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gment figur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Appearance Pattern of Figures in Commercial Domestic Hardwoods (I)

  • Park, Byung-Ho;Kwon, Sung-Min;Kwon, Gu-Joong;Jang, Jae-Hyuk;Kim, Nam-H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5호
    • /
    • pp.391-398
    • /
    • 2010
  • In this study, the figure of domestic hardwood was observed using the naked eye and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imported wood with domestic one in the making woodcraft or furniture was investigated. It was known from the investigation on 8 different hardwoods that there were various figures such as cloud-shaped figure, blister figure, crotch figure, bird's eye figure, etc. in Zelkova serrata wood and the beautiful pigment figure in Diospyros Kaki wood. There were the unusual figures such as wavy grain figure, fiddle back figure, etc. in Cedrela sinensis wood and was clear ray-fleck figure in Quercus variabilis wood. There were also various figures such as wavy grain figure, blister figure, pigment figure, etc. in Sophra japonica, Tilia amurensis, Castanea crenata, Kalopanax septemlobus wood, etc. It is thus that distinguished figures appeared in each kind of wood can be used for craft, sculpture, furniture, and interior material. These kinds of figures can also be used for instrument, toy, stationery, life article material and souvenir, etc. And it can be expected that they will replace the imported wood has been mainly used to make the woodcraft or furniture until now.

국산 주요 침엽수재 문양의 출현 형태 (Appearance Pattern of Figures in Commercial Domestic Softwoods)

  • 박병호;권성민;권구중;장재혁;김남훈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8-195
    • /
    • 2010
  •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domestic softwood timbers to replace imported timbers for woodcrafts and furniture-making. Figures on radial and tangential sections were observed with naked eyes. As the result of study on the figures appeared on the wood surface of 6 species of trees, flat grain and edge grain were clearly found from Taxus cuspidata. Juniperus chinensis and Ginkgo biloba had wavy grain figure and pigment figure, and blister figure was found in Pinus densiflora, Larix kaempferi showed pitch streak and irregular figures on its tangential section due to growth abnormalities. Wavy grain figure appeared weakly on near knot of Pinus koraiensis. The characteristic figures shown from each species of tree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crafts, sculptures, furniture, and interior decoration. They are also considered to have great potential to substitute imported timber sufficiently, which are currently used a lot for wood crafts and furniture-making.

  • PDF

ZrTiO4계 Gray 안료 합성과 형성기구 (Synthesis and Formation Mechanism of ZrTiO4 Gray Pigment)

  • 황동하;이병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84-89
    • /
    • 2012
  • Attempts were made to develop a stable gray pigment at reducing atmosphere, substituting Ti in $ZrTiO_4$ with Mn, Fe, Co and Cu The pigment synthesized at $1300~1500^{\circ}C$ by solid state method with the composition of $ZrTi_{1-x-y}A_xB_yO_4$ (x = y = 0.005, 0.015, 0.035, 0.055, 0.075, 0.095, 0.115, 0.135, 0.155, 0.175 and 0.195 mole, A = Mn(III), Fe(III), Co(II, III) and Cu(II) (chromophores), B = Sb (counterion). The pigments were fired at $1400^{\circ}C$ for 3 h with substitute amount changes of Mn, Fe, Co and Cu to $ZrTiO_4$ crystals, and analyzed by Raman spectroscopy to figure out substitute limits. Results indicated 0.035 mole for Mn, 0.115 mole for Fe, 0.015 mole for Co and 0.015 mole for Cu as substitute limits, respectively. Figs. 1, 2, 3, and 4 represent each substitute pigments of Mn, Fe, Co and Cu. Synthesized pigment was applied to a lime and a lime-magnesia glaze at 7 wt% each, and fired at reducing atmosphere of $1240^{\circ}C$, soaking time 1h. Gray color was obtained with CIE-$L^*a^*b^*$ values at 44.55, -0.65, 1.19(Mn), 40.36, -0.90, 0.30(Fe), 42.63, -0.03, -1.49(Cu) and -40.79, -0.28, -0.91(Co), respectively.

