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y formation proces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초

AHP기법을 이용한 교통정책 최적대안의 선정 방안연구 - 수도권광역교통청의 최적 설립형태와 업무범위 고찰 - (An AHP Application to Find the Most Suitable Type of Organizational Formation and Scope of Work for the Upcoming Seoul MTA)

  • 방철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03-112
    • /
    • 2018
  • 수도권지역의 교통행정운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 새로운 수도권 광역교통행정기구의 설립이 가시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 광역교통행정기구의 성공적인 설립과 운영을 위해서는 어떠한 행정구조와 업무기능을 가져야 하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설문을 이용한 AHP기법을 적용하여 최선의 적용가능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연구의 분석결과는 수도권교통기구설립 대안을 평가할 때, 실제교통 행정의 운영주체 또는 그 운영비용보다는 전체 교통서비스의 질적 향상, 개인교통복지 증진, 그리고 이를 추진할 수 있는 강력한 정치 행정력에 더 높은 의미와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연구는 수도권광역교통청을 중앙정부내 별청형태로 신설하여 수도권내 장기종합교통체계를 통합관리하도록 제안하였다.

关于东北亚地区内 "建设性的微边主义, 小区域主义" 制度 建设的必要性和效果的研究 -以韩国的视角为中心 -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Effect of constructive minilateralism and subregionalism in Northeast Asia: Focused on Korean perspective)

  • Kim, Jaekwan
    • 분석과 대안
    • /
    • 제4권1호
    • /
    • pp.63-87
    • /
    • 2020
  • This article not only theoretically explores the necessity and effect of constructive minilateralism and subregionalism in Northeast Asia, but also delves into a series of practical solutions from viewpoint of seeking common ground while reserving differences in this region.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ous obstacles that hinder the formation of regionalism, subregionalism and minilateralism in the Northeast Asia are discussed. That is to say, geopolitical realism, My Country First ideology, exclusive nationalism in the socio-historical context, and North Korea's latest provocations, etc. Second, this article explores the philosophy and basic principles of realizing Northeast Asia regionalism and minilateralism. Third, in the 21st century, Northeast Asia becomes the center of the world. It examines the core points, controversial focus and platform for building sub regionalism in the region. Finally, based on the institutional platform such as minilateralism and sub regionalism, the various ideas and practical plans of cross-border cooperation among major countries in Northeast Asia were discussed. Because there are a lot of obstacles, so first of all it is more appropriate to promote economic or functional minilateralism or sub regionalism than multilateral cooperation. In order to promote the formation of regionalism and minilateralism in Northeast Asia, the issues to be considered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ake of leading regional solidarity and min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it is advisable for China, as a regional economic power, to implement a stable and responsible diplomacy. Secondly, regional solidarity based on credible politics and security should be promoted for a long time beyond the level of economic cooperation. Third, the primary prerequisite for the realization of Northeast Asian regionalism is that in the process of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he stability and peace mechanism of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established. Fourth, with the continued hegemon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Northeast Asia, under the circumstance that countries in the region are pushed into so-called "East Asian Paradox", it is profoundly important for them to consider transition from the hostile relationship as the "Thucydides trap" to the order of "coexistence" in whic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run side by side, and the two countries should explore a conversion plan for the foreign policy line. This mutual cooperation and peaceful coexistence of the US-China relationship will create a friendly atmosphere for the formation of regionalism in Northeast Asia. In the future, the cooperation of minilateralism in Northeast Asia will break the existing conflict between the maritime forces and the continental forces in order to promote peace. And along with the philosophy that "peace is economy", recent policies of common prosperity as the framework, such as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North Korea's "Special Zone and Development Zone Policy", Russia's "New Eastern Policy", Japan's participation i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South Korea's The "Korean Peninsula New Economy Map" are organically linked and it should promote the so-called "networked regionalism".

  • PDF

경쟁력 있는 글로벌 혁신클러스터 재창조 전략 : 전환력과 집단적 대응 (Recreating Competitive Global Innovation Clusters in Korea: Switching Forces and Collective Responses)

  • 이정협
    • 산업클러스터
    • /
    • 제2권1호
    • /
    • pp.28-43
    • /
    • 2008
  • 본 고에서 우리나라의 클러스터들이 세계에서 경쟁력 있는 혁신클러스터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잠재경로와 클러스터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개입의 방향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세계적인 클러스터가 되기 위해서는 클러스터의 구성원들이 끊임없이 변하는 자본주의 경제의 전환력에 대하여 집단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고 그 과정에서 각기 독특한 경쟁력이 창출된다는 것이 이 논문의 핵심적 주장이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다양한 자산들을 축적하였고 이런 자산들은 우리나라에서 세계적인 선도 클러스터를 창출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 과정은 실리콘밸리와 같은 유일한 모델을 베끼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지역적 조건에 맞는 독자적인 모델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 혁신클러스터의 재창조 과정이 요구된다.

