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833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유색감자 색소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 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gments Extracted from Korean Purple-Fleshed Potato)

  • 전태욱;조용식;이성현;조수묵;조현묵;장규섭;박홍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47-254
    • /
    • 2005
  • 유색 감자의 일반적인 성분과 무기질, 색도, anthocyanin의 함량 그리고 생리활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유색감자 계통별로 횡단면의 색소형성 정도에 따라 A. B, C, D Type둥 4가지 형태로 분류되었다.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이 75.7-84.3%, 단백질이 1.3-2.7%, 조섬유 함량이 0.2-0.7% 수준으로 계통에 따라 약간 차이를 보였다. 유색감자내 무기질은 괴경 100g당 2-3mg의 칼슘과 1-2mg의 나트륨, 350-510mg의 칼륨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기질 함량은 계통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유색감자 횡단면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색차의 크기는 PL-31>PL-6>PL-28>PL-12>PL-4>PL-17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관능검사에 의한 유색강도를 시험한 결과 PL-14>PL-31>PL-28>PL-3>PL-17>PL-6 등으로 나타나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총 anthocyanin 색소 함량은 계통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100g 당 3.3-29.0mg 수준이었으며, PL-28>PL-31>PL-14>PL-12>PL-5 >PL-3의 순으로 높았다. 선발된 품종간 항산화력 비교 실험 결과, PL-6을 제외한 PL-28, PL-31 그리고 자심은 대조구인 ${\alpha}$-tocopherol보다 항산화력 활성이 약간 높았으며, BHA의 항산화력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Gram(+) 3종과 Gram(-) 3종을 이용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4품종 모두 Gram(+)와 Gram(-) 모두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Gram(+)에서는 B. subtilis에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Gram(-)에서는 E. coli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ffects of Increasing Slaughter Weight on Production Efficiency and Carcass Quality of Finishing Gilts and Barrows

  • Jeong, Jin-Yeun;Park, Byung-Chul;Ha, Duck-Min;Park, Man-Jong;Joo, Seon-Tea;Lee, Chul-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6-215
    • /
    • 2010
  • A total of 582 gilts and barrow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regressive relationships to slaughter weight (SW) of variables related to production efficiency and pork quality. Average initial weights and SW were 88.6 and 122.5 kg, respectively, for gilts and 88.7 and 121.4 kg, respectively, for barrows. Average daily gain and gain:feed ratio were not affected by SW. Backfat thickness, which was significantly greater (p<0.01) in barrows (23.3 mm) than in gilts (20.7 mm), increased with increasing SW (0.21 mm/kg; p<0.001). When the 4-notch carcass yield and quality grades were quantified according to an arbitrary 1 point-per-1 notch scale, the former, but not the latter, regressed on SW (-0.64/10 kg; p<0.01). The percent yield of the belly per total lean (overall mean=20.7%) increased with increasing SW (0.37%/10 kg; p<0.001), whereas in other cuts, the SW effect was negligible. The redness of the loin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SW (p<0.05), but othe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minimally influenced by SW. In sensory evaluation, effects of SW for fresh and cooked loin, ham, and belly were mostly considered insignificant in terms of quality, albei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veral cases. However, positive regressions on SW (p<0.01) of the marbling and acceptability scores of fresh loin as well as the fat:lean ratio of fresh belly were noteworthy. Collectively, SW of approximately 125 kg was maximal for both sexes under the current carcass yield grading, in which 94 kg is the upper weight limit for grade A carcass. However, if the carcass weight limit of the grading was to be removed or broadened, the SW for gilts (but not that for barrows because of their excessive fat content at above 125-kg SW) could be increased to 135 kg or greater without compromising carcass quality.

마늘 첨가 막걸리의 품질특성 및 항알레르기 효과 (Quality Properties and Anti-allergic Effect of Makgeolli Added with Garlic)

  • 고유진;강상동;강상태;류충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92-159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 및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마늘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마늘 생산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과 수급조절 및 건강 기능 증진을 위하여 마늘을 이용한 마늘 첨가 막걸리를 개발하고 품질특성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용된 마늘의 수분함량은 62.44%, 총당 15.31%, 회분 1.12%, pH 6.4, 총산은 1.03%로 마늘 첨가 막걸리의 총당, 환원당 함량, 총산 및 아미노산도는 다소 높게 나타났고 알코올 함량에 있어서 대조구에 비해 1%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주요 유기산은 lactic, citric, malic, oxalic 및 succinic acid로 나타났으며 이 중 lactic acid 함량이 203.2%로 대조구에 비해 약 16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마늘 첨가 막걸리의 total polyphenol 함량,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및 total thiosulfate는 대조구 막걸리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마늘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 황 화합물 등에 의해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MTT 분석 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마늘 첨가 막걸리의 세포 독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알레르기 유발 및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histamine 유리량을 측정한 결과 마늘 첨가 막걸리와 대조구 막걸리 모두 histamine 유리억제효과를 보였으며 마늘 첨가 막걸리에서 보다 높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에 대한 기호도는 특유의 색을 유지하여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지만, 맛,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 막걸리에 비해 마늘 첨가 막걸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늘 첨가 막걸리는 국내 막걸리 시장의 다양성을 증대시키고 우수한 기능성으로 막걸리 시장의 활성화를 이어 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한국의 전통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저장성 연구 및 향기성분 분석, 제성기술 확립 등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증숙 마늘 분말 첨가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ed Steamed Garlic Powder)