천연 황색안료 염색한지의 패션소재 적용 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Properties of Hanji with natural pigment dyeing for use as a fashion material)

  • 김기훈;임현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2호
    • /
    • pp.339-345
    • /
    • 2014
  •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Hanji made with loess to Hanji made with kaolin, two yellow-based inorganic pigments, in terms of its physical properties, optical properties, and color fastness to light with the aim of using it as a fashion material. Hanji made by adding inorganic pigments showed an approximately 20% retention ratio on average. This figure was similar to those of loess and kaolin. Phys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with the following results. A higher amount of additives lowered the apparent density and increased thickness and bulk. In general, inorganic pigment-added Hanji had lower tensile strength, bursting strength, and folding endurance compared to non-additive Hanji. The analysis of optical properties showed a lower brightness index for Hanji made with inorganic pigments compared to non-additive Hanji. When comparing the two inorganic pigments, the brightness of Hanji made with kaolin was higher. Regarding color fastness to light, loess showed level 4 and kaolin showed level 5 when 25% inorganic pigments on pulp were added to Hanji. Thus, Hanji made by adding inorganic pigment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perform well as materials for fashion because the additives enhanced both the color fastness to light and the bulk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In addition, Hanji dyed with inorganic pigments may have the potential to serve as materials for the fashion industry while still re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Hanji.

각종 황동 Scrap를 사용한 Ceramic 안료 개발 (Development of Ceramic Pigment using Brass Scrap)

  • 김준호;전옥현;서만철;이병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97-204
    • /
    • 2007
  • Ceramic pigments were developed by using 4 kinds of Brass scraps. Each Brass scraps were mixed with same weight-ratio of Husk ash, and fine-ground by Rotate ring mill(RRG-120, Armstech industrial. co. Ltd, Korea) after firing at $900^{\circ}C$, $1000^{\circ}C$ and $1100^{\circ}C$. As a result, analysis of particle size of synthetic pigments by particle size analyser, they are $3{\mu}m$ as average. The resulting pigment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XRD, FT-IR, SEM Structure of the crystals are Zn2SiO4,, and ZnO, Cu2O, CuO, and cristobalite are existed and particles' shape are plate or needle. As a result of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by XRF, synthetic pigments have high SiO2 and CuO content and have SnO2, ZnO and NiO, too. 1wt%, 3wt% and 5wt% pigments were added in each lime glaze, lime-barium glaze and lime-magnesia glaze, and fired at oxidation and reducing atmosphere to figure hue in glazes out. As a result of analysis of color, chroma and brightness by UV, colors of glazes fired at oxidation atmosphere turned into green from sky blue, and colors of glazes fired at reducing atmosphere turned into pink and red.

보은 법주사 <괘불탱>의 미술사적 특징과 채색 안료의 과학적 분석 연구 (Scientific Analysis of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Painting Pigments of Gwaebultaeng in Boeun Beopjusa Temple)

