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galacin D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3초

길경에서 추출한 polygalacin D가 근원세포 분화 및 근위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galacin D extracted from Platycodon grandiflorum on myoblast differentiation and muscle atrophy)

  • 송은주;허지원;장지희 ;김언미;정윤희;김민정;김성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6호
    • /
    • pp.602-614
    • /
    • 2023
  • 본 연구는 근생성 및 근위축 완화효능을 가진 유효소재 발굴의 필요성에 의해 polygalacin D가 근원세포 분화 및 미토콘드리아에 미치는 영향과 항암제 유도 근위축에 대한 완화효과를 각각 세포 및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polygalacin D는 다핵을 지닌 근관세포의 수와 분화 종결인자인 MHC isoforms의 발현량을 증가시켰고 근육 내 단백질 분해 인자인 MuRF1, Smad2/3의 발현량은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조절인자인 Pgc1α의 발현은 증가시키고 미토콘드리아 분열인자인 Drp1과 Fis1의 발현은 감소시켰다. 한편 zebrafish 동물모델을 통해 항암제 유도 근위축에 대한 개선효과를 확인한 결과, polygalacin D는 항암제에 의해 유도된 근위축과 미토콘드리아 손상을 완화시켰다. 이상의 결과들은 polygalacin D가 미토콘드리아 기능 증진을 매개로 근원세포 분화 촉진 및 근육 단백질 분해 저하 효과를 지닐 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손상을 개선하여 항암제로 유도된 근위축에 대한 완화 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polygalacin D가 근생성 및 근위축 예방과 치료를 위한 잠재적인 유효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저장방법과 기간이 도라지 뿌리의 경도와 사포닌함량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Methods and Periods on Root Hardness and Content of Saponin in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 이병진;신용욱;이신우;전현식;조영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134-138
    • /
    • 2014
  • 도라지를 수확 후 진공포장, 밀폐포장, 질소가스포장 후 저온과 상온에 100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 50일과 100일에 도라지 경도와 사포닌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저장온도에 따른 도라지의 경도는 저온저장이 상온저장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도라지의 경도는 낮아졌다. 2. 저장방법에 따른 도라지의 경도는 저장 50일차 지퍼팩을 이용한 밀봉에서 1,765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온도와 저장방법과의 상호작용에서는 고도의 유의성($P{\leq}0.01$)이 인정되었다. 3. 저장온도에 따른 platycodin D3, polygalacin D, 그리고 deapioplatycodin D의 함량조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4. 저장기간에 따른 platycodin D3와 polygalacin D의 함량은 저장 50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deapioplatycodin D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성에 따른 도라지뿌리의 생육과 성분함량 변화 (Changes in Growth and Saponin Content in Roots of Bell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with Different Soil Textures)

  • 박미영;김용철;권순욱;류수노;함태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4호
    • /
    • pp.296-304
    • /
    • 2022
  • 최근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자연식품을 선호하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약용작물은 지역 토질과 기후에 따라 독특한 약효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라지뿌리 재배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도라지뿌리의 약효 성분을 극대화하고자 토성에 따른 도라지뿌리의 생육 및 사포닌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 토성별 도라지뿌리의 생육조사에서는 지상부는 양질사토 > 사양토 > 배합토 > 마사토 순이었고, 지하부는 양질사토 > 배합토 > 사양토 > 마사토 순이었다. 2. 일반성분은 평균적으로 수분은 77.3%, 조지방은 2.6%, 조회분은 3.2%, 조단백질은 6.0%, 탄수화물은 10.9%의 함량을 보였다. 3. 도라지뿌리의 사포닌 분석 결과 platycodin D > platycodin D3 > polygalacin D > deapioplatycodin D 순이었고, 각 각 282.4, 104.7, 29.1, 19.1 mg/100g으로 나타났다. 재배 토성별 결과는 platycodin D, polygalacin D, deapioplatycodin D는 배합토와 사양토에서 높았고, platycodin D3는 모든 토양에서 유사한 함량을 보였다.

건조 온도에 따른 도라지의 사포닌과 당 함량 변화 (Effects of Drying Temperature on the Saponin and Free Sugar Conten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 이병진;조영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69-772
    • /
    • 2014
  • 도라지 건조 온도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건조 온도에 따른 환원당 그리고 사포닌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Sucrose 함량은 $85^{\circ}C$에서 3,825 mg% $45^{\circ}C$에서 1,226 mg%로 건조 온도가 낮을수록 감소하였지만, glucose함량은 건조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본 시험에서 분석한 도라지 4종의 사포닌 중에 platycodin D 함량은 $85^{\circ}C$에서 197.5 mg%, $65^{\circ}C$에서는 334.7 mg%로 $45^{\circ}C$에서 956.0 mg%로 가장 높게 나타나 건조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며, 고온(85) 건조에서 사포닌 중 polygalacin 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Sucrose와 사포닌 함량 간의 상관계수는 각각$-0.987^{**}$로 고도의 음의 상관을 보였다(p<0.01). 건조 온도 $45^{\circ}C$가 다른 건조 온도에 비해 색이 밝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도라지의 건조 온도가 도라지의 사포닌 함량과 당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라지의 이용 용도에 따라 건조 온도를 달리 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roduction of Deglucose-ApioseXylosylated Platycosides from Glycosylated Platycosides by Crude Enzyme from Aspergillus tubingensis

