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Policy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Apparel Sewing Micro Manufacturers Clusters in Seoul

서울시 의류봉제 소공인클러스터의 특성요인에 따른 정책수단 차별화에 관한 연구

  • Young-Su Jung (Graduate School of AI Public Policy and Information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Joo-Sung Hwang (Graduate School of AI Public Policy and Information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정영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AI공공정책전공) ;
  • 황주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AI공공정책전공)
  • Received : 2023.09.21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In this study, we derived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cluster as measurable variables, and attemp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arel sewing areas in Changsin-dong, Doksan-dong, and Jangwi-dong. Based on these result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how the demand for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differs for each agglomeration area.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questionnaires targeting tenant companies in the three reg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hangsin-dong was identified as an "innovative growth type," Doksan-dong as a "networking type," and Jangwi-dong as a "specialized localization typ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policy demands, the policy demands of the three agglomerations appeared different, but Changsin-dong preferred capacity building, Doksan-dong preferred information provision, and Jangwi-dong favored policy means of benefit. It was confirmed that even among clusters of the same apparel sewing industry,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and as a result, the demand for policy instruments is also different.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policy demands of each agglomeration area through periodic fact-finding surveys, and recommending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support policie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gglomeration area.

본 연구는 클러스터의 특성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변수로 도출하여, 창신동, 독산동, 장위동 의류봉제 집적지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각 집적지별로 정부의 지원정책에 대한 수요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자료는 세 지역의 입주업체를 대상으로 한 대면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창신동은 '혁신성장 지향형', 독산동은 '네트워킹 지향형', 그리고 장위동은 '전문집적 지향형', 클러스터로 판별되었다. 정책수요에 대한 조사 결과 세 지역의 정책수요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창신동은 역량형성, 독산동은 정보제공, 장위동은 혜택의 정책수단을 선호하였다. 동일한 의류봉제 업종의 집적지 간에도 형성과정과 특성이 다르고, 그로 인해 정책수단에 대한 수요도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주기적인 실태조사를 통한 집적지별 특성과 정책수요의 파악, 집적지의 특성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지원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2020,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경기도 중소기업 실태와 시사점, GBSA Policy Focus 2020-06.
  2. 권오혁, 2017, "산업클러스터의 개념과 범위," 대한지리학회지 52(1), pp.55-71.
  3. 권오혁.정병순, 2002, "제 3 이탈리아 프라토지역의 산업전문화와 산업지구 발전," 지방행정연구 16(1), pp.1-19.
  4. 김동주.권영섭.황주성.김선배.이정협, 2002, "우리나라 지역산업군집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18(3), pp.49-74.
  5. 김선배, 2001,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위한 산업정책 모형," 지역연구 17(2), pp.79-97.
  6. 김정훈.성열홍, 2018, "도시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사례 연구 - 서울시 도시형 소공인을 중심으로,"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55, pp. 149-161. https://doi.org/10.18555/kicpd.2018.55.14
  7. 김태영.김봉준, 2008, "민원행정서비스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지적(地籍) 행정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08, pp.1-14.
  8. 남기범, 2003, "서울 신산업집적지 발전의 두 유형: 동대문시장과 서울벤처밸리의 산업집적, 사회자본의 형성과 제도화 특성에 대한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6(1), pp.45-60.
  9. 서리빈.성종수.윤현덕, 2012, "산업클러스트 입주가 벤처기업의 기술혁신활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R&D협력네트워크와 기업가 정신을 중심으로," 기업가정신가 벤처연구 15(3), pp.43-68.
  10. 서울열린데이터광장, 2023, http://data.seoul.go.kr/ (최종열람일: 2023년 6월 30일).
  11.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2023, http://www.semas.or.kr/ (최종열람일: 2023년 6월 30일).
  12. 신진교.임재현, 2014, "산업클러스터의 체계성과 중소기업의 기업가정신, R&D역량 및 기술혁신," 경영과 정보연구 33(2), pp.171-188.
  13. 신진교.최영애, 2008, "중소기업의 R&D 와 혁신-정부정책지원의 조절효과," 기업경영연구 15(1), pp.119-132.
