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ory of Mind on the Story Sharing With Picture Books

  • 신애선 (호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 안경숙 (호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Shin, Ae Su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owon University) ;
  • Ahn, Gyoung Suk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owon University)
  • 투고 : 2018.03.31
  • 심사 : 2018.06.22
  • 발행 : 2018.06.30

초록

본 연구는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마음이론 발달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 소재 유치원 만 5세 유아 38명으로 실험집단 18명의 유아들에게 주 2회씩 6주 동안 총 12회,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그림책 내용 예측하기 및 듣기, 그림책 속 문제상황 알기, 등장인물의 마음상태 알아보기, 문제해결과정 및 결과 이야기나누기 하기, 등장인물의 마음상태 느끼기, 활동 평가하기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과 조망수용능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on the story sharing with picture book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38 five years olds children who are attending C kindergarten in J city, Jeollabuk-do province. It was executed that an twelve sections of storytelling with picture books during six weeks. The storytelling activities were performed with predicting and listening of picture book contents, problem situation knowing and story sharing, feeling of the character mind condition, and activities evaluat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ory sharing with picture book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on the development of mind. Second, the story sharing with picture books including theory of mind were effective on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ory sharing with picture books was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상, 권가영, 류경희(2013).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정적 양육태도: 정서지능과 대인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3(4), 329-356.
  2. 공인숙, 김영주, 최나야, 한유진(2013). 아동문학. 서울: 양서원.
  3. 곽향림(2015). 구성주의 유아교육 교수학습법. 서울: 공동체.
  4. 김성희, 지성애(2015). 이야기꾸미기와 연계한 유아 미술감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371-397.
  5. 김수혜(2013). 인성교육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효진(2011). 음악극활동이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 및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남연정(2012). 마음이론 및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노명애(2011). 유치원 지도서를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친 사회적 행동 및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인숙(2015). 동화를 활용한 배려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4), 45-66.
  10. 박애자(2008).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에 기초한 음악극과 역할극의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현미, 이지현(2010). 그림책을 사용한 대집단 활동유형이 유아의 이야기 산출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보육학회지, 10(1), 23-46.
  12. 박현실(2003). 유아의 마음의 이론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혜림, 이진희(2014). 패러디 그림책을 활용한 주제환상극 놀이가 유아의 마음이론과 인지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3(1), 223-246.
  14. 백지숙, 권은주(2017).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언어 및 문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7(2), 99-114.
  15. 보건복지부(2014).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보건복지부.
  16. 성지현(2018).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마음이론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31(1), 151-171.
  17. 신연선(2003). 아동의 조망수용능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신은수(2005). 3, 4, 5세 유아의 마음이해 능력 발달과 가장놀이, 언어의 표상능력, 실행기능 그리고 중앙통합 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5(10), 65-90.
  19. 신은수, 이영자, 이종숙(2003). 틀린 믿음과 가장개념 이해 주순에 따른 가장놀이 표상 수준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23(2), 147-169.
  20. 안연경(2001). 동화를 통한 통합적 도덕 교육활동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양승희, 윤희경(2008). 유아의 기질 특성에 따른 그림책 유형과 그림책 그림 유형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4), 49-66.
  22. 양승희, 임명희(2012). 유아 사회지능에 나타나는 유동적 사회지능과 결정적 사회지능의 발달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2(1), 175-190.
  23. 유구종, 최승연(2013).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커뮤니티 활용에 따른 유아의 개인적 내러티브와 유아-교사 상호작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491-513
  24. 유수경(2007). 유아교육기관에서의"이야기나누기시간"의 의미. 아동학회지, 28(3), 267-285.
  25. 윤민아, 김호, 박성덕(2017). 유아 마음이론 발달을 위한 교육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403-428.
  26. 윤복희(2011). 3, 4, 5세 유아의 조망수용, 마음이론, 교수의도 인식, 교수학습 반응의 발달 및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민경(2015). 신체접촉놀이 활동이 유아의 마음이론발달과 정서실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수기(2005).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시자(2003). 그림동화책에 나타난 마음이론.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4), 1-24.
  30. 인정이(2013).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마음이해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임춘금(2006). 주제 환상극 놀이가 유아의 언어능력, 정서지능,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장문영, 신나나(201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실행기능이 유아의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39(1), 103-117.
  33. 정서연, 이보람, 홍혜경(2015). 감정이입적 그림책읽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5(4), 445-468.
  34. 정재은, 김성현(2016). 유아의 언어능력과 사회적능력이 사회극 놀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2), 135-154.
  35. 정재은, 지성애(2013). 유아 사회극놀이 중재모형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정주원, 이영자(2009). 그림책을 활용한 상위언어인식 활동이 유아의 상위언어인식과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9(2), 117-137.
