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cture story book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4초

환상동화를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Story Making Activity with Fantasy Picture Books : Effect on the Language Expression and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 김수영;김경미
    • 아동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1-94
    • /
    • 2006
  • Participants in this study of the effect of story making activity on the language expression and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were all forty 5-year-old children in a child-care facility. The experimental group read the fantasy picture book and engaged in story making activity; the control group read the same fantasy pictur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but didn't have any story making activity.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given twice a week for 6 weeks. Data were analyzed by MANCOVA using scores of the pre-test as covarianc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language expression and creativity showing that story making activity using the fantasy picture book was more effective than just reading without story making activity.

  • PDF

어린이그림책화면의 연속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ity of the Image of Picture Book for Children)

  • 유동관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233-242
    • /
    • 2003
  • 어린이그림책에 표현된 일러스트레이션은 하나의 화면뿐만 아니라 화면과 화면의 조화로운 연결로 그림책의 줄거리와 내용을 전달한다. 그림책화면에는 빈 여백과 형태, 질감과 색채, 그리고 공간감 등의 구성요소들이 있어 화면상에 놓여진 위치에 따라 어린이에게 다양한 정서와 감동을 준다. 따라서 어린이그림책에는 자연스러운 이야기 내용과 함께 통일성과 리듬감 있는 구성요소로 화면의 흐름을 전달하는 연속성이 있다. 화면의 연속성은 글과 그림, 화면과 화면, 그리고 화면 내에서 그림의 연결에 따른 시각적 연상으로 이미지전달을 가능하게 하며, 어린이가 이야기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는 그림책화면의 연속성을 연구 분석함으로써 개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제작되는 어린이그림책화면의 조화로운 연결에 대한 올바른 표현방향을 제시한다.

  • PDF

지하국대적퇴치설화를 활용한 새로쓰기 연구 - 그림책 서사를 중심으로 (Study of Re-writing "A Tale of the Conquest over a Big Enemy from an Underground Nation" - Focusing on picture book narrative)

  • 김화림;김한일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4호
    • /
    • pp.88-93
    • /
    • 2017
  • "지하국대적퇴치설화"의 서사는 세계에 분포하는 설화로 나라마다 이야기와 구조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런 익숙한 서사구조는 다른 문화를 가진 곳에서도 큰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다. 선행연구에 따라 설화에서 추출한 요소를 가지고 스토리텔링을 진행할 경우에는 설화의 개연성과 보편성이 확보된 콘텐츠 창작이 가능함으로 설화의 요소와 구조를 이용하여 그림책 스토리텔링을 진행하였다. 설화를 콘텐츠화 하는 방식 중 하나를 새로쓰기라고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설화의 구성요소를 분석한 후 그림책의 구성요소를 문학적 관점에서 주제, 플롯, 등장인물, 배경으로 나누어 그림책 스토리텔링을 진행함으로 "지하국대적퇴치설화"의 새로쓰기 방법을 제시하였다.

AR·QR 그림책 애니메이션의 시지각 확장성 연구: 그림책 <여기가 어디지?>의 설계적 특징을 중심으로 (A Study on Visual Perception Scalability of AR/QR Picture Book Animation: Focusing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Book 〈Where is this?〉)

  • 박성원;박재윤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1호
    • /
    • pp.21-32
    • /
    • 2023
  • This study presents a way to design picture books that allow children to experience indirectly through realistic media at hom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whose direct experiences and activities are reduced offline in the post-COVID-19 era.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realistic media such as AR continues to be grafted and developed in the picture book field, and the advantage of this picture book is that children at the stage before learning letters can feel the story and character situation of the book through the experience of AR and QR animation in the picture book. In this process, you can get access to imaginary areas that can not be experienced in flat-panel illustrations with spatial animation to help improve the scalability and literacy of the story contained on the page. Children's education through realistic animation can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and needs to continue after COVID-19. Therefore, by presenting the process of viewing and experiencing picture books using AR and QR,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the design process of realistic picture books is not just a combination of technology, but a process of expanding children's perception and imagination.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visual perception is designed differently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nimation design, focusing on the AR and QR picture book "Where am I?" published by the researcher, and to contribute to the activ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realistic animation in the field of children's picture books and education.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ation for 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 양승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50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에게 민족공동체 의식과 민주시민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사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통일에 대한 합리적인 인식을 함양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통일을 실현할 수 있는 의식과 태도를 기르기 위하여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및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갖기(역사적 정체성, 문화적 정체성, 세계 속의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북한에 대한 이해(북한 문화 이해, 북한 언어 이해, 북한 음식 이해, 북한 자연 이해), 남북한 간의 화해(개인 간의 화해, 집단 간의 화해, 국가 간의 화해), 평화통일(평화, 통일)을 주된 내용요소로 하여 구성하였다.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ory of Mind on the Story Sharing With Picture Books)

