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tfall trap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1초

Enhancing Arthropod Pitfall Trapping Efficacy with Quinone Sulfate: A Faunistic Study in Gwangneung Forest

  • Tae-Sung Kwon;Young Kyu Park;Dae-Seong Lee;Da-Yeong Lee;Dong-Won Shim;Su-Jin Kim;Young-Seuk Park
    • 생태와환경
    • /
    • 제56권4호
    • /
    • pp.303-319
    • /
    • 2023
  • Pitfall traps that use ethylene glycol as a preservative solution are commonly used in arthropod research. However, a recent surge in cases involving damage to these traps by roe deer or wild boars owing to the sweet taste of ethylene glycol has prompted the addition of quinone sulfate, a substance with a pungent taste, to deter such wildlife interferenc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s of quinone sulfate on arthropods collected from pitfall traps containing ethylene glycol. We strategically positioned 50 traps using ethylene glycol alone and 50 traps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quinone sulfate mixed with ethylene glycol in a grid pattern for systematic sampling at the Gwangneung Forest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site. Traps were collected 10 days later. The results revealed a notable effect on ants when quinone sulfate was introduced. Specifically, it decreased the number of ants. In a species-specific analysis of ants, only Nylanderia flavipes showed a significant decline in response to quinone sulfate, whereas other ant species remained unaffected. Additionally, among the arthropod samples obtained in this survey, we identified species or morpho-species of spiders, beetles, and ants and assessed species diversity. Consequently, the utilization of quinone sulfate should be undertaken judiciously,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 species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monitoring site. Our study also highlighted the significant response of various arthropod groups to variations in leaf litter depth, underscoring the crucial role of the leaf litter layer in providing sustenance and shelter for ground-foraging arthropods. Furthermore, we have compiled comprehensive species lists of both spiders and ants in Gwangneung forest by amalgamating data from this investigation with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Monitoring Local Populations and Breeding Migration Patterns of the Gold-spotted Pond Frog, Rana chosenica

  • Sung, Ha-Cheol;Cha, Sang-Min;Cheong, Seok-Wan;Park, Dae-Sik;Park, Shi-Ry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2호
    • /
    • pp.121-126
    • /
    • 2007
  • We monitored gold-spotted pond frog (Rana chosenica) populations near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Chungbuk, Korea, from 19 May to 8 August, 2006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opulations in local areas and to investigate patterns of migration of adult gold-spotted pond frogs from terrestrial hibernation sites to breeding sites, We captured individuals from the largest population using a drift fence with 22 pitfall traps surrounding the breeding site. A total of 22 individuals (19 males and 3 females) were captured between 23 May and 15 June. No peak in breeding migration was detected, but the onset of the breeding migration may correspond with increased humidity. Male body weigh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mpling dates. Seven of 22 individuals were captured at the 4th pitfall trap, which was placed between two culverts. The capture rate per pitfall trap was higher in traps close to the rice field banks (1.44, traps $1{\sim}9$) than in traps facing hilly land (0.33, traps $13{\sim}18$). Comparative data from the Korean frog (Rana coreana), a sympatric species in the study area, were also collec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gold-spotted pond frog.

Influences of Forest Type and Fragmentation by a Road on Beetle Communities in the Gwangneung Forest, South Korea

  • Kwon, Tae-Sung;Jung, Jong-Kook;Park, Young-Seuk
    • 생태와환경
    • /
    • 제54권1호
    • /
    • pp.61-70
    • /
    • 2021
  • The effects of forest type and fragmentation of forests by a road on the beetle community were investigated in the Gwangneung Forest, South Korea. Beetles were collected monthly using pitfall traps and by sweeping at 16 sites (eight in coniferous forests and eight in deciduous forests) for one year from April 1993 to April 1994, excluding winter. A total of 17,616 beetles belonging to 271 species from 39 families were collected. Among them, Synuchus cycloderus was the dominant species, with 14,060 individuals accounting for 80% of the total population. The influence of forest type (coniferous and deciduous) or sampling region (fragmented by a road) on species richness(number of species) was observed. We found that species richness was substanti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ampling method and taxa used. Beetles collected using pitfall traps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habitat types than those collected by sweeping. Four dominant families differently responded to forest fragmentation and forest types. Carabidae was influenced by forest fragmentation, whereas Staphylinidae and Curculionidae were influenced by forest types. Chrysomelidae was not influenced.

