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nghuxuepai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Dasan Jeong Yak-Yong' Yi Xue(易學)(III) - From Li Yi, Shen Hou Dan' Yi Xue to Jeong Yak-Yong Yi Xue

성호학파에서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역학(易學)의 성립과정(III) -이익, 신후담의 역학에서 정약용의 역학으로 -

  • Received : 2017.03.31
  • Accepted : 2017.04.30
  • Published : 2017.05.15

Abstract

The formation process of Dasan(茶山)'s Yi Xue(易學) in Xinghuxuepai(星湖學派) was examined. Dasan(茶山)'s Yi Xue(易學) succeeded to the methods of Huti (互體) and Yaobian(爻變) from Seong-ho(星湖) and Ha-bin(河濱), and Dasan(茶山) thought that he couldn't cover Zhouyi("周易") just with this one method. So he suggested the four methods called Yilisifa(易理四法), and supplemented it with 18 methods through Duyiyaozhi(?讀易要旨?). Accordingly, the process of how Dasan(茶山)'s Yi Xue(易學) was established was examined one by one. Dasan(茶山) succeeded to the method of Huti(互體) from Seong-ho Lee Ik(星湖李瀷), the leading master of Xinghuxuepai(星湖學派). Nevertheless, Dasan(茶山) argued that the method of Huti(互體) had been from Zhu Xi(朱子). However, this argument of Dasan(茶山)'s seems to have resulted from Zhengzu(正祖)'s academic research policy. As a way to interpret Zhouyi(?周易?), Dasan(茶山) succeeded to the method of Yaobian(爻變) from Ha-bin(河濱). However, Dasan(茶山) argued that Yaobian(爻變)was Zhu Xi(朱子)'s intention. He had no choice but this because of Zhengzu(正祖)'s academic research policy. Dasan(茶山) succeeded to the method of Huti(互體) from Seong-ho(星湖) and Yaobian(爻變) from Ha-bin(河濱), but Dasan(茶山) proposed the four key methods called Yilisifa(易理四法). Many researchers have argued that, as for Dasan(茶山)'s modern viewpoint, Dasan(茶山) developed Yi Xue(易學) in a similar way as Xihe Mauqiling(西河 毛奇齡). However, this viewpoint cannot be judged to have been similar as it was expressed when Dasan(茶山) himself criticized Xihe(西河)'s Jingxueguan(經學觀).

성호학파에서 다산역학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성립되었는지를 살펴 보았다. 다산의 역학은 성호와 하빈으로부터 호체와 효변의 방법을 물려 받았고, 다산은 이러한 1가지 방법으로 "주역"을 아우를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역리사법이라고 하는 4가지 방법을 제시하였고, "독역요지"를 통해 18가지 방법으로 보완하였다. 이에 다산의 역학이 성립하게 되는 과정을 차례차례 살펴보았다. 성호학파의 종장(宗匠)인 성호 이익으로부터 다산은 호체의 방법을 물려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산은 호체의 방법은 주자에게서 왔다고 하고 있다. 이러한 다산의 주장은 정조의 학술정책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다산은 "주역"을 해석하는 방법으로 하빈으로부터 효변의 방법을 물려받는다. 그러나 다산은 효변을 주자의 뜻이라고 하고 있다. 이 부분은 정조의 학술정책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그런 것이다. 다산은 성호로부터는 호체의 방법을 물려받았고 하빈으로부터는 효변을 물려받았지만 다산은 역리사법이라고 하는 4가지 핵심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다산의 현대적 관점은 모기령과 비슷하게 역학사상을 전개했다는 점이 여러 연구자들에게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다산 스스로가 서하의 경학관을 비판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비슷하다고 보기 힘들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