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seed yield

검색결과 599건 처리시간 0.026초

Red Pepper Cultivation Using a Native Legume Cover Crop in Korea

  • Cho, J.L.;Choi, H.S.;Lee, Y.;Lee, M.H.;Kim, C.S.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247-250
    • /
    • 2011
  • Four seed vetch (Vicia tetrasperma), a biennial native leguminous plant, was used for a cover crop with different quantity of sowed seeds. Weed suppression and yield were evaluated for the red pepper cultivation in the following year of the vetch seeding. Seeding of 1.0, 2.0, 3.0, 4.5, and 6.0 kg 10 $a^{-1}$ suppressed weed occurrences until late in the growing season of the red pepper. Consequently, red pepper in the cover cropping system with seeding of 3.0, 4.5, and 6.0 kg 10 $a^{-1}$ had a similar yield to the conventional red pepper. The ideal seed rate in four seed vetch was 3.0 and 4.5 kg 10 $a^{-1}$ in terms of reducing weed occurrence as well as increasing growth and yield in red pepper.

대두 종자크기에 대한 QTL의 consistency (Consistency of QTLs for Soybean Seed Size across Generations)

  • 정종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58-360
    • /
    • 1997
  • 대두 종자크기에 대한 QTL의 consistency을 알아보기 위하여 F$_{2}$, F$_{3}$ 세대에서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댜음과 같다. 세 개의 마크 OTL09a, OPM07a, OPAC12 가 F$_{2} 세대에서 종자 크기에 대한 QTL과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F$_{3}$ 세애데는 네 개의 마크 OTL09a, OPG19a, OPL09b, OPP11가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두 개의 마크 OPL09a, OPL09b 가 두 세대에서 유의성을 나타애어 종자 크기에 대한 QTL의 consistency가 인정되었다.

  • PDF

나물용 콩 품종의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변이 (Changes of Yield Components and Yield by Sowing Date in Sprout-soybean Cultivar)

  • 김학신;김홍식;김경호;오영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584-592
    • /
    • 2006
  •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콩나물 원료콩의 안정적 생산 공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sim}2001$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 포장에서 파종시기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체당 협수, 공협수, 입수 및 100립중은 파종기 및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협당 입수별 협수의 분포비율은 $2{\sim}3$립 협이 $80.9{\sim}77.5%$이었으며 파종기에 따라 2립 협의 변이가 컸다. 2. 수량은 2년간 시험품종 평균 5월 25일 파종은 290 kg/10a, 6월 15일 파종은 269 kg/10a 및 7월 5일 파종은 221 kg/10a으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고, 풍산나물콩이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파종기에 따른 수량 감소 정도가 적었고 그 외 품종들은 파종기에 따른 수량의 감소 정도가 컸다. 3. 수량은 개화일수, 성숙일수, 생육일수, 분지수, 줄기굵기, 개체당 협수, 개체당 입수 및 개체당 엽면적과 정의 상관이었으며 개체당 협수는 개체당 입수,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개체당 입수는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정의 상관이었다.

한국 재래 나물콩 품종 및 계통의 콩나물 특성 (Sprout Characteristics of Improved and Indigenous Soybeans in Korea)

  • 황영현;이정동;조호영;권택화;정연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99-105
    • /
    • 2002
  • 우수한 특성을 가진 나물콩 품종 육성을 위하여 국내 재래 나물콩 계통의 콩나물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301품종 및 계통의 콩나물 전체 길이의 범위는 9.5~23.0cm, 하배축길이는 5.9~15.1cm, 뿌리길이는 3.2~9.2cm로 다양한 변이를 보였고, 수율에서도 121~695%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었다. 2. 공시된 301품종 및 계통의 종피색에 따른 콩나물 수율은 혼색종피종에서 40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백립중에 따른 콩나물 수율은 소립종일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잔뿌리수는 흑색종피종과 갈색 종피종에서 현저히 적었다. 3. 콩나물 길이와 전체길이에 대한 뿌리길이의 비율, 수율을 기준으로 한 공시품종 및 계통들의 분포에서 장려품종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다수의 재래계통이 분포하고 있었다. 4. 콩나물 하배축의 색도는 백색도(L값)에서 장려품종이 재래계통에 비해 백색에 더 가까웠고, 적색도(a값)와 황색도(c값)는 장려품종보다 재래계통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 PDF

포장위생 관리가 콩 미이라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eld Sanitation on the Pod and Stem Blight Caused by Phomopsis spp. in Soybean)

  • 오정행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26-530
    • /
    • 1998
  • The effect of field sanitation using ecological characters of the pathogen was investigated for controlling Phomopsis seed decay in soybean. Field sanitation which was eliminated the inoculum by removing host debris, abscised petioles and cotyledones out of field, reduced remarkably infection percentage of pods and seeds by Phomopsis spp. as compared to the inoculated field. Neverthless, seed infection was 28.7% in the sanitized field. The fields sanitized by benlate application around the soybean plants also decreased seed infection with Phomopsis spp. Total seed infection including that with miscellaneous pathogens occurred as much as 75∼79% to the no application and their control values were 34∼42% over the routine application schedule. Even though it was not satisfactory, field sanitation seemed to be effective in controlling Phomopsis seed decay when infection pressure was low level. Diaporthe phseolorum va. sojae, D. phaseolorum var. caulivora and Phomopsis longicolla were mostly identified from soybean seeds and Colletotrichum truncatum, Cercospora kikuchiana were also isolated in sequence. Field sanitation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in soybean yield over the no application, while routine application schedule did in field.

