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 (dimethyl siloxan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8초

Hydrocarbon/$N_2$ 혼합물의 분리를 위한 PEI-PDMS 중공사 복합막의 기체 투과 특성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Hydrocarbon/$N_2$ Mixture through PEI-PDMS Hollow Fiber Composite Membranes)

  • 이충섭;조은혜;하성용;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2권4호
    • /
    • pp.251-257
    • /
    • 2012
  • n-Pentane의 분리 및 회수를 위해 분리막의 제조가 용이하고 유기용매에 대한 내용매성이 있는 polyetherimide (PEI)를 지지체로 poly (dimethyl siloxane) (PDMS)를 코팅하여 중공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체 분리막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n-Pentane과 질소를 이용하여 공급농도와 stage cut의 변화에 따른 n-pentane과 질소의 투과도, permeate, retentate의 농도, 농축도, 회수율을 측정하였다. n-pentane과 질소의 투과도는 각각 2485.3, 9.9 GPU를 나타내었고, stage cut이 감소하고 공급농도가 증가할수록 투과측의 n-pentane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회수효율의 경우에는 stage cut이 증가할수록 공급농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ffect of Poly(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Plasticizer on Ionic Conductivity of Cross-Linked Poly[siloxane-g-oligo(ethylene oxide)] Solid Polymer Electrolytes

  • Kang, Yongku;Seo, Yeon-Ho;Kim, Dong-Wook;Lee, Chang-Ji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2권5호
    • /
    • pp.431-436
    • /
    • 2004
  • Cross-linked network solid polymer electrolytes were prepared by means of in situ hydrosilylation between poly[hydromethylslioxane-g-oligo(ethylene oxide)] and diallyl or triallyl group-containing poly(ethylene glycols). The conductivities of the resulting polymer electrolytes were greatly enhanced upon the addition of poly(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PEGDME) as an ion-conducting plasticizer. Conductivities of the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s were more dependent on the molecular weight of PEGDME than on the cross-linkers. The maximum conductivity was found to be 5.6${\times}$10$\^$-4/ S/cm at 30$^{\circ}C$ for the sample containing 75 wt% of PEGDME (M$\_$n/ =400). These electrolytes exhibited electrochemical stability up to 4.5 V against the lithium reference electrode. We observed reversible electrochemical plating/stripping of lithium on the nickel electrode.

Rheological properties and thermal degradation behaviors of sonochemically treated polycarbonate/polysiloxanes blends

  • Choi, Mi-Kyung;Kim, Yu-Bin;Kim, Ji-Hye;Kim, Hyung-Su
    •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245-251
    • /
    • 2008
  • Two polysiloxanes having different chemical structures were blended with polycarbonate (PC) under ultrasonic irradiation in solution. The polysiloxanes used were poly(methylphenyl siloxane) and vinyl-terminated poly(dimethyl siloxane). It was of primary interes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ysiloxane structure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C/polysiloxane blends. It was found that a small amount (1.5 phr) of polysiloxanes greatly altered the melt viscosities and elasticity of PC. In particular, incorporation of poly(methylphenylsiloxane) led to a notable increase in elasticity with greater shear sensitivity of PC. The observed rheological behaviors of PC/polysiloxane blends were partly explained in conjunction with the tendencies found in ultrasonic degradation of polysiloxanes. Thermal stability and morphology in sonicated blends of PC/polysiloxane blends were also discussed.

PEBA/PDMS 블렌드막의 제조 및 이산화탄소 분리 특성 연구 (Preparation of PEBA/PDMS Blend Membranes for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 박유인;강하성;남미연;이은우;김범식;이상학;서정권;서동학
    • 멤브레인
    • /
    • 제19권1호
    • /
    • pp.83-88
    • /
    • 2009
  • 본 연구는 Poly(ether block amide) (PEBA)와 poly(dimethyl-siloxane) (PDMS)를 혼합한 블렌드막(PEBA: PDMS = 5 : 2,6 : 1 wt%)을 상전이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이산화탄소의 분리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PDMS와 PEBA (4033) 은 투과특성의 비교를 위해 각각 같은 방법의 단일막으로 제조되었고, 용매로는 n-butanol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막은 SEM 을 이용하여 morphology를 분석하였고, 압력에 따른 $CO_2$$N_2$의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PEBA/PDMS 블렌드막은 3기압에서 단일 PDMS막에 비해 $N_2$에 대한 $CO_2$의 선택도가 $4{\sim}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디메틸실록산-폴리비닐피롤리돈 빗살 공중합체 합성, 모폴로지 및 투과성질 (Synthesis, Morphology and Permeation Properties of poly(dimethyl siloxane)-poly(1-vinyl-2-pyrrolidinone) Comb Copolymer)

  • 라즈쿠마 파텔;박정태;박민수;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7권6호
    • /
    • pp.499-505
    • /
    • 2017
  • 인위적인 온실 가스 배출로 인한 자연 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체 분리막의 개발이 촉진되게 되었다. 이산화탄소($CO_2$)는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이다. 고유의 유연성을 가지는 유기 고분자 막은 기체 분리막의 좋은 후보군 중 하나이며, 이 중 이산화탄소에 대한 높은 확산도를 가지고 있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은 유망한 소재이다. 또한,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은 이산화탄소에 대한 높은 용해도를 가지고 있는 고분자로 기체 분리막에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이한 조건에서 간단한 단일 반응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하여 다양한 조성의 폴리디메틸실록산-폴리비닐피롤리돈(PDMS-PVP) 빗살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PDMS와 PVP로 합성된 공중합체는 FTIR을 통해 분석하였다. 고분자의 형태학 및 열적 특성은 TEM, TGA 및 DSC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PDMS-PVP 빗살 공중합체를 다공성 폴리설폰 지지체 위에 코팅하여 복합막을 제조했으며, 제조한 복합막의 기체 투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산화탄소의 투과도 및 이산화탄소/질소 선택도가 각각 140.6 GPU 및 12.0에 도달하였다.