  • Shin, Kyung-Chul;Kil, Tae-Geun;Kang, Su-Hwan;Oh, Deok-K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430-436
    • /
    • 2022
  • Platycosides, Platycodi radix (Platycodon grandiflorus root) saponins, are used as food supplements and exert diverse pharmacological activities. Deglycosylation of saponins enhances their biological efficacy, and deglycosylated platycosides are produced mainly through enzymatic hydrolysis. However, the types of available deglycosylated platycosides remain limited because of a lack of hydrolyzing enzymes that can act on specific glycosides in glycosylated platycosides. In this study, a crude enzyme from Aspergillus tubingensis converted platycoside E (PE) and polygalacin D3 (PGD3) into deglucose-apiose-xylosylated (deGAX)-platycodin D (PD) and deGAX-polygalacin D (PGD), respectively. The products were identified through LC/MS analysis by specifically hydrolyzing all glucose residues at C-3, and apiose and xylose residues at C-28 of platycoside. The hydrolytic activity of the crude enzyme obtained after the cultivation of the fungus using citrus pectin and corn steep solid as carbon and nitrogen sources, respectively, in culture medium was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using other carbon and nitrogen sources. The crude enzyme from A. tubingensis was the most effective in producing deGAX platycoside at pH 5.0 and 60℃. The crude enzyme produced 0.32 mg/ml deGAX-PD and 0.34 mg/ml deGAX-PGD from 1 mg/ml PE and 1 mg/ml PGD3 (at pH 5.0 and 60℃) for 12 and 10 h, with productivities of 32.0 and 42.5 mg/l/h and molar yields of 62.1 and 59.6%, respectively.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produce deGAX platycosides from glycosylated platycosides.

도라지 뿌리의 건조방법에 따른 무기 성분 및 사포닌 함량의 변화 (Effect of Drying Methods on the Saponin and Mineral Conten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 이병진;전승호;이신우;전현식;조영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36-640
    • /
    • 2014
  • 도라지 건조방법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일광건조, 열풍건조 그리고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무기성분과 환원당 그리고 사포닌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칼륨과 칼슘은 각각 22.6과 9.2 mg%로 열풍건조에서 높게 나타났다. Platycodin D는 열풍건조에서 622.0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latycodin D3, Polygalacin D, deapioplatycodin D는 일광건조에서 각각 113.5, 756.6, 109.2 mg%로 나타났다. Glucose와 platycodin D, platycodin D3, deapioplatycodin D의 함량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924, -0.957, -0.861로 고도의 음의 상관을 보였다(p<0.01). 동결건조가 다른 건조조건에 비해 색이 밝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도라지의 건조 방법은 일광건조와 열풍건조가 동결건조보다 좋은 것으로 평가 되었지만 일광건조는 건조기간이 길어 많은 노동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열을 가하여 건조하면서 건조기간도 줄이고 도라지 약리성도 높이기 위한 적정 건조 온도에 관한 연구도 수행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길경(桔梗)의 추출조건에 따른 사포닌함량의 변화 (제2보) (Variation of Saponin Content in the Decoctions of Platycodi Radix (II))

  • 유대석;최연희;차미란;최춘환;김미리;연규환;홍경식;이병회;김은주;조상욱;김영섭;유시용;강종성
    • 생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7-152
    • /
    • 2010
  • The capability of the solvents for extracting the bioactive saponins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Campanulaceae) was investigated to obtain an ideal extract which contained bioactive saponins with high quality and high quantity. The content of eight representative saponins in extracts, such as deapioplatycoside E, platycoside E, platyconic acid A and platycodin D, platycodin $D_3$, platycodin $D_2$, polygalacin $D_2$, polygalacin D were analyzed simultaneousely by the modified HPLC analytical method. The validation test of the modifi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employing the ELSD equipped HPLC for eight representative saponins in the roots extract of P. grandiflorum showed a good linearity, precision and accurac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values of the calbration curves for each saponins were observed to be over 0.9990. LOD and LOQ of each saponin was calculated as $0.10{\mu}g{\sim}0.40{\mu}g$ (LOD) and $0.40{\mu}g{\sim}0.80{\mu}g$ (LOQ), respectively. Recovery rates of each saponin were also calculated as over 98%, respectively. With exception of two saponins, platyconic acid A and platycodin D, The content of eight saponins in extracts was de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increment of the water ratio of solvent for extraction. Consequently, as aquous alcohol was used as a solvent for extracting the saponin components from powdered roots of P. grandiflorum, the water content in the aquous alcohol was seemed to be a critical factor for extracting efficacy. The 60-80% ratio of alcohol in the aquous alcohol were deduced to be suitable and recommendable for the preparation of roots extract of P. grandiflorum which contained saponins with high quality and high quantity.

