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ckering emulsi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화장품 에멀젼: 입자에 의한 안정화 (Cosmetic Emulsions: Stabilization by Particles)

  • 조완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6
    • /
    • 2010
  • 본 총설에서는 나노미터 크기의 고체 입자가 오일-물 계면에 흡착됨으로써 안정화된 에멀젼의 제조와 성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에멀젼을 Pickering 에멀젼이라 하며 이 에멀젼을 계면활성제로 안정화된 일반적인 에멀젼과 비교하였다. Pickering 에멀젼의 독특한 성질은 입자의 계면 흡착 에너지가 큰 점에 기인하며 일반 에멀젼과 주요한 차이점은 고체 입자가 비가역적으로 계면에 흡착한다는 사실이다. Pickering 에멀젼의 전상은 w/o (water-in-oil) 타입에서 o/w (oil-in-water)로 수상의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한다. 친수성의 입자는 o/w 에멀젼을 형성하는 경향을 보이고 친유성 입자는 w/o 에멀젼을 형성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고체 입자의 오일-물 계면에서의 접촉각에 따른다. Pickering 에멀젼의 안정성은 많은 부분에서 일반적인 에멀젼과는 다른 거동을 보였다. 저자는 또한 Pickering 에멀젼의 화장품 응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피커링 에멀젼을 형판으로 하는 $SiO_2-TiO_2$ 다공성 분체의 제조 (Preparation of $SiO_2-TiO_2$ Porous Composite Pigments Using a Pickering Emulsion Method as Template)

  • 이상길;김영호;홍준기;표형배;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77-392
    • /
    • 2012
  • 작은 고체 분체들은 피커링 유화 체계에서 안정화제로 작용하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알킬실란 처리 $TiO_2$와 n-헥실알코올, 수계로 안정한 피커링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TiO_2$ 입자에 의해 안정화된 피커링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TiO_2$ 입자의 양과 수상/유상의 비에 의해 결정된다. 피커링 에멀젼의 형태는 물과 n-헥실알코올에 대한 입자들의 젖음성에 의존된다. 피커링 에멀젼은 $TiO_2$가 5.00 wt%, 오일과 수상의 비가 3 : 7인 경우에 가장 안정하였다. 피커링 에멀젼을 형판으로 하여 무기 전조체를 졸-겔 공정에 의해 다공성 분체들이 합성되었다. 합성된 다공성 분체들은 광학 현미경, SEM, BET, XRD 및 EDS에 의해 확인되었다.

Fabrication of Colloidal Clusters of Polymer Microspheres and Nonspherical Hollow Micro-particles from Pickering Emulsions

  • Cho, Young-Sang;Kim, Tae-Yeol;Yi, Gi-Ra;Kim, Young-Kuk;Choi, Chul-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호
    • /
    • pp.159-166
    • /
    • 2012
  • We have introduced the Pickering emulsion systems to generate novel confining geometries for the selforganization of monodisperse polymer microspheres using nanoparticle-stabilized emulsion droplets encapsulating the building block particles. Then, through the slow evaporation of emulsion phases by heating, these microspheres were packed into regular polyhedral colloidal clusters covered with nanoparticle-stabilizers made of silica. Furthermore, polymer composite colloidal clusters were burnt out leaving nonspherical hollow micro-particles, in which the configurations of the cluster structure were preserved during calcination. The selfassembled porous architectures in this study will be potentially useful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novel building block particles or supporting materials for catalysis or gas adsorption.

Preparation of Silica Hollow Composite Particles

  • Lee, Dong Hoon;Lee, Chang Hy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11호
    • /
    • pp.3303-3306
    • /
    • 2014
  • A facile and effective approach has been developed to prepare hybrid hollow microspheres, via consecutive processes of pickering mini-emulsion polymerization for core-shell formation, and calcination of the sacrificial core. The resulting hollow composite particles have mono-layered shells. The morphology and size characteristics of synthesized composite particles were investigated, using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measurements.