  • PDF

기상요인이 콩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Climatic Influence on Seed Protein Content in Soybean(Glycine max))

  • 양무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39-547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how soybean seed protein concentration is influenced by climatic factors. Twelve lines selected for seed protein concentration were studied in 13 environments of North Carolina. Sensitivity of seed protein concentration, total seed protein, and seed yield to climatic variables was investigated using a linear regression model. Best response models were determined using two stepwise selection methods, Maximum R-square and Stepwise Selection. There were wide climatic effects in seed protein concentration, total protein and seed yield. The highest protein concentration environment was characterized by the most high temperature days(HTD) and the smallest variance of average daily temperature range (VADTRg), while the lowest protein concentration environment was distinguished by the fewest HTD and the largest VADTRg. For protein concentration, all lines responded positively to average maximum daily temperature(MxDT), HTD, and average daily temperature range(ADTRg) and negatively to ADRa, while they responded positively or negatively to average daily temperature(ADT), variance of average minimum daily temperature (VMnDT), and VADTRg, indicating that genotypes may greatly differ in degrees of sensitivity to each climatic variable. Eleven lines seemed to have best response models with 2 or 3 variables. Exceptionally, NC106 did not show a significant sensitivity to any climatic variable and thus did not have a best response model. This indicates that it may be considered phenotypically more stable. For total seed protein and seed yield, all the lines responded negatively to both ADTRg and VADRa, suggesting that synthesis of seed components may increase with less daily temperature range and less variation in daily rainfall.

  • PDF

Effect of Endophytic Bacterium Inoculation on Seed Germination and Sprout Growth of Tartary Buckwheat

  • Briatia, Xoxiong;Khanongnuch, Chartchai;Azad, Md Obyedul Kalam;Park, Cheol 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12-721
    • /
    • 201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ndophytic bacterium Herbaspirillum spp effect on seed germination and sprout growth of tartary buckwheat. Inoculant concentration (%v/v) and seed soaking time were applied 10, 20 and 40% and 0, 4, 8, 12 hour, respectivel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growth chamber maintained temperature at 20, 25 and $30^{\circ}C$ without light for 7 days. Results showed that, 10 to 20% (v/v) inoculant concentration by 4 to 8 h seed soaking time at $20^{\circ}C$ temperature increased seed vigor rate and total seed germination rate 80-95% and 90-100%, respectively. On the other and, seed inoculation with Herbaspirillum spp. increased hypocotyl length (13-15 cm), root length (8-11 cm), total fresh weight (135-296 g) and total dry weight (7-10 g), compared to control. It is indicated that sprouts growth and yield depends on inoculation concentrations, seed soaking time and temperature. Therefore, it would be suggested that seed inoculation with Herbaspirillum spp. at concentration of 10 to 20% (v/v), soaking time 4 to 8 h and temperature $20^{\circ}C$ promote seed germinations and sprout growth rate of tartary buckwheat.

콩 논.밭 재배에서 수랑예측을 위한 생육과 수량 관련 형질의 비교 (Growth and Yield Related Characteristics of Soybeans for the Estimation of Grain Yield in Upland and Drained-Paddy Field)

  • 조영손;박호기;김욱한;김석동;서종호;신진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599-607
    • /
    • 2006
  • 논과 밭에서 콩 생산성과 생육 형질들의 측정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콩 수량은 논보다 밭에서 높은 경향 이였으나 개체당종실수는 밭에서 100립중은 논에서 높은 경향이였다. 논에서 태광콩의 수량이 가장 높았고 대원콩과 황금콩 순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밭에서는 황금콩에서 가장 높은 수량을 기록했고 대원콩과 태광콩 순으로 높았다. 2. 밭에서 수확지수는 태광콩과 황금콩이 논보다 높았고 대원콩은 논에서 밭보다 유의성은 없었으나 높은 경향이었고, 전체적으로 대원콩이 논 밭 모두에서 가장 높았다. 3. 100립중은 태광콩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대원콩은 밭에서 황금콩은 논에서 높았다. 4. 엽의 녹색도는 논과 밭 재배조건 모두 파종 후 4주차부터 감소되었으나,논의 경우는 6주차까지 감소하였고, 그 이후 증가하였으며 밭의 경우는 5주차에 가장 낮은 값을 기록한 후 6주차부터는 상승하였다. 5. 지상부 건물중, 협 건물중, 협수, 경장, 경직경은 태광콩과 황금콩이 밭보다 논에서 높았으며 대원콩은 밭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협 생체중은 논 밭 모두 파종 후 9주차부터 점차 상승하였으나 1 cm 이하의 협수는 논에서는 12주차, 밭에서는 11주차 이후에는 세 품종 모두 증가되지 않았다. 7. 작물생장율(CGR)은 논재배콩이 밭보다 파종후 8주차 이후부터 높은 경향이었고, 13주차에서는 대원콩이 타 품종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밭에서는 파종후 12주차부터 15주차까지 태광콩, 대원콩, 황금콩 순으로 높았다. 8. 개체당종실수와 수량간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다. 9.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은 논에서는 파종후 5주차를 제외한 4-15주차 사이에 0.8내외의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나, 밭에서는 4, 5주차에서 상관이 낮았고 나머지 기간에는 논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10.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과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대두의 품종에 관한 연구 -제4보 파종기별 수량과 제특성과의 관계- (Studies on the soybean varieties in Korea. -IV relationships between the seed yields and some characteristics on the several sowing dates-)