  • 이장존;경유진;이종수;서민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4호
    • /
    • pp.226-245
    • /
    • 2019
  • 보물 제1259호로 지정된 법주사 <괘불탱>은 1766년에 조성되었으며, 화면 중앙에 여래를 단독으로 배치한 독존형식의 괘불화이다. 법주사본은 현존하는 괘불화 중에서 세로 폭이 가장 긴 작품이자 18세기의 대표적인 화사인 두훈이 조성하였다. 두훈이 제작한 괘불화는 법주사본과 더불어 통도사 <석가여래괘불탱>(1767)이 현존한다. 두 작품은 도상이 같기 때문에 동일한 초본을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1년이라는 시간 차이가 있음에도 대부분의 화사가 교체되었기 때문에 수화사인 두훈의 역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중 법주사본은 통도사본보다 먼저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화기를 통하여 왕실과 연관성이 엿보이므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법주사에는 영빈이씨의 위패를 모시던 선희궁 원당이 존재한다. 이 원당은 1765년에 건립되어 법주사본이 왕실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특히 법주사본 화기에 등장하는 비혼의 여성 집단에 주목할 수 있다. 이들 중 경진생 이씨를 비롯한 일부 인물들이 영빈과 화완옹주가 시주에 참여한 봉인사 불사에도 이름을 올리고 있어 영빈과 관련된 궁녀들임을 추정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법주사본 하단에 '주상주삼전하수만세(主上主三殿下壽萬歲)'라고 강조된 축원문을 통하여 법주사본과 왕실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술사적 특징뿐만 아니라 과학 분석도 함께 접근하였는데, 먼저 법주사 <괘불탱>의 손상 유형을 보면 꺾임과 접힘, 주름이 관찰되며 습해로 인한 화면 얼룩, 안료 박락, 안료 점상형 박락, 뒷면 배접지에 안료 이염 등이 관찰된다. 채색 안료 분석 결과를 보면 백색 안료는 연백을 사용하였으며 흑색 안료는 먹과 니람을 사용했다. 적색 안료는 진사와 연단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자주색은 유기염료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황색은 육색에서는 연백과 등황을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연백 위에 등황으로 중첩 채색하였고 보관은 금박을 사용하였다. 녹색 안료는 염화동(녹염동광)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염화동(녹염동광)과 공작석을 혼합 사용하였다. 청색 안료는 석청과 회청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 사용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구려 벽화 편의 보존과 분석 (Conservation and Analysis of Wall Painting Fragments of Goguryeo Possess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 조연태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4권
    • /
    • pp.37-60
    • /
    • 2013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구려 벽화는 국립중앙박물관 도록에 소개된 벽화 모사도와 일제 강점기에 촬영한 유리건판 사진으로만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이번에 수행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구려 벽화 편의 보존과학적 처리와 분석을 통해 전모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보존과학적 처리는 벽화 편의 바탕층의 구조와 성분, 균열 등의 손상 파악과 퇴색된 채색 부분에 광학현미경과 적외선 조사를 했으며, 취약한 벽체와 박락된 채색층 강화에 중점을 두고 수행하였다. 더불어 적외선 조사한 결과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벽화 모사도와 유리건판사진과 비교하여 고분의 위치를 조사했으며, 일부 벽화 편에서 감신총, 개마총, 고산리1호분, 운봉리고분으로 확인되었다. 고구려 벽화 편에 채색된 안료의 성분 원소와 벽체층의 광물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측정 위치에서 방해석[calcite, CaCO3]이 확인되었다. 이는 벽화의 바탕재료로 보이며, 석회층 위에 안료를 채색한 것으로 판단된다. 안료 색상 중 갈색을 포함한 황색은 산화철[hematite, Fe2O3]로 검출되었고 일부 편에서는 백연석[cerussite, PbCO3]과 산화납[lead oxide, PbO]이 확인되었다. 이는 연백[lead white, 2PbCO3·Pb(OH)2]의 산화물로 추정된다. 또한 적색에서는 주사[cinnabar, HgS], 흰색에서는 방해석[calcite, CaCO3]과 백연석[cerussite, PbCO3]이 확인되었다.

국내 목조건축물 단청의 방염제 처리에 따른 영향 및 탐지방법 연구 (Flame Retardant Treatment's Effects and Detection Method on Wooden Buildings' Pigment Layer (Dan-cheong))

  • 김대운;김철웅;한성희;정용재;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93-406
    • /
    • 2014
  • 방염제 도포 후 나타나는 목조건축물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자료 분석 및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방염제 도포 후 백화현상과 단청 박락현상이 목조건축물에서 가장 빈번히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은 기둥, 연목, 가구부재 등 방염제의 도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상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장에서 방염제를 도포한 건물과 도포하지 않은 건물을 파악하기 위해 P-XRF를 이용하여 총 20개 종의 원소를 분석하였다. 이 중 현장의 모든 방염제 처리구에서 황 원소(S)가 나타났기 때문에 이를 방염제 도포의 탐지자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방염제의 도포를 확인할 수 있는 비파괴분석을 방법을 정립할 수 있었다. 실제 송광사(전남 순천)의 목조건축물을 대상으로 한 잔류성분분석을 통해 실제 현장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광량 차이에 의한 산개나리의 엽 특성과 광색소 함량 및 광합성 변화 (Changes of Leaf Characteristics, Pigment Content and Photosynthesis of Forsythia saxatilis under Two Different Light Intensities)