나노 입자의 피커링 안정화를 이용한 식품 에멀젼의 최근 연구동향 (A Recent Research Trends for Food Emulsions using Pickering Stabilization of Nano-particles)

  • 조완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8-247
    • /
    • 2012
  • 식품산업에서의 나노기술은 많은 연구와 가능성 있는 제품으로 새롭게 각광받는 분야이다. 나노와 마이크로 크기의 고체 입자는 유화된 오일 또는 물 입자를 함유하는 분산계의 처방에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은 식용의 지방 결정, 실리카 나노 입자 및 생체 유래의 나노 결정체에 기반을 둔 식품 에멀젼의 성질과 개발에 관한 리뷰논문으로 다양한 피커링 안정화 분야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특히, 단백질로 안정화된 일반적인 에멀젼과 비교하여 Pickering 안정화 입자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자한다. 또한, 식품 산업에서 이들의 응용 예를 다루고자한다.

화장품용 유화 제조기술 최근동향 (Recent Emulsion Technology in Cosmetics)

  • 황소라;남진오;이병진;송우호;이창수
    • KSBB Journal
    • /
    • 제27권4호
    • /
    • pp.207-214
    • /
    • 2012
  • Emulsions are mixture of immiscible liquids in which one is dispersed in all over the other. They have been applied to many applications including cosmetics, foods, drug delivery system (DDS), fine chemicals, and chemical separations. Especially, emulsion technology is one of the most useful technique to formulate cosmetics such as eye cream, foundation, and foam cleansing. In general, the emulsions can be generated by mechanical agitation of two immiscible fluids. However, the emulsions obtained by conventional method have limited in stability, monodispersity, and complicate process. We describe here preparation techniques of representative cosmetic emulsions such as liposome, liquid crystal emulsion, nanoemulsion, multiple emulsion, and pickering emulsion. Furthermore, various factors which can control the physical properties of each cosmetic emulsions are briefly discussed.

표면 개질된 나노피브릴화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에멀젼 안정화 및 고분자 입자 제조 (Surface-modified Cellulose Nanofibril Surfactants for Stabilizing Oil-in-Water Emulsions and Producing Polymeric Particles)

  • 김보영;문지연;유명재;김선민;김정아;양현승
    • 공업화학
    • /
    • 제32권1호
    • /
    • pp.110-116
    • /
    • 2021
  • In this work, the surface of hydrophilic cellulose nanofibrils (CNFs) was modified precisely by varying amounts of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to produce CNF-based particle surfactants. We found that a critical CTAB density was required to generate amphiphilic CTAB-grafted CNF (CNF-CTAB). Compared to pristine CNF, CNF-CTAB was highly efficient at stabilizing oil-in-water Pickering emulsions.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as particle surfactants, the surface coverage of oil-in-water emulsion droplets was determined by changing the CNF-CTAB concentration in the aqueous phase. Furthermore, styrene-in-water stabilized by CNF-CTAB surfactants was thermally polymerized to produce CNF-stabilized polystyrene (PS) particles, offering a great potential for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pharmaceuticals, cosmetics, and petrochemicals.

화장품에서 유화기술의 발전 및 전망 (Development and Prospect of Emulsion Technology in Cosmetics)

  • 경기열;이천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09-217
    • /
    • 2006
  • 유화란 서로 섞이지 않는 액체들간의 분산계이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에는 서로 잘 섞이지 않는 물질들이 많기 때문에 이들을 한 제제 내에 잘 혼합할 수 있는 유화기술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유화제제의 안정화 및 물성 변화를 위하여 유화제의 발달과 함께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유화기술이 개발되었다. 1950년대에 Griffin이 제안한 HLB법을 시작으로 PIT법, 겔(gel) 유화법, D상 유화법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피부 친화성 또는 인체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천연 유래의 유화제 및 고분자계 유화제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 외에도 제품의 외관 차별화 및 유효성분의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나노 유화, 다중 유화, 액정 유화, 피커링 유화 등이 개발 적용되고 있으며, 리포좀이나 큐보좀 같은 나노 구조체 입자들의 응용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리포좀은 생체막의 주요 구성성분인 양친매성 인지질의 이중층으로 구성된 계이고, 큐보좀 역시 생체 유래 성분인 모노올레인 같은 물질로 만들어지는 나노 입자의 일종으로 그 분자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수용액 내에서 입방상 구조의 이연속적 수상 채널을 갖는다. 이러한 나노 입자에 효능물질을 봉입시켜 제제화 함으로서 생체 친화적이면서 물질의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는 화장품용 유화물 및 나노 입자들의 제조 방법, 응용 등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였다.

