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blends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2초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인 PP/SEBS 혼합 연구 (A research of thermoplastic elastomer PP(Poly Propylene)/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blends)

  • 한현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62-570
    • /
    • 2018
  • 고분자 단독으로는 얻을 수 없는 다양한 물성을 얻기 위하여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를 블렌드하는 기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폴리올레핀계 TPE(Thermoplastic Elastomer)는 디스플레이, 자동차, 가전제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소비자는 고감성이고 고급화된 자동차 내장부품을 요구한다. 높은 폼형성도와 흐름성이 있는 고분자소재 개발이 필요하다. 내부에 폼층이 있는 TPE은 좋은 고분자소재이다. 두 종류의 TPE 소재를 개발하였다. 첫번째 소재는 Homo-PP(PolyPropylelne)에 SEBS/Oil을 혼합하였고, 두 번째 소재는 Co-PP와 SEBS/Oil을 혼합하였다. 혼합온도는 $180^{\circ}C$, $190^{\circ}C$. $260^{\circ}C$(두번째 소재), 혼합속도는 50rpm, 혼합시간은 5분이다. TPE의 MI(Melt Index)는 PP의 MI에 영향이 있고, 혼합온도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경도와 인장탄성률은 PP의 MI와 혼합온도의 영향은 적었으나, SEBS/Oil의 비율이 높아지면 낮아졌다. 소프트터치감은 SEBS/Oil의 비율이 증가하면 증대하였다. TPE릉 자일렌으로 SEBS/Oil 층을 녹여내어 IPN(Interpenentration polymer network)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Strain-harding 현상도 확인하였다. 제조한 TPE가 고무현상을 보이고, 생성된 closed cell이 안정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Biocompatibility of Poly(MPC-co-EHMA)/Poly(L-1actide-co-glycolide) Blends

  • Gilson Khang;Park, Myoung-Kyu;Jong M. Rhee;Lee, Sang-Jin;Lee, Hai-Bang;Yasuhiko Iwasaki;Nobuo Nakabayashi;Kazuhiko Ishihara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07-115
    • /
    • 2001
  • Poly(L-lactide-co-glycolide)(PLGA) was blended with poly[$\omega$-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co-ethylhexylmethacrylate (PMEH)] (PLGA/PMEH) to endow with new functionality i.e., to improve the cell-, tissue- and blood-compatibility.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measurement of contact angle goniometer,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with attenuated total reflectance (FTIR-ATR) and electron spectroscopy for chemical analysis (ESCA). NIH/3T3 fibroblast and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 were cultured on control and PLGA/PMEH surfaces for the evaluation of ceil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in terms of surface functionality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phosphoryl-choline. Also, the behavior of platelet adhesion on PLGA/PMEH was observed in terms of the surface functionality. The contact angles on control and PLGA/PMEH surfaces decreased with increasing PMEH content from 75$^{\circ}$ to about 43$^{\circ}$. It was observed from the FTIR-ATR spectra that phosphorylcholine groups are gradu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blended amount of MPC. The experimental P percent values from ESCA analysis were more 3.28∼7.4 times than that of the theoretical P percent for each blend films.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d that the MPC units were concentrated on the surface of PLGA/PMEH blend. The control and PLGA/PMEH films with 0.5 to 10.0 wt% concentration of PMEH were used to evaluate cell adhesion and growth in terms of phosphorylcholine functionality and wettability. Cell adhesion and growth on PLGA/PMEH surfaces were less active than those of control and both cell number decreased with increasing PMEH contents without the effect of surface wettability.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fibronectin adsorption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surface density of phosphorylcholine functional group. One can conclude the amount of the protein adsorption and the adhesion number of cells can be controlled and nonspecifically reduced by the introduction with phosphorylcholine group. Morphology of the adhered platelets on the PLGA/PMEH surface showed lower activating than control and the number of adhered platelets on the PLGA/PMEH sampl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phosphorylcholine contents. The amount of fibrinogen adsorbed on the PLGA/PMEH surface demonstrated that the phospholipid polar grou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protein adsorption on the surface. In conclusion, this surface modification technique might be effectively used PLGA film and scaffolds for controlling the adhesion and growth of cell and tissue, furthermore, blood compatibility of the PLGA was improved by blending of the MPC polymer for the application of tissue engineering fields.