  • 신애선;안경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32
    • /
    • 2018
  • 본 연구는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마음이론 발달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 소재 유치원 만 5세 유아 38명으로 실험집단 18명의 유아들에게 주 2회씩 6주 동안 총 12회,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그림책 내용 예측하기 및 듣기, 그림책 속 문제상황 알기, 등장인물의 마음상태 알아보기, 문제해결과정 및 결과 이야기나누기 하기, 등장인물의 마음상태 느끼기, 활동 평가하기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과 조망수용능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그림책 서평의 시각적 문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Literacy for Picture Book Reviews)

  • 민경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83-108
    • /
    • 2017
  • 도서관은 독자에게 독서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의무와 책임이 있는 대표적 기관이며, 사서는 독자에게 도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낌없는 상담과 조언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독자들의 그림책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서관과 사서는 훌륭한 그림책은 어떤 것인지? 유사한 종류의 다양한 도서 중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지? 등의 도서 선택과 독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림책 서평을 정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작성 제공하여 독자들의 독서정보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문학과 예술의 복합장르인 그림책 서평을 작성하기 위하여서는 내용소개는 물론 시각 텍스트에 관한 문학적 상징성 등의 해설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서는 작가의 사상과 철학을 이미지로 형상화한 심층적인 의미를 읽을 수 있는 시각적 문식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에 옛 이야기 "빨간모자"를 다룬 두 작가의 그림책을 비교 분석하여 그림책 서평 작성 시 참고하여야 할 시각적 텍스트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만6세와 만9세 아동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장르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f Picture Books Preferred by 6 Year Old and 9 Year Old)

  • 박소윤;김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9-21
    • /
    • 2017
  •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성과들에 기반 하여 장르를 중심으로 연령별로 아동이 좋아하는 그림책의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10월부터 2016년 1월까지 만6세와 만9세 아동을 면담하고 최종 34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약호화의 과정을 거쳐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만6세 아동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은 옛이야기 그림책, 이야기 그림책, 국내 시 그림책, 정보 그림책 순으로 나타났으며 번역 시 그림책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흥미로운 줄거리와 잘 짜인 플롯을 좋아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만9세 아동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은 이야기 그림책, 옛이야기 그림책, 국내 시 그림책 순으로 조사되었고 정보 그림책과 번역 시 그림책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문학적 요소를 폭넓게 탐색하고 그것을 재미요소로 여겼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연령별 아동들이 특정 그림책 장르를 선호하는 이유를 밝히고, 연령별로 그림책 장르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와 구연활동이 아동의 언어창의성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Story-Plotting and Oral Narration Activities Based on Wordless Picture Story Books : The Effect on Young Children's Linguistic Creativity and Expression)

  • 현혜선;김숙령
    • 아동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9-204
    • /
    • 2007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story-plotting and oral narration activities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upon young children's linguistic creativity and expression. The subjects were 30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30 in the control group at age five. The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K-CCTYC; Jeon, 2005) was used to measure linguistic creativity. In addition, Measure Tools for Linguistic Ability(Jang, 1981) was used to measure the linguistic exp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linguistic creativity including linguistic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s well as linguistic expression.

  • PDF

유아의 자아개념과 관련된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주인공에 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Leading Characters in Picture Books Relating to Self-Concept in Children)

  • 박니시;김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2호
    • /
    • pp.59-6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ding characters in picture books on self concept in children. For this study, we selected a total of 55 picture books, all of which were best sellers in four internet book stores. The method used for the study was based on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of leading characters was male more often than female, and the majority of picture books were creative story books and translation books. Second, subordinate parts related to the self-concept were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social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was positively express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 and family characters in story books. Cognitive self-concept was the least. Third, when the frequency of positive and negative expressions in picture books was analyzed, the social self-concept was found to be positively expressed in the subordinate parts of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and family. The social self-concept was negatively expressed, however, in the subordinate parts of relationship between non-significant others, and the emotional self-concept was also negatively expressed in the subordinate parts of the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In summary. instances of cognitive self-concept and positive expression were found to be more significant than negative 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