Recent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eat products

  • Seonmin Lee;Kyung Jo;Seul-Ki-Chan Jeong;Hayeon Jeon;Yun-Sang Choi;Samooel J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5호
    • /
    • pp.895-911
    • /
    • 2023
  • Processed meat products play a vital role in our daily dietary intake due to their rich protein content and the inherent convenience they offer. However, they often contain synthetic additives and ingredients that may pose health risks when taken excessively. This review explores strategies to improve meat product quality, focusing on three key approaches: substituting synthetic additives, reducing the ingredients potentially harmful when overconsumed like salt and animal fat, and boosting nutritional value. To replace synthetic additives, natural sources like celery and beet powders, as well as atmospheric cold plasma treatment, have been considered. However, for phosphates, the use of organic alternatives is limited due to the low phosphate content in natural substances. Thus, dietary fiber has been used to replicate phosphate functions by enhancing water retention and emulsion stability in meat products. Reducing the excessive salt and animal fat has garnered attention. Plant polysaccharides interact with water, fat, and proteins, improving gel formation and water retention, and enabling the development of low-salt and low-fat products. Replacing saturated fats with vegetable oils is also an option, but it requires techniques like Pickering emulsion or encapsulation to maintain product quality. These strategies aim to reduce or replace synthetic additives and ingredients that can potentially harm health. Dietary fiber offers numerous health benefits, including gut health improvement, calorie reduction, and blood glucose and lipid level regulation. Natural plant extracts not only enhance oxidative stability but also reduce potential carcinogens as antioxidants. Controlling protein and lipid bioavailability is also considered, especially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like infants, the elderly, and individuals engaged in physical training with dietary management.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the full potential of dietary fiber, encompassing synthetic additive substitution, salt and animal fat reduction, and nutritional enhancement. Additionally, optimal sources and dosages of polysaccharides should be determined, considering their distinct properties in interactions with water, proteins, and fats. This holistic approach holds promise for improving meat product quality with minimal processing.

유화제로서 실리카를 이용한 유중수형 에멀젼의 안정성에 미치는 수상부 조성의 영향 (Effect of Aqueous Phase Composition on the Stability of a Silica-stabilized Water-in-oil Emulsion)

  • 김진황;김송이;경기열;이은주;윤명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53-359
    • /
    • 2004
  • 실리카 입자의 표면이 실란올(silanol, SiOH)그룹과 트리메틸실록실$(trimethylsiloxyl,{\;}-OSi(CH_3)_3)$그룹으로 이루어진 양친 매성 고체입자를 이용하여 유중수형(water-in-oil, W/O)의 에멀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안정한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서 수상에서의 pH, 전해질 화합물, 고분자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에멀젼의 안정성은 실리카의 응집(flocculation)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수상의 pH 조절 및 전해질 화합물 첨가를 통해 에멀젼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70\%$의 내상을 가지는 W/O 에멀젼을 제조하였을 때, 실리카 입자의 함량이 $1\%$까지 증가함에 따라 에멀젼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였으나, 너무 높은 농도의 실리카는 오히려 유상의 점도를 상승시켜 작은 유화입자의 형성을 방해하였다. 제조된 에멀젼의 입자 크기를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계산해 볼 때, 많은 양의 실리카 입자가 외상인 유상에 존재함을 알 수 있으며, 에멀젼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실리카 입자를 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내상인 수상부에 전해질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상의 pH가 증가할수록 실리카 입자의 (-)전하가 증가하여 입자간 응집 촉진에 의해 에멀젼의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산성 및 중성 pH에서 전해질 $화합물(0.083\;mol\;dm^{-3}\;MgSO_4)$의 첨가는 에멀전의 안정성을 증가시킨 반면, 알칼리성 pH에서 전해질 화합물의 첨가는 에멀젼의 안정성을 저하시켰다.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에멀젼의 물성 변화를 관찰한 결과, 전해질 화합물 첨가시 내상인 수상의 pH에 관계없이 산성 및 알칼리성에서 모두 에멀젼의 탄성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는 수상의 pH가 알칼리성인 경우 더욱 현저하였음을 볼 때, 알칼리에 의해 더욱 음전하를 띄게 된 실리카 입자와 전해질 화합물의 양이온간의 전기적 결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수용성 고분자인 잔탄검의 첨가에 의해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약 2.8 um인 안정한 에멀전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고내상의 안정한 W/O 에멀젼을 제조하여 보다 피부에 안전한 유화물의 제조가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