  • PDF

IT 바탕으로 한 ′기술수렴′(Technological Convergence)과 기술추격의 장애: 기계 제어 컴퓨터 사례

  • 임채성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발표자료
    • /
    • pp.411-430
    • /
    • 2001
  • This Paper analyses characteristics of the numerical controller industry in market formation and the flow of information between users and producers and the characteristic of knowledge base of the industry and discusses the difficultie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in accumulation of technological capability In market formation between users and producers, the multi-layered market is not favorable to domestic producers in that lower end market is not large enough to provide cradle market to them which produce inferior quality and lower price than imported products. The credibility of the performance of a product is difficult to prove until a critical mass of products are sold. Therefore gaining market share is deterred by unproven credibility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The flow of information between users and producers is limited. The flow of information on users environment through mass market to producers is essential for improving credibility of a product. The nature of knowledge base is tacit and the means of knowledge transmission is limited. Technological licensing and reverse engineering, which have been conventional means of knowledge transmission, are not useful in the numerical controller industry. These characteristics provide conditions of vicious circle in accumulation of technological capability of the numerical controller industry. It is conjectur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numerical controller is the result of IT based technological convergence in controlling machining process. This paper argues that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challenges existing approach to R&D management and framework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PDF

1930년대 조선성악연구회(朝鮮聲樂硏究會)의 창극적 상상력과 식민성 (Ch'anggŭk Imagination and Coloniality of Chosŏn Sŏngak Yŏn'guhoe in the 1930s)

  • 김향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357-392
    • /
    • 2019
  • 이 논문은 1930년대 창극 형성 과정을 창극 유성기음반과 조선성악연구회(朝鮮聲樂硏究會)의 창극 레퍼토리들을 중심으로 재고찰한 것이다. 1930년대 창극 형성의 중심에 있었던 조선성악연구회의 구체적인 활동을 살피면서 그 의의와 한계를 논했다. 창극 유성기음반에서 구현되는 '입체창'과 '해설자' 역할은 조선성악연구회 회원들이 판소리와 변별되는 '극적 공간과 무대'를 인식하게 된 창극적 상상력의 구현으로 보았다. 그리고 창극 형성으로 파생된 서항석과 송석하의 '신창극' 개념의 차이와 의미를 논했다. 1930년대 무대 창극 공연은 '가극'이라는 지향점에 도달해야 한다는 논의의 반복이었는데, 당시 '가극'이라는 용어가 '창극'으로 대체되는 과정을 살폈으며 그 과정에서 창극 무대가 온전한 형태를 갖추게 된 것을 논했다. 조선성악연구회 회원들의 창극 만들기는 창극사적으로는 중요한 업적일 수 있으나 일제의 문화정책에 따른 '정제'와 '배제'로 인해 형식적 측면에서는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판소리 음악성은 고양되었으나 시대정신과 다양성을 담을 수 없었기에 초보적인 창극적 상상력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창극은 태생적으로 한계를 지닌 장르였지만 시대의 흐름 속에서 극복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후속 논문에서 다루고자 한다.

서울시 의류봉제 소공인클러스터의 특성요인에 따른 정책수단 차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Policy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Apparel Sewing Micro Manufacturers Clusters in Seoul)

  • 정영수;황주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8-255
    • /
    • 2023
  • 본 연구는 클러스터의 특성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변수로 도출하여, 창신동, 독산동, 장위동 의류봉제 집적지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각 집적지별로 정부의 지원정책에 대한 수요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자료는 세 지역의 입주업체를 대상으로 한 대면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창신동은 '혁신성장 지향형', 독산동은 '네트워킹 지향형', 그리고 장위동은 '전문집적 지향형', 클러스터로 판별되었다. 정책수요에 대한 조사 결과 세 지역의 정책수요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창신동은 역량형성, 독산동은 정보제공, 장위동은 혜택의 정책수단을 선호하였다. 동일한 의류봉제 업종의 집적지 간에도 형성과정과 특성이 다르고, 그로 인해 정책수단에 대한 수요도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주기적인 실태조사를 통한 집적지별 특성과 정책수요의 파악, 집적지의 특성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지원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제언한다.