  37. 조기영(2012). 그림책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마음이론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조복희, 곽혜경, 김혜순, 연미희, 이영환, 장혜자(2016). 유아발달. 파주: 교육과학사.
  39. 최승연, 성은영(2016). 유아-교사간 대화식 저널작성 활동이 유아의 마음이론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1), 475-496.
  40. 최혜인(2014). 마음이론 요소가 포함된 그림책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현은자, 김세희(2005). 그림책의 이해. 서울: 사계절.
  42. Astington, J. W., & Edward, M. J. (2010). The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 in early childhood. Social Cognition in Infancy, 5(2), 16-37.
  43. Astington, J. W., & Jenkins, J. M. (1995). Theory of mind development and social understanding. Cognition & Emotion, 9(2-3), 151-165. https://doi.org/10.1080/02699939508409006
  44. Astington, J. W., & Harris, P., & Olson, D.(Eds.) (1998). Develo- ine; theories of mind.
  45. Berk, L., & Winsler, A. (1995). Vygotsky: His life and works and Vygotsky's approach to development.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learning, 25-34.
  46. Bruner, J. (1990). Culture and human development: A new look. Human Dvelopment, 33(6), 344-355.
  47. Bruner, J. S., & Haste, H. (Eds.). (2010). Making Sense (Routledge Revivals): The Child's Construction of the World. Routledge.
  48. Cassidy, J., Parke, R. D., Butkovsky, L., & Braungart, J. M. (1992). Family-peer connections: the role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Child Development, 63(3), 603-618. https://doi.org/10.2307/1131349
  49. Carlo, G., Knight, G. P., Eisenberg, N., & Rotenberg, K. J. (1991). Cognitive processes and prosocial behaviors among children: The role of affective attributions and reconcilia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27(3), 456-461 https://doi.org/10.1037/0012-1649.27.3.456
  50. Carlson, S. M., & Moses, L. J. (2001). Individual differences in inhibitory control and children's theory of mind. Child Development , 72(4), 1032-1053. https://doi.org/10.1111/1467-8624.00333
  51. Dinwiddie, S. H. (1994). Abuse of inhalants: a review. Addiction, 89(8), 925-939. https://doi.org/10.1111/j.1360-0443.1994.tb03348.x
  52. Flavell, J. H., Flavell, E. R., & Green, F. L. (1983). Development of the appearance-reality distinction. Cognitive Psychology, 15(1), 95-120. https://doi.org/10.1016/0010-0285(83)90005-1
  53. Gopnik, A., & Astington, J. W. (1988). Children's understanding of representational change and its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false belief and the appearance-reality distinction. Child Development, 59(1), 26-37. https://doi.org/10.2307/1130386
  54. Hendrick, R. L., & Pregitzer, K. S. (1992). The demography of fine roots in a northern hardwood forest. Ecology, 73(3), 1094-1104. https://doi.org/10.2307/1940183
  55. Howlin, P., Baron-Cohen, S., & Hadwin, J. (1999). Teaching children with autism to mind-read: A practical guide for teachers and parents. J. Wiley & Sons.
  56. Hudson, L. M., Forman, E. A., & Brion-Meisels, S. (1982). Role taking as a predictor of prosocial behavior in cross-age tutors. Child Development, 53(5), 1320-1329. https://doi.org/10.2307/1129022
  57. Lewis, C., & Osborne, A. (1990). Three-Year-Olds' Problems with False Belief: Conceptual Deficit or Linguistic Artifact? Child Development, 61(5), 1514-1519. https://doi.org/10.2307/1130760
  58. Perner, J. (1991). Understanding the representational mind. Cambridge. MA: MIT Press.
  59. Perner, J., & Wimmer, H. (1985). "John thinks that Mary thinks that…" attribution of second-order beliefs by 5-to 10-year-old childre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39(3), 437-471. https://doi.org/10.1016/0022-0965(85)90051-7
  60. Pillow, D. R., Pelham, W. E., Hoza, B., Molina, B. S., & Stultz, C. H. (1998).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examin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ymptoms and other childhood disruptive behavio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6(4), 293-309. https://doi.org/10.1023/A:1022658618368
  61. Rosnay, M., & Hughes, C. (2006). Conversation and theory of mind: Do children talk their way to socio-cognitive understanding?.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4(1), 7-37. https://doi.org/10.1348/026151005X82901
  62. Russell, J. A. (1991). Culture and the categorization of emotions. Psychological Bulletin, 110(3), 393-393.
  63. Schickedanz, J. A. (1986). More than the ABC's.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64. Scholl, B. J., & Leslie, A. M. (2001). Minds, modules, and meta-analysis. Child Development, 72(3), 696-701. https://doi.org/10.1111/1467-8624.00308
  65. Selman, R. L. (1980). Growth of interpersonal understanding. Academic Press.
  66. Smith, J. M. (1978). Optimization theory in evolution.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9(1), 31-56. https://doi.org/10.1146/annurev.es.09.110178.000335
  67. Taylor, M., & Carlson, S. M. (1997).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differences in fantasy and theory of mind. Child Development, 68(3), 436-455. https://doi.org/10.2307/1131670
  68. Wellman, H. M. (1992). The child's theory of mind. The MIT Press.
  69. Wellman, H. M., & Bartsch, K. (1988). Young children's reasoning about beliefs. Cognition, 30(3), 239-277. https://doi.org/10.1016/0010-0277(88)90021-2
  70. Wittmer, D. S., & Honig, A. S. (1994). Play, Story-song, and Noting Times in Child Care: Caregiver Responses to Toddlers and Threes. Children's play in child care settings,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