  • 장권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권
    • /
    • pp.30-37
    • /
    • 1964
  • 대두품종의 파종기별 수량과 제특성간의 관계, 그리고 파종기별 수량의 품종간의 차이를 알고자 1962년과 1963년의 각 파종기에 대하여 실험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별 수량과 몇가지 생태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는 Table 1과 같이 대체로 개화일수와 생육일수는 극만파(7월파종)의 경우를 제외하고 수량과 정의 상관을 보이고 그 정도는 조기파종구에 있어서 더욱 높았다. 그리고 개화기간은 수량과 부의 상관의 경향이 보이고 결실일수는 년차나 파종기에 따라서 그 관계가 명료하지 아니 하였다. 2. 파종기별 수량과 몇가지 형태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는 Table 2와 같이 대체로 분기수 경직경 1주중량, 1주맥수 그리고 1주입수는 수량과 어느 파종기에 있어서도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경장과 수량 그리고 100 입중과 수량간에는 년차 파종기에 따라서 그 관계가 명료하지 아니하였다. 따라서 수량에 영향하는 특성은 개화일수, 생육일수의 두 생태적 특성과 함께 분기수, 경직경, 1주중량, 1주맥수 그리고 1주입수의 제형태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겠다. 3. 품종수량순위가 파종기에 따라 변동하는 경향을 보면 Table 3과 같이 대체로 공시품종중 울산, 상두, 장단백자, 익산, 함안, 반청두, 안전대입은 어느 파종기에 있엇도 높은 수량을 나타내고 이들은 성숙군이 IV, V, VI에 해당하는 중, 만생종으로 우리나라 중요재래품종들이며 극조생종이나 극만생품종은 수량은 떨어지나 극조생 또는 조생종중에서도 Black Hawk, 충북백 등은 만파의 우연에, 만생종인 동산006 등은 조파의 경우에 높은 수량을 보이는 품종들이었다. 4. 품종별 수량이 파종기에 따라서 변동하는 경향을 보면 Table 4와 같이 대체로 조생종에 있어서는 파종기 연장에 따라 수량 감소의 정도가 낮고 도리어 조파보다 만파의 경우에 좋은 성적을 나타 내었으나 중생종, 만생종일수록 파종기 연장에 의한 수량 감소의 정도가 높았다. 옥면과 같은 극만생종 품종은 조반의 경우라도 상해 등으로 본실험지의 기후조건 하에서는 경제적 재배가 곤란하다고 믿는다. 따라서 조생종에 있어서는 5월 이후의 만파의 경우에, 중, 만생종에 있어서는 4월보다 도리어 5월 파종의 경우에 좋은 성적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으나 품종별 파종 최적기 등의 결정문제는 앞으로 해결되어야 할 한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하겠다.

  • PDF

Culturable Endophytes Associated with Soybean Seeds and Their Potential for Suppressing Seed-Borne Pathogens

  • Kim, Jiwon;Roy, Mehwish;Ahn, Sung-Ho;Shanmugam, Gnanendra;Yang, Ji Sun;Jung, Ho Won;Jeon, Junh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4호
    • /
    • pp.313-322
    • /
    • 2022
  • Seed-borne pathogens in crops reduce the seed germination rate and hamper seedling growth, leading to significant yield loss. Due to the growing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damage and the development of resistance to agrochemicals among pathogen populations,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eco-friendly alternatives to synthetic chemicals in agriculture. It has been well established during the last few decades that plant seeds harbor diverse microbes, some of which are vertically transmitted and important for plant health and productivity. In this study, we isolated culturable endophytic bacteria and fungi from soybean seeds and evaluated their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common bacterial and fungal seed-borne pathogens of soybean. A total of 87 bacterial isolates and 66 fungal isolates were obtained. Sequencing of 16S rDNA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mplicon showed that these isolates correspond to 30 and 15 different species of bacteria and fungi, respectively. Our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y assay showed that four fungal species and nine bacterial species have the potential to suppress the growth of at least one seed-borne pathogen tested in the study. Among them, Pseudomonas koreensis appears to have strong antagonistic activities across all the pathogens. Our collection of soybean seed endophytes would be a valuable resource not only for studying biology and ecology of seed endophytes but also for practical deployment of seed endophytes toward crop pro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