Fabrication of Moth-Eye Pattern on a Lens Using Nano Imprint lithography

  • 배병주;홍성훈;홍은주;이헌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8-12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래피 공정과 PVA(Poly-Vinyl-Alcohol), PDMS(Poly-Dimethyl-Siloxane) template 등의 flexible template를 사용하여 평면 기판 뿐만 아니라 곡면 렌즈 위에 moth-eye 구조를 성공적으로 형성시켰으며 처리 되지 않은 렌즈에 비해 투과율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opological Approach to the Rubber Elasticity of Polymer Networks

  • 손정모;박형숙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0권1호
    • /
    • pp.84-96
    • /
    • 1989
  • Applying the topological theory of rubber elasticity which was suggested by K. Iwata to the newly devised body-centered cubic lattice model, the authors calculated the values of four terms of the free energy to form polymer networks. Finding the projection matrix of the BCL model, and comparing this with the values of the simple cubic lattice (abbreviated to SCL hereafter) model of K. Iwata, the authors obtained the stress versus strain curves and found that the curve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poly(dimethyl siloxane) networks.

폴리머의 표면형상 및 표면에너지 제어를 통한 건식 마찰 특성 연구 (Dry friction properties through the surface morphology and the surface energy control of the polymer)

  • 신민호;김병준;박영배;김도근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0-150
    • /
    • 2016
  • 디스플레이, 센서 등 전자소자는 소형화 단계를 지나 인체 부착형 소자로의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 부착형 소자에서는 접착력과 큰 마찰력이 필요하지만 마찰특성이 더 중요하므로 인체 및 물체의 마찰을 위해서는 다양한 표면에 대항하는 마찰 특성과 내구성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개코도마뱀 또는 딱정벌레, 말벌날개와 같은 자연모사형 건식 마찰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폴리머를 이용하여 자연모사형 마이크로/나노 구조 형성은 기계적으로 가공된 금형 몰딩을 통한 매무 복잡한 공정을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공정을 통한 마찰재 제작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활용하여 나노구조 형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며, 건식 접착 및 마찰용 폴리머 소재(PDMS(Poly dimethyl siloxane))에 따른 표면구조 변화와 표면에너지 및 화학결합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플라즈마 표면처리를 위해서 자체 개발한 선형이온소스를 활용하였으며 입사에너지에 따라 표면형상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을 활용하여 관찰하였다. 표면에너지 변화는 접촉각측정기를 활용하였으며, Tribology tester(Ball on disk)를 활용하여 마찰특성을 평가하였다. PDMS(Poly dimethyl siloxane)는 입사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주름형태 구조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표면에너지 및 마찰력 증가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플라즈마 처리 후 표면에너지 변화인 FOTS(Trichloro-(1H,1H,2H,2H- perfluorooctyl) silane) 처리를 통하여 표면에너지 감소와 마찰력이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나노구조에 따라 표면형상 및 표면에너지 변화에 따른 PDMS의 마찰력 변화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마찰재와 피부 부착형 접착 패치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DMS 막을 이용한 물과 이소프로판올 혼합액의 투과증발 분리특성 (Pervaporation Separation of Isopropyl Alcohol-water Mixtures Using Poly (dimethyl siloxane) Membrane)

  • 김지선;이충섭;조은혜;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3권3호
    • /
    • pp.245-250
    • /
    • 2013
  • PDMS 단일 막을 이용한 투과증발공정을 통해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물계에 대한 분리특성을 알아보았다. RTV-655 주재와 가교제의 비율을 9:1과 10:1로 달리하고 반응온도를 40, 60, $80^{\circ}C$로 변화하여 경화시켰다. 이렇게 제조된 막을 이용하여 특성평가를 위해 물/IPA 혼합액에 대한 투과증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급액의 조성은 85 wt% IPA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온도는 25, 35, 45, $55^{\circ}C$로 변화시켰다. 공급액의 변화와 반응온도의 조건변화에 따른 투과도 및 IPA 농축농도를 측정하였는데, 투과도는 9:1 비율, 공급액 온도 $55^{\circ}C$일 때 $148g/m^2{\cdot}hr$, 선택도는 10:1 비율, 공급액 온도 $55^{\circ}C$일 때 17%로 가장 높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IPA/물 혼합액의 PEI/PDMS 복합막 모듈을 이용한 투과증발 파일롯 분리특성 (Pilot Test with Pervaporation Seperation of Aqueous IPA Using a Composite PEI/PDMS Membrane Module)

  • 천봉수;정성일;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5권5호
    • /
    • pp.385-390
    • /
    • 2015
  • Isopropyl alcohol (IPA)/물의 투과증발 분리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용화된 Polyetherimide (PEI) 중공사막에 Poly(dimethyl siloxane) (PDMS)로 코팅한 복합막 모듈을 이용하여 파일롯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공급액으로는 물과 IPA를 각각 85 : 15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로 $25^{\circ}C$에서 투과도 $0.52kg/m^2h$, IPA 농도 68.5%로 높은 수치를, $55^{\circ}C$에서 투과도 $1.368kg/m^2h$, IPA 농도 61.2%로 높은 투과도를 얻을 수 있었다. 테스트를 진행한 복합막 모듈의 내구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약 100일간 반응온도를 $50^{\circ}C$로 설정하여 장기테스트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약 $1.03{\sim}1.15kg/m^2h$의 투과도와 61.8~62.5%의 IPA 농도로 초기 측정량과 큰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