  • 한심희;김두현;김길남;변재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4호
    • /
    • pp.609-61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면서 희귀식물인 산개나리의 유전자원 보존 및 복원을 위한 생육 환경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광 조건을 가진 환경에 식재된 산개나리의 생장과 생리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산개나리 시험구내 광량은 전광의 20%, 60%로 구성되었다. 산개나리의 생리적 특성으로 당년지 길이, 잎 크기 및 무게, 광색소 함량 및 잎 내 질소 함량, 광합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광량이 다른 두 시험구에서 측정한 산개나리의 잎 무게는 전광의 60% 광량을 가진 시험구의 잎이 20% 시험구 잎보다 무거웠으며, 잎 무게와 크기의 비율은 전광의 60% 시험구가 20% 시험구보다 1.47배 컸다. 산개나리 잎의 엽록소 a와 b 함량과 카로테노이드 함량 모두 전광의 60% 광량을 가진 시험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총 엽록소 함량과 카로테노이드 함량의 비는 전광의 20% 시험구가 60% 시험구보다 높았다. 산개나리의 두 시험구에서 측정한 광합성 속도는 전광의 60% 광량을 가진 시험구가 20% 시험구보다 2.5배 이상 높았으며, 기공전도도와 증산 속도도 광합성 속도와 마찬가지로 전광의 60% 시험구가 20% 시험구보다 각각 2.65배와 1.79배 높았다. 그러나 수분이용효율은 전광의 20% 광량을 가진 시험구가 60% 시험구보다 높았다. 산개나리 잎의 질소 함량에 대한 총 엽록소 함량의 비는 20% 시험구가 60% 시험구보다 1.83배 높았으나, 총 엽록소 함량에 대한 순 광합성 량의 비는 60% 시험구가 20% 시험구보다 2.58배 높은 값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산개나리의 생장과 생리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광량이며, 광량이 높은 조건에서 산개나리의 생장과 생리적 특성은 개선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북한산 산개나리의 자생지 내 상대 광량과 생리적 특성간 상관 관계 (Correlation Between Relative Light Intensity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rsythia saxatilis in Bukhansan Natural Habitats)

  • 한심희;김길남;김두현;김경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36-24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며, 희귀멸종위기식물인 산개나리의 유전자원 보존 및 복원을 위한 생육 환경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광 조건을 가진 북한산 산개나리 개체군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산개나리 각 개체군의 광량은 전광의 10%에서 78%의 범위로 매우 다양하였다. 북한산 산개나리의 잎 길이, 잎 폭, 잎 면적 및 건중량은 광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잎 건중량과 면적의 비도 광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산개나리 잎의 엽록소 a와 b의 함량과 카로테노이드 함량 모두 전광의 78% 광량을 가진 개체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총 엽록소 함량과 카로테노이드 함량의 비는 전광의 10% 광량을 가진 개체군에서 가장 높았다. 산개나리 개체군별 광합성 속도는 전광의 78% 광량을 가진 개체군이 전광의 10% 개체군보다 2배 이상 높았으며, 기공전도도, 증산속도, 암호흡 속도 및 순양자수율도 전광의 78% 광량을 가진 개체군에서 가장 높았다. 산개나리 잎에서 측정한 총 비구조 탄수화물 함량은 전광의 78% 광량을 가진 개체군에서 전광의 10% 광량을 가진 개체군보다 1.5배 이상 높았으며, 총 수용성 당 함량도 전광의 78% 광량을 가진 개체군에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자생지에서 생장하는 산개나리의 생장과 생리적 특성은 광량과 정의 상관을 가지므로, 낮은 광량에서 자라는 산개나리 개체군의 생장과 생리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