서울시 고덕지구에 서식하는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성비 및 성별에 따른 형태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x Ratio and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of Narrow-mouthed Toad (Kaloula borealis) Inhabiting the Godeok District in Seoul)

  • 김일남;이상철;도민석;김종명;권은호;배양섭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2-4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함정트랩으로 포획된 맹꽁이 개체들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맹꽁이의 기초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지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일대로, 이곳에 서식하는 맹꽁이를 대상으로 2016년 7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총 4년간 포획함정(pitfall trap)을 이용하여 총 1,063개체를 포획하였다. 맹꽁이는 길이(SVL)를 통하여 성체와 미성숙 개체를 구분하였으며, 성체를 대상으로 성비와 성별에 따른 형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성체 수컷은 모두 배면에 한 쌍의 흰띠가 관찰되었으며, 암컷은 배면에 알이 확인되었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배면에 한쌍의 흰띠는 수컷의 생식선(Gonads)으로 판단 되었으며, 일부 미성숙 개체들에서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배면에 위치한 한 쌍의 흰띠 존재 유무로 맹꽁이의 성별을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는 현장에서 확인 가능한 성별 구분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기간 동안 성체 성비는 수컷 697개체(65.57%)와 암컷 366개체(34.43%)가 확인되어 수컷이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맹꽁이의 성비와 암수 구분 방법은 추후 맹꽁이의 종 복원과 개발로 인한 이주, 대체서식처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태연구와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엽산 일대 딱정벌레목의 군집구조 및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munity Structure and Seasonal Variations of Coleoptera in Mt. Yeonyeop area, Korea)

  • 이승일;정종국;최재석;권오길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71-88
    • /
    • 2005
  • 강원대학교 학술림내 연엽산 일대의 딱정벌레목 군집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2004년 4월부터 9월까지 총 6회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엽산 일대에 4개의 지점을 정하여 light trap, pitfall trap, 그리고 sweeping의 3가지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총 48과 358종 3053개체가 출현하였다.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한 과는 Carabidae로 50종이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Chrysomelida 가 40종 그리고 Curculionidae가 40종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점별로는 고도가 낮고 하천이 있는 지점 4에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pitfall trap에 많은 개체수가 채집된 지점 2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하였다. 월별로는 7월에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Nicro-phorus (Nicrophorus) quadripunctatus (13.00%), 아우점종은 Synuchus (Synuchus) cycloderus (7.17%)이었다. 특히 환경부 보호종인 Damaster mirabilissimus mirabilissimus가 5월에 1개체 출현하였다.

산림 생태계에서 소척추동물 군집과 잔목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mall Mammal Community and Coarse Woody Debris in Forest Ecosystem)

  • 이상돈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4호
    • /
    • pp.251-258
    • /
    • 1997
  •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discover the ecological function of coarse woody debris (CWD) despite its importance to small mammal population. Twenty-five pitfall traps and a hundred live traps were placed in three sites with high amounts of CWD and three sites with low amounts of CWD. Eleven species were caught, and Peromyscus maniculatus was the most abundant (45.6%, n=605). Among 11 speices, abundance of Tamias townsendii and Clethronomys gapperi were higher in sites with high amounts of CWD than in sites with low amounts of CWD. Home range size was larger in breeding season than in non-breeding season indicating mating search. Resident time of Peromyscus maniculatus was longer in sites with high amounts of CWD implying better stability in population. The increasing amount of coarse woody debris (CWD) enhanced the habitat use by small mammals, and animals in high amounts of CWD were more abundant and stable in population fluctuation. This study, therefore, concludes that CWD is a critical habitat element for small mammals in forest ecosystem.

  • PDF

농업생태계인 밭과 논에서 거미의 다양성 비교를 통한 서식지 중요성 연구 (Effect of Habitat Diversity through Comparison of Spider Diversity between Upland and Paddy Fields in Agroecosystems of South Korea)

  • 남형규;송영주;어진우;김명현
    • 생태와환경
    • /
    • 제52권2호
    • /
    • pp.151-160
    • /
    • 2019
  • 서식지 이질성은 복잡한 구조를 가진 서식지일수록 생물다양성이 증가된다는 개념으로 농업생태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농업생태계에서 해충 조절과 같이 포식자로 기능하는 거미를 이용할 경우 농업생태계의 전반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업생태계의 대표적인 재배 유형인 밭과 논에서 거미의 다양성이 공간 스케일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함정트랩을 설치하여 밭에서 24개 샘플을, 논에서 24개 샘플을 수집하였다. 공간 스케일에 따른 밭과 논의 종수는 누적 곡선과 추정 곡선을 통해 평가하였다. 전체 조사 지점들에서 종수는 밭에서 높게 나타났고 조사 지점별 평균 종수는 논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작은 공간 스케일에서는 서식지 구조의 복잡성이, 큰 공간 스케일에서는 작물 종류의 다양성이 거미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운영답에서 알팔파바구미 유충 및 성충 조사방법 (Scouting Methods for Larva and Adult Alfalfa Weevil, Hypera postica (Coleoptera: Curculionidae) on Chinese Milkvetch, Astragalus sinicus L.)

