가루 및 국수 면대의 색깔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밝은 색택의 밀가루 및 국수 제조에 적합한 품종의 육성에 유용한 간편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산밀 25 품종을 이용하여 종실 및 밀가루 특성과 저장기간 동안 국수 면대의 밝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종실의 PPO 활성은 천립중이 낮을수록, 종실 회분과 단백질 함량이 낮을수록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종실의 PPO 활성은 총 폴리페놀 함량($r=0.609^{**}$), 철 함량($r=0.655^{**}$) 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철 함량 및 밀가루 색 밝기 등의 특성이 종실의 PPO 활성과 관련이 있었으며, 종실의 PPO 활성이 높은 품종일수록 국수 면대의 저장 기간 중에 면대 색이 보다 빠르고 어둡게 변색되었다. 국수 면대 색이 밝은 국내 밀 품종 개발을 위해서는 평가 방법이 용이하고 밀가루 및 국수 색깔과 높은 상관이 있는 종실의 PPO 활성을 육종 초기 세대에 평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