  14. 신창호.정병순, 2002, "서울시 정보통신 (ICT) 산업클러스터의 공간적 특성," 지역연구 18(1), pp.1-23.
  15. 윤소정.이하경, 2019, "글로벌 패션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43(4), pp.491-505.
  16. 이병민, 2016, "창조도시정책의 추진과정과 성과에 대한 연구: 영국의 테크시티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597-615.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597
  17. 이상욱.김경민, 2014, "서울 구로.가산동 의류패션산업의 가치사슬과 네트워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3), pp.465-481. https://doi.org/10.23841/EGSK.2014.17.3.465
  18. 이성우, 2013, 정책분석론: 이론과 기법, 서울: 조명문화사, pp.277-290.
  19. 이종호.이철우, 2008, "집적과 클러스터: 개념과 유형 그리고 관련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3), pp.302-318. https://doi.org/10.23841/EGSK.2008.11.3.302
  20. 이종호.이철우, 2014, "트리플 힐릭스 공간 구축을 통한 클러스터의 경로 파괴적 진화: 미국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 사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249-263. https://doi.org/10.23841/EGSK.2014.17.2.249
  21. 전영한, 2007, "정책도구의 다양성: 도구유형분류의 쟁점과 평가," 정부학연구 13(4), pp. 259-295.
  22. 전영한.이경희, 2010, "정책수단연구: 기원, 전개, 그리고 미래," 행정논총 48(2), pp.91-118.
  23. 정선화, 2020, "산업집적지의 위기와 회복 가능성: 동대문 패션산업 생산네트워크와 공간적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1), pp.18-34. https://doi.org/10.23841/EGSK.2020.23.1.18
  24. 정영수, 2020, "소공인클러스터의 특성과 발달단계에 대한 비교연구: 서울시 창신 및 장위 의류봉제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1), pp.35-55. https://doi.org/10.23841/EGSK.2020.23.1.35
  25. 정영수, 2021, "소공인클러스터의 특성요인에 따른 정책수단의 차별화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정재우, 2022, "국내 의류봉제업체의 현황연구: 성북구 장위지역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 연구 30(1), pp.218-237.
  27. 중소벤처기업부, 2023, https://www.mss.go.kr/ (최종열람일: 2023년 6월 30일).
  28. 한광호, 2020, "우리나라 제조업의 지역별 산업집적효과와 총요소생산성," 경제연구 38(1), pp.55-74. https://doi.org/10.30776/JES.38.1.3
  29. 황주성, 2000a, "소프트웨어 산업의 입지와 산업지구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4(1), pp.121-139.
  30. 황주성, 2000b, "강남.서초지역의 산업지구적 성격규명을 위한 실증연구," 지역연구 16(1), pp. 1-22.
  31. 황주성, 2004, "대덕 IT 클러스터의 구조와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3), pp.359-384.
  32. Audretsch, D., 2012, "Entrepreneurship research," Management Decision 50(5), pp.755-764. https://doi.org/10.1108/00251741211227384
  33. Bardach, E. S., 1980, "Implementation studies and the study of implement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34. Bresnahan, T. F., Brynjolfsson, E. and Hitt, L. M., 2002, "Information technology, workplace organization, and the demand for skilled labor: Firm-level evidence,"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7(1), pp.339-376. https://doi.org/10.1162/003355302753399526
  35. Capello, R., 1999, "Spatial transfer of knowledge in high technology milieux: learning versus collective learning processes," Regional Studies 33(4), pp.353-365. https://doi.org/10.1080/00343409950081211
  36. EC, 2016, Smart Guide to Cluster Policy. Guidebok Series, How to support SME Policy from Structural Funds.
  37. EC, 2019, Smart Guide to entrepreneurship support through clusters. European Observatory for Clusters and Industrial Change.
  38. Granovetter, M., 1985, "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3), pp.481-510. https://doi.org/10.1086/228311
  39. Hood, C., 1986, "The Tools of Government," Chatham, NJ: Chatham House.
  40. Kirzner, I. M., 1997, "Entrepreneurial discovery and the competitive market process: An Austrian approach,"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35(1), pp.60-85.
  41. Lascoumes, P. and Le Gales, P., 2007, "Introduction: understanding public policy through its instruments-from the nature of instruments to the sociology of public policy instrumentation," Governance 20(1), pp.1-21. https://doi.org/10.1111/j.1468-0491.2007.00342.x
  42. McDonnell, L. M. and Elmore, R. F., 1987, "Getting the job done: Alternative policy instruments,"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9(2), pp.133-152. https://doi.org/10.3102/01623737009002133
  43. OECD, 2001, Innovative Clusters: Driver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OECD Proceedings.
  44. Porter, M. E., 1998, "Cluster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76(6), pp.77-90.
  45. Schneider, A. and Ingram, H., 1990, "Behavioral assumptions of policy tools," The Journal of Politics 52(2), pp.510-529. https://doi.org/10.2307/213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