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Community Structure and Seasonal Variations of Coleoptera in Mt. Yeonyeop area, Korea

연엽산 일대 딱정벌레목의 군집구조 및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 Lee Seung-Il (Department of Bi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Jong-Kook (Department of Bi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Jae-Seok (Department of Bi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won Oh-Kil (Department of Bi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승일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정종국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최재석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권오길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monthly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seasonal variations of Coleoptera from April to September, 2004 in Mt. Yeonyeop area, Gangwon-do, Korea. A total of 3053 individuals belonging to 358 species in 49 families have been collected in the studied area by light trap, pitfall trap and sweeping methods. The abundant families, based on the number of species, were Carabidae (50 species), Chrysomelidae (40 species) and Curculionidae (40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were highest at site 4, located in low altitude and contained stream. The number of individuals were highest at site 2, because many beetles were attracted by pitfall traps. The total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as highest in July. Nicrophorus (Nicrophorus) quadripunctatus (13.00%) was a dominant species and Synuchus (Synuchus) cycloderus (7.17%) was sub dominant species. Especially Damaster mirabilissimus mirabilissimus, a protected species by government, was collected in May.

강원대학교 학술림내 연엽산 일대의 딱정벌레목 군집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2004년 4월부터 9월까지 총 6회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엽산 일대에 4개의 지점을 정하여 light trap, pitfall trap, 그리고 sweeping의 3가지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총 48과 358종 3053개체가 출현하였다.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한 과는 Carabidae로 50종이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Chrysomelida 가 40종 그리고 Curculionidae가 40종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점별로는 고도가 낮고 하천이 있는 지점 4에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고, pitfall trap에 많은 개체수가 채집된 지점 2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하였다. 월별로는 7월에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Nicro-phorus (Nicrophorus) quadripunctatus (13.00%), 아우점종은 Synuchus (Synuchus) cycloderus (7.17%)이었다. 특히 환경부 보호종인 Damaster mirabilissimus mirabilissimus가 5월에 1개체 출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화. 2000. 한국산 병대벌레과 (딱정벌레목: 병대벌레상과)의 분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3pp
  2. 김원목. 2001. 한국산 좀비단벌레족(딱정벌레목: 비단벌레과)의 분류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pp
  3. 김원택, 김상범. 2000. 한라산 딱정벌레 군집에 관한 조사 5.16도로변을 중심으로 한 딱정벌레상과의 시공간 변동. 제주생명과학연구. 3(3):103-116
  4. 김수연. 2003. 한국산 거저리아과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계통분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2pp
  5. 김진일. 1996. 한국곤충명집 (1994)에 추가할 곤충류 목록. 자연보존. 93:8-22
  6. 김진일. 2001a. 한국경제곤충 4. 풍뎅이상과 上 (딱정벌레목). 농업과학기술원. 149pp
  7. 김진일. 2001b. 한국경제곤충 10. 풍뎅이상과 下 (딱정벌레목). 농업과학기술원. 197pp
  8. 김진일. 2002. 미기록과 1종을 포함한 한국산 딱정벌레목 곤충의 총목록. 한국생물상연구지. 7:225-261
  9. 김호준. 1988. 잣나무림의 딱정벌레목과 거미목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4pp
  10. 김호준. 1991. 갑충군집의 구조적 특성과 계절적 발생소장. 한국임학회지. 80(1):82-96
  11. 박상규, 최재영. 2004. 강원대학교 연습림(춘천시 동산면-홍천군 북방면 일대)의 나비 분포와 군집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박사학위 논문. 32pp