  • PDF

PEEK/HPA를 이용한 수전해용 저온형 고체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 (Preparation of Polyether ether ketone[PEEK]/Heteropolyacid [HPA] Blends Membrane for Hydrogen production via Electrodialysis)

  • 이혁재;정윤교;장인영;황갑진;배기광;심규성;강안수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40-48
    • /
    • 2005
  • Until recently, only perfluorinated ionomer membrane such as Nation and Aciflex practically could be successfully used in water splitting. However, these membrane are limited by high cost and loss of membrane performance such as proton conductivity at elevated temperature above 80$^{\circ}C$. The sulfonated aromatic polymers such as PEEK and PSf, polyimides, and polybenzimidazoles are expected to have lower production cost as well as satisfactory chem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HPAs and sulfonated polymers coul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water electrolysis performance at elevated temperatures above 80$^{\circ}C$, but these phenomena have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until now.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HPA and sulfonated polymer, such as SPEEK. The SPEEK membrane were prepared by the sulfonation of PEEK, and HPA was blended with SPEEK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s,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roton conductivity and ion exchange capacity were improved with the addion of 0.5 g HPA. And the properties of polymer electrolyte, SPEEK/HPA were better than Nation membrane at elevated temperature above 80$^{\circ}C$.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Fabrication 연구 (Ⅵ) -PET/PETG 공중합체 블렌드의 연신조건에 따른 물리적 특성- (A Study on Fabrication of Polyester Copolymers (Ⅵ) -Physical Properties of PET/PETG Copolymer Blend by the Drawing Conditions-)

  • 현은재;이소화;김기영;제갈영순;장상희
    • 폴리머
    • /
    • 제26권3호
    • /
    • pp.335-343
    • /
    • 2002
  • 블렌드 (PET/PETG 70/30 블렌드)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PETG)을 무게 비 70/30으로 혼합하여,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미연신 필름은 이 블렌드와 순수 PETG 수지를 압축성형기로 각각 용융 압축시켜 제조하였고 연신 필름은 미연신 필름을 모세관 레오메타를 사용하여 연신시켜 제조하였다. 제조된 블렌드 연신 필름과 PETG 연신 필름의 결정성, 수축율, 열적, 동역학적 및 기계적 특성을 X-선 회절분석기, 오븐기, DSC, 및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블렌드와 PETG필름의 결정화도와 밀도는 연신비와 연신 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으나 반면 연신 온도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또한 블렌드 필름의 결정화도와 밀도는 PETG 필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두 필름의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은 연신비 및 연신 속도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고 연신온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블렌드 필름의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이 PETG 필름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두 필름의 수축율은 연신비와 연신 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미연신 블렌드 필름의 수축율이 순수 PET 필름보다 600% 증가함을 보였다.

PES-CTBN-PES 공중합체를 이용한 에폭시 수지의 강인성 향상 연구 (Toughening of Epoxy Resin with PES-CTBN-PES Triblock Copolymers)

  • 김형륜;명범영;송경헌;육종일;윤태호
    • 폴리머
    • /
    • 제25권2호
    • /
    • pp.246-253
    • /
    • 2001
  • 야민 말단기를 가지는 PES(6k) 올리고머와 상용 CTBN (1300$\circ$13)으로부터 분자량이 15000g/mol인 PES-CTBN-PES 공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이를 에폭시 수지의 강인화제로 사용하였다. DDS를 경화제로 사용하였으며, 공중합체로 강인화된 에폭시 수지의 열특성, 강인성, 굴골 강도 및 내용매성을 측정하여, PES/CTBN 블렌드로 강인화된 에폭시 수지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공중합체는 용매의 사용없이 에폭시 수지에 40 wt%까지 첨가가 가능하였으며, 굴곡강도 및 내용매성의 저하 없이 40 wt%에서 2.21 mPa${\cdot}m^{0.5}$의 아주 높은 강인성을 보였다. 하지만 PES/CTBN 블렌드로 강인화된 에폭시 수지는 공중합체로 강인화된 시편보다 다소 낮은 강인성, 굴곡강도 및 내용매성을 보였다.

  • PDF

스티렌과 불소함유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및 공중합체의 특성 (Copolymer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tyrene and Fluorine-Containing Acrylate)

  • 김상신;이상원;허정림;허완수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9-17
    • /
    • 2002
  • 탄화수소의 수소 부분이 불소로 치환된 과불소알킬기(perfluoro group : $CF_3(CF_2)_nCH_2CH_2$-; n=5, 7, 9, 11)를 함유하고 있는 perfluoroalkylethyl acrylate(FA)와 styrene을 bulk 상태에서 $60^{\circ}C$를 유지하며 $\alpha$, $\alpha$'-azobisisobutyronitrile(AIBN)을 개시제로 하여 각각의 단량체의 반응 몰비를 변화시키며 전환율을 10% 이내로 제한하여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또한 반응 몰비의 변화에 따른 중합된 공중합체내의 반복단위의 함량사이의 관계와 Helen-Tudos법을 이용하여 단량체 반응성비 $r_1$, $r_2$를 구하였다. FT-IR과 $^1H-NMR$을 통해 두 단량체의 공중합 여부와 구조를 정성적으로 확인하였고 공중합체의 조성은 $^1H-NMR$분석을 통해 구하였다. 단량체의 비율에 따른 열적 특성은 DSC와 TGA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공중합체와 소량의 공중합체가 첨가된 PMMA의 접촉각을 측정하여 공중합체의 표면특성을 나타내는 표면자유에너지를 계산하였다.