첨단산업발전과 신산업지구 형성 : 이론과 사례 (Hightechnology industrial development and formation of new industrial district : Theory and empirical cases)

  • 박삼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7-136
    • /
    • 1994
  • 오늘날 첨단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산업의 공간구조 변화가 지역적인 차원은 물론 국제적인 차원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신산업지구의 등장은 그 좋은 예라고 볼 수 있다. 신산 업지구는 소기업 중심의 유연적 전문화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생산체계, 생산의 네트워크, 뿌리내림(embeddedness), 기업의 규모 등 4가지 요인과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발전하는 역동성을 가지고 있다. 신산업지구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의 유형에 따라 4개 의 기본유형과 5개의 혼합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들은 위의 4가지 요인 외에도 기업간 권한의 계층성, 협력과 경쟁, 제도적 요인, 매몰비용(sunk costs) 등에 의해서 그 특성이 구 분되며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9개의 유형은 모두 첨단산업과 관련지을 수 있으나, 첨단산 업의 발전과 더불어 혼합형 산업지구가 형성발전될 가능성이 더 크다. 과거의 산업지구는 역사적 우연성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가 흔하였지만 오늘날 첨단산업과 관련한 산업지구는 정책과 전략이 그 형성과 발전에 중요하다. 따라서 제도적 지원체계의 마련, 매몰비용의 절 감, 국제화에 대한 대응 등의 여러 가지 전략이 추진되어야 신산업지구의 형성과 역동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 PDF

근거기반 임상실무지침: 장루간호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Ostomy Care)

  • 이윤진;박현숙;김민경;서희원;이미주;원은애;조가나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2호
    • /
    • pp.154-163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idence-based guideline for stoma management providing institutional policy, assessment, complications and follow-up care. Methods: The guideline adaptation manual consisting of 23 steps developed by the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was used for this study. It presents an overview of the process used to develop the guideline and lists specific recommendations from the guideline. Results: It provides 55 recommendations that include the following 8 topics: 1) Organization and policy recommendations, 2) Preoperative nursing; Ostomy education, stoma site marking, 3) Ostomy formation, 4) Postpoperative nursing; education, assessment, high output stoma management, 5) Selection of ostomy products, 6) Colostomy irrigation, 7) Stomal and peristomal complications, 8) Follow-up care after discharge. Conclusion: The guideline can be used to address stoma management in hospital settings. The intent of the guideline i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will assist healthcare providers to manage adult patients with ostomies, prevent or decrease complications, and improve patients' outcomes.

바이오매스 순환단지조성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f the Efficient Planning of Governance for Building Biomass Circulation Estate)

  • 권구중;이수영;황재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61-579
    • /
    • 2014
  • This research estimates the necessity of a better governance plan on the purpose of fulfillment energy recovery by building resource recycling system for biomass resources and waste resources that derive from agricultural and mountain village areas. The utilization of new renewable energy technology which uses waste and biomass sources diverse as variety of resources, collecting method, operator etc. and is structurally complicated the formation of policy is also very difficult. There is failure because of the problems which occurs from the policy led by government. Biomass Town Development Project should be made through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integrated support system and should be formed a consultative group in order to process the project mutually with these two department including the experts from the related areas. This consultative group, while government organizations carry out the hub function of strategic knowledge management, should carry out the control tower function to be able to be net working transfer the information with the cooperation of private and government so vitalize the communication area among the related actors. And to be able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local people the consistent and various educations should be given so a smooth business promotion progress will be desired through the change of perception and coactive participation of people.

성호학파에서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역학(易學)의 성립과정(III) -이익, 신후담의 역학에서 정약용의 역학으로 - (Xinghuxuepai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Dasan Jeong Yak-Yong' Yi Xue(易學)(III) - From Li Yi, Shen Hou Dan' Yi Xue to Jeong Yak-Yong Yi Xue)

  • 서근식
    • 한국철학논집
    • /
    • 제53호
    • /
    • pp.35-61
    • /
    • 2017
  • 성호학파에서 다산역학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성립되었는지를 살펴 보았다. 다산의 역학은 성호와 하빈으로부터 호체와 효변의 방법을 물려 받았고, 다산은 이러한 1가지 방법으로 "주역"을 아우를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역리사법이라고 하는 4가지 방법을 제시하였고, "독역요지"를 통해 18가지 방법으로 보완하였다. 이에 다산의 역학이 성립하게 되는 과정을 차례차례 살펴보았다. 성호학파의 종장(宗匠)인 성호 이익으로부터 다산은 호체의 방법을 물려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산은 호체의 방법은 주자에게서 왔다고 하고 있다. 이러한 다산의 주장은 정조의 학술정책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다산은 "주역"을 해석하는 방법으로 하빈으로부터 효변의 방법을 물려받는다. 그러나 다산은 효변을 주자의 뜻이라고 하고 있다. 이 부분은 정조의 학술정책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그런 것이다. 다산은 성호로부터는 호체의 방법을 물려받았고 하빈으로부터는 효변을 물려받았지만 다산은 역리사법이라고 하는 4가지 핵심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다산의 현대적 관점은 모기령과 비슷하게 역학사상을 전개했다는 점이 여러 연구자들에게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다산 스스로가 서하의 경학관을 비판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비슷하다고 보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