  • 이흥수;권진혁;정부근;김태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7-72
    • /
    • 2012
  • 자운영포장에서 알팔파바구미 유충 및 성충의 조사방법에 따른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알팔파바구미 유충 밀도를 Shake-bucket, Shake-picking, Sweeping net 방법을 사용한 결과 조사지역 3곳에서 조사방법과 조사시기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포충망을 이용하여 유충밀도를 조사한 결과 4월초까지 유충을 조사할 수 없어 초기에 발생하는 유충을 조사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Shake-bucket과 Shake-picking을 이용한 조사에서 유충발생이 3월 중순부터 확인되었으며, 두 방법간에 차이는 없었다. 미끼를 넣은 Pitfall trap을 이용하여 알팔파바구미 성충 밀도를 조사한 결과 유인조건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18). 각 처리간 성충 유인수를 조사한 결과 싹 틔운 강남콩 92마리, 강낭콩 종자 42마리, 트랩만 설치한 것에서 39마리로 싹 틔운 콩을 넣은 트랩에서 밀도유인 효과가 가장 좋았다. 자운영답에서 알팔파 바구미를 조사할 때 초기 발생하는 유충은 Shake-bucket법을 성충은 싹 틔운 강남콩을 미끼로 하는 pitfall trap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대명유수지에 서식하는 맹꽁이 Kaloula borealis 개체군 크기 추정 (Population Size Estimation of the Kaloula borealis in the Daemyung Retarding Basin)

  • 최서영;노백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84-693
    • /
    • 2016
  • 낙동강과 금호강 합류부에 인접한 대명유수지는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의 집단 산란처로 생물서식공간의 보전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맹꽁이 개체군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획-재포획방법에 의해 대명유수지에 서식하는 맹꽁이 개체수를 추정하며, 미지형과 식생분포를 토대로 분류한 서식처별 방형구 배치를 통해 맹꽁이의 공간분포 특성을 살펴보았다. 2013년부터 2년간 진행된 조사에서 맹꽁이는 5월초 출현하여 7월과 8월에 활동이 증가하고, 10월말에 동면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군 크기 추정을 위해 실시된 2014년 1차 조사에 98개체를 포획하여 표식 후 방사하였으며, 2차 조사에서는 표지된 5개체를 포함한 68개체를 재포획하여 대명유수지에 서식하는 맹꽁이는 대략 535-2,131개체로 추정하였다. 또한 대명유수지의 맹꽁이 개체군 공간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평지 식생군락, 사면부, 저습지 등의 서식처에 57개 함정트랩을 배치하여, 맹꽁이의 이동이 활발한 장마철 전후를 대상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맹꽁이는 대명천과 인접한 사면부에서 출현밀도가 높고, 저지대는 출현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지대의 맹꽁이 출현밀도는 산란철에 상대적으로 높으나 산란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이는 산란 이후 은신처, 월동지로 이동하는 맹꽁이의 행동습성과 더불어 저지대가 지하수위 상승으로 대부분 침수되면서 서식환경이 악화되어 주변 경사지와 평지 식생군락으로 이동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남한의 세지역(서울·논산·부산)에서 기후변화 민감종인 맹꽁이(Kaloula borealis,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의 체장길이 및 몸무게 차이 비교 연구 (Comparison Study of the Snout-vent Length (SVL) and the Biomass for the Climate Change Sensitive Species, Narrow-mouthed Toads (Kaloula borealis, Endangered Species II), at the three different areas (Seoul, Nonsan, Busan) of South Korea)

  • 안치경;홍성구;나수미;도지선;오기철;이훈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14
    • /
    • 2020
  • 본 연구는 기후변화 민감종의 하나인 멸종위기야생동물II급,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생체량이 위도가 다른 세 지역(서울, 논산, 부산)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맹꽁이 포획을 위해서 함정트랩(pitfall traps)과 유도트랩(inducement traps)을 이용하였으며, 각 서식지별 환경조건(온도, 강수량, 습도)을 파악하여 지역별로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맹꽁이 수컷의 경우, 부산지역 개체의 크기가 41.6±0.39mm, 생체량이 11.3±0.17g으로 가장 크고 무거운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서울과 논산의 경우 크기가 각각 36.6±2.03mm, 36.6±1.76mm, 생체량은 각각 8.1±0.55g, 8.2±0.91g으로 통계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맹꽁이 암컷의 경우, 부산 개체의 크기는 44.7±0.35mm, 생체량이 13.1±0.18g으로 긴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중량은 지역별 차이가 크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부산에 서식하는 맹꽁이의 암·수 모두 다른 지역의 개체들의 크기와 생체량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현재 기후상태의 기준이 되어 종복원에 대한 연구 수행 시 중요한 자료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 조사가 진행된다면, 기후변화에 따른 양서류 무미목의 생체량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