  12. 박종균, 권용정, 서상재. 1996. 길쭉먼지벌레의 개체군 변동. 경북대농학지. 14:77-84
  13. 박종균, 안승락. 2000. 경주 국립공원내 개발지구별 딱정벌레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동물학회지. 5(2):133-137
  14. 박종균, 연화순, 담휴착. 2003. 보행성 딱정벌레류의 다양성 및 풍부도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동물학회지. 8(1-2):32-36
  15. 박종균, 백종철. 2001. 한국경제곤충 12. 딱정벌레과 (딱정벌레목). 농업과학기술원. 169pp
  16. 박해철, 권태성, 이범영, 이준호. 1996. 남해시험림 딱정벌레목 종다양성의 측정. 산림과학논문집. 53:131-141
  17. 변봉규, 권영대, 이형근, 고민수, 박규택. 1994. 강원대학교 연습림내에서 발생하는 나방류 (나비목)의 분포. 강원대학교 논문집 -과학기술연구-. 33:228-242
  18. 윤일병, 박해철. 1985. 한국산 무당벌레아과의 분류학적 연구. 1985. ENT. RES. Bulletin. 11:1-36
  19. 이승화, 조영복, 이창언. 1988. 한국산 수서 점물땡땡이아과의 분류 (물땡땡이과, 초시목), Nature & Life (Korea). 18(2):71-78
  20. 이승화, 이창언, 박희천. 1988. 한국산 수서 물땡땡이과의 분류 (초시목). Nature & Life (Korea). 18(2):79-91
  21. 이승모. 1987. 한반도 하늘소과 갑충지. 국립과학관. 287pp
  22. 이종은, 안승락. 2001. 한국경제곤충 14. 잎벌레과 (딱정벌레목). 농업과학기술원. 229pp
  23. 장석준. 2001. 강원중부지역 산림내의 딱정벌레과 분포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pp
  24. 조영복. 2004. 속리산 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 국립공원관리공단. 179-209
  25. 조영복, 안기정. 2001. 한국경제곤충 11. 송장벌레과, 반날개과 (딱정벌레목). 농업과학기술원. 167pp
  26. 조복성. 1969. 한국동식물도감 제10권 동물편 (곤충류 II). 문교부. 93-712
  27. Arnett RHJr and MC Thomas. 2002. American beetles. CRC Press, Boca Raton: 880pp
  28. Evans A V and CL Bellamy. 1996. An inordinate fondness for beet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3-118
  29. Hong KJ, AB Egorov and BA Korotyaev. 2000. Illustrated Catalogue of Curculionidae in Korea (Coleoptera). Junghaeng -sa, Seoul. 337 pp
  30. Kim JL and CE Lee. 1992. Seasonal prevalence and geographical fluctuations of the southern Korean Carabinae (Coleoptera: Carabidae). Nature and Life (Korea) 22(2): 33-41
  31. Kim JL and EJ Lim. 1997. Fauna of Korean Histeridae (Coleoptera). 1997. ENT. RES. Bulletin. 23:59-76
  32. Kubota K, JK Kim, CY Lee and K Fruta. 200 I. Ground beetle fauna in Pinus densiflora forests in Yangyang - gun, Kangwon province,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outbreaks of the pine needle gall-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2001. Jour. Korean For. Soc. 90(5):632-642
  33. Kurosawa Y, S Hisamatsu and H Sasaji. 1998.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II.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500pp
  34. K won TS. 1996. Diversity and abundance of ground beetle (Coleoptera: Caraboidea) in the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Korean J. Entomol. 26(4):351-361
  35. Kwon YJ and SM Lee. 1984.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Carabinae from Korea (Coleoptera: Carabidae). Ins. Koreana 4:363 pp
  36. Lee HP and GH Lee. 1995.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abundance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in three different types of forests. ENT. RES. Bulletin. 21:84-90
  37. Lawrence JF and AFJr Newton. 1995. Families and subfamilies of Coleoptera (with selected genera, notes, references and data on family-group names). pp. 779-1006
  38.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168-169
  39. Park JK, YJ Kwon and JS Lim. 1997. Diversity and abundance of ground-beetles (Coleoptera .: Carabidae) in Mt. Togyu, Korea. Korean J. Soil Zoology 2(2):92-97
  40.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succession. J. Theor. BioI. 13: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41. Pielou EC. 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ey, Interscience, New York. 385 pp
  42. Ueno SI, Y Kurosawa and M Sato. 1999. The Coleoptera of Japan in color, Vol. II. Hoikusha publishing Co., Ltd., Japan. 514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