제철 분진을 함유한 PVC 복합체 수지의 기계적 성질 (Mechanical Properties of PVC Composite Containing Iron Dust)

  • 나재운;김명열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3권5호
    • /
    • pp.370-376
    • /
    • 1998
  • 고로와 전로분진(광양제철)을 함유한 PVC복합체 수지의 역학적 성질을 혼합 성분비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인장강도는 혼합될 때의 고로 분진량이 8.83wt% 일 때 증가했으나 충격강도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PVC와 CaO, SiO, MgO, $A1_2O_3$ 및 금속입자들을 포함한 분진과의 상용성에 따른 결과로 생각된다. 열중량분석(TGA) 결과 $600^{\circ}C$ 이상에서의 잔존량(wt%)은 첨가되는 분진의 량에 비례했으며 시차주사열량계(DSC) 측정 결과 역시 고로분진의 첨가량이 8.83wt% 일때 열적 안정성은 증가했다. X-ray회절 분석 결과는 블렌드 상태와 구조를 나타냈다.

  • PDF

마그네타이트가 충전된 NBR의 전기적 특성 및 물성 연구 (Electr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Magnetite-Filled NBR)

  • 최교창;이은경;최세영;박수진
    • 폴리머
    • /
    • 제27권1호
    • /
    • pp.40-4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Fe_3O_4$ (magnetite)의 함량 변화와 온도 변화가 NBR/$Fe_3O_4$ 혼합물의 전기걱도도 ($\sigma$)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최소 최적 혼합비 (percolation threshold, $P_c$) 개념이 본 연구에서 제조한 전도성 입자가 충전된 복합체에 적용되며, 혼합물내 $Fe_3O_4$의 농도가 22%를 초과할 때 $\sigma$가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sigma$의 온도 의존성은 $P_c$ 또는 그 이하에서 열적으로 활성화되며, 마그네이트가 NBR 고무의 강화 및 전도성 충전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조사하였으며, 충전제 함량이 30 phr인 복합체는 실온에서 고전압을 걸어줄 경우 전류는 전압제곱에 비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 pk의 마그네이트가 충전된 복합체가 최적의 물리적 가교점으로 인하여 가장 우수한 인장강도와 파단시 신장율을 보였으며 모듈러스가 마그네이트의 강화효과 및 혼합물의 토오크 곡선으로부터 얻은 점도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폴리(비닐 알코올)/키토산 블렌드 필름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ly(vinyl alcohol)/Chitosan Blend Films)

  • 정민기;김대선;최용혁;손태원;권오경;임학상
    • 폴리머
    • /
    • 제28권3호
    • /
    • pp.253-262
    • /
    • 2004
  • 독성이 없고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폴리(비닐 알코올)/키토산 블렌드 필름들은 용액상태로 캐스팅 하여 제조하였다. 블렌드 필름들의 물리화학적 특성들의 변화는 여러 가지의 분석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항균특성의 고찰에서 키토산이 10 wt% 이상 함유된 모든 블렌드 필름의 정균율은 99.9%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수분율은 키토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나 팽윤도는 감소하였다. 키토산 함량이 15 wt% 내에서는 블렌드 필름의 용융온도와 결정화온도가 키토산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키토산이 10, 15 wt% 함유된 블렌드 필름들은 용융온도가 각각 229와 228$^{\circ}C$로 순수 PVA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키토산 함량이 20 wt% 이상일 경우 용융온도는 감소하였다. 블렌드 필름의 역학적 특성들은 습윤상태 및 건조상태 모두 키토산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키토산 함량이 15 wt% 내에서 높은 인장강도를 나타낸다.

EVA계 핫멜트 접착제의 조성이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osition of EVA-based Hot-Melt Adhesives on Adhesive Strength)

  • 이정준;송유현;임상균;박대순;성익경;진인주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4호
    • /
    • pp.155-161
    • /
    • 2010
  • 점착부여수지의 종류와 함량을 달리하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를 제조하고, 그것들의 유변학적 거동과 폴리우레탄 기재에 대한 T-peel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C5 지방족 석유수지, C9 방향족 석유수지, 수소가 첨가된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석유수지 그리고, 디사이클로펜타디엔/아크릴 모노머 공중합 석유수지가 각각 핫멜트 접착제의 점착부여수지로 사용되었다. 점착부여수지의 산소 함량을 분석하여 점착부여수지의 극성도를 측정하였는데, 디사이클로펜타디엔/아크릴 모노머 공중합 석유수지가 다른 점착부여수지보다 산소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디사이클로펜타디엔/아크릴 모노머 공중합 석유수지만이 EVA와 완전한 혼화성을 보였고, 핫멜트 접착제는 모든 조성에서 균일상을 나타내었다. 핫멜트 접착제와 폴리우레탄 기재와의 T-peel 접착력은 핫멜트 접착제 자체의 저장탄성계수(G')보다는 핫멜트 접착제에 첨가된 점착부여수지의 극성도에 의해서 좌우됨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