젖산발효 처리에 의한 도라지의 Platycosides 조성 및 호흡기질환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변화 (Changes in Platycoside Compon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ronchus Disease-Inducing Bacteria of Fermented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by Lactic Acid Bacteria)

  • 이가순;성봉재;김선익;지무근;박샛별;박명희;박신영;김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1017-1025
    • /
    • 2016
  • 기관지질환에 우수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도라지는 수십종의 다양한 사포닌 종류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도라지를 젖산발효 시킬 경우 사포닌 조성의 변화와 기관지질환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라지 발효를 위하여 사용된 젖산균은 Leuconostoc mesenteroides N12-4, Leuconostoc mesenteroides N58-5, Lactobacillus plantarum N76-10, Lactobacillus plantarum N56-12, Lactobacillus brevis N70-9 및 Lactobacillus brevis E3-8 등 6종이었다. 도라지 발효 시 젖산균 생육은 L. plantarum균이 가장 활발하였으며 pH 값도 가장 많이 내려가 발효 24시간째 pH는 3.73을 보였고 colony 수는 $10^7CFU/g$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젖산발효 시간 동안 도라지 사포닌 9종에 대한 조성 변화는 사용된 도라지 시료에서 함량이 높았던 platycoside E, diapioplatycoside E, platycodin A, polygalacin D 등이 발효기간 중 일정량 감소하다가 발효 72시간 이후부터는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platycodin D는 약간 증가하다가 72시간 이후부터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총사포닌 함량은 발효기간 동안 함량의 변화가 없었던 L. brevis E3-8균을 제외하고는 발효 72시간 이후 96시간째 증가하였다. 기관지질환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사용된 세균은 Corynebacterium diphtheriae KCTC 3075, Klebsiella pneumoniae KCTC 2246,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및 Streptococcus pyogenes ATCC 19615균 등 4종으로 각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발효에 의하여 증대되는 젖산균은 L. plantarum균으로, 특히 L. plantarum N56-12균이 강한 항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각 기관지질환 유발세균에 대한 MIC를 조사한 결과 각 균에 대하여 도라지 무발효물은 200, 180, 210 및 90 mg/mL였고, L. plantarum N56-12균으로 발효된 도라지 상등액은 45, 10, 50 그리고 25 mg/mL였다.

HPLC를 이용한 길경(桔梗) 사포닌 분석법(分析法) (HPLC Analysis of Saponins in Platycodi Radix)

  • 김현기;최재석;유대석;최연희;연규환;홍경식;이병회;김혜진;김은주;박병근;정영철;김영섭;유시용
    • 생약학회지
    • /
    • 제38권2호통권149호
    • /
    • pp.192-196
    • /
    • 2007
  • A rapid and practical HPLC assay was develop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saponins in Platycodi Radix. Seven saponin components in Platycodi Radix, i.e., deapioplatycoside E, platycoside E, deapioplatycodin D$_3$, platycodin D$_3$, polygalacin D$_2$, platycodin D$_2$ and platycodin D were successfully resolved on C18 column and detected by ELSD. Standard curves were linear over the concentration range 1 ${\sim}$2,000 ${\mu}$g/ml (r$^2$>0.992). Intra- and inter-day coefficients for variation of seven saponin components were < 10% and limit of quantification of them were around 0.7${\sim}$1.5 ${\mu}$g/ml, respectively. Using this method, contents of seven saponins in various plant materials under different cultivating conditions were estimated.

Compositional Analysis of Major Saponin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y of Steam-Processed Platycodi Radix under Pressure

  • Ha, In-Jin;Chung, Ji-Won;Ha, Young-Wan;Shin, Eun-Myoung;Kim, Yeong-Shi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274-280
    • /
    • 2008
  • Platycosides are the saponins in Platycodi Radix and they have several beneficial effects such as antiinflammatory and anti-obesity activit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he saponin composition in Platycodi Radix (platycosides) after being processed under steam and pressure and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ir extracts. The change of the platycoside compositions was investigated after 1, 2, 3, 6 and 9h heat processing of Platycodi Radices by using HPLC coupled with an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ELSD) system. After heat treatment ($125^{\circ}C$, 1, 2, 3, 6 and 9 h), the contents of several platycosides such as platycoside E, platycodin $D_3$, platycodin D, polygalacin D, and platycodin A decreased as the processing time was longer. While the total contents of the saponins decreased, the contents of deapi-forms of deapiplatycoside E, deapi-platycodin $D_3$, and deapi-platycodin D increased rela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inkage between apiose and xylose located at C-28 is labile to heat and pressure. The LPS-induced iNOS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samples treated for 1 and 2 hours were enhanced and after then, the activities were reduc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eat treatment of the samples affect the content of the total saponins and the saponin content may be the important criteria represent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