  • 신정혜;최덕주;권오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96-702
    • /
    • 2007
  • 마늘을 첨가한 기능성 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마늘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함에 있어 매운맛을 감소시키고자 증숙한 후 진공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고 농도별로 첨가 한 스폰지 케이크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반죽의 비중은 증숙 마늘 분말을 4% 이상 첨가할 경우 분말 첨가량과 더불어 증가하였다. 증숙 마늘 분말을 $4{\sim}8%$ 첨가하였을 때 스폰지 케이크의 높이는 $3.53{\pm}0.12{\sim}3.60{\pm}0.15cm$로 증숙 마늘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3.11{\pm}0.05cm$)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비체적은 증숙 마늘 분말 4% 첨가군에서 $3.86{\pm}0.07mL/g$으로 가장 높았으며, 6% 이상 첨가시는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점차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Crust(케이크 껍질부)의 L값과 b값은 증숙 마늘 분말이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a값은 L값과 상반되는 경향으로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점차 증가되었다. Crumb(케이크 내부)의 L값은 증숙 마늘 분말 4% 이상 첨가시는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되어 어두워지는 경향이었다. a값은 증숙 마늘 분말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4% 이상 첨가할 때는 실험군간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스폰지 케이크의 물성 측정 결과 경도(hardness)는 대조군에서 $812.42{\pm}56.69g$이었는데, 증숙 마늘 분말을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1005.36{\pm}43.65{\sim}1522.78{\pm}204.95g/cm^2$의 범위로 마늘 분말의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스폰지 케이크의 관능평가 결과 촉촉함이나 전체적인 기호도를 중심으로 평가할 때 증숙 마늘 분말 4%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모든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증숙 마늘 분말 첨가시 케이크의 품질 및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첨가 가능한 범위는 8% 이내로 판단되며, 4% 첨가시 가장 우수한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열수추출 시간에 따른 대구육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d Stock by Hot Water Extraction Time)

  • 김동석;신경은;이욱;배금광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9-9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뼈를 이용하여 열수추출방식으로 육수를 제조하는 것이었다. 제조한 육수의 이화학적 검사(수분함량, pH, 염도, 당도, 무기질), 관능검사(묘사분석, 기호도 검사)를 통해 열수추출방식을 이용한 대구육수 제조의 표준 제조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분함량은 가열시간 증가 시 유의적(p<0.001)으로 낮아졌으며, 색도는 이와 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pH는 30분 가열시료인 CS1이 가장 낮았고, CS5가 가장 높았다. 염도와 당도는 육수의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다. 대구육수의 무기질 중 Na은 137.87~154.17 m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Mg와 Fe는 가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구육수의 무기질 중 Na, Mg, Fe의 함량은 가열시간이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K, Ca은 비례적인 변화가 없었다. 대구육수의 관능검사 중 묘사분석 결과, 육수색의 강도, 투명도, 비린 냄새와 구수한 냄새, 짠맛, 감칠맛은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p<0.001)인 차이를 보이며 강하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시원한 맛은 CS4가 가장 강하게 평가되었다. 대구육수의 기호도 검사결과 중 외관, 향, 맛, 뒷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CS4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가열시간 증가 시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구육수의 제조 시 양파, 셀러리, 무, 바지락, 물, 대구뼈 등 모든 재료를 넣고 끓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60분을 가열하였을 때 무기질 등의 영양소 함량은 높으며, 기호도는 상승된 우수한 대구육수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처리한 떫은감 농축액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능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ringent persimmon concentrate by boiling)

  • 홍진숙;채경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09-716
    • /
    • 2005
  • 본 실험은 떫은감을 7, 15, 23, 31시간으로 가열하여 제조한 농축액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항산화능, tannin함량을 비교 분석하였고 떫은감 농축액의 조리적성을 제시하기 위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떫은감 농축액의 수분함량은 각각 48.26, 43.16, 36.57, 33.24%로 농축시간이 길어질수록 농축액의 수분함량은 감소하였다. 가열농축에 의해 조단백질, 조섬유, 조회분 함량은 모두 증가하였다. 비타민 C 함량은 열처리에 의해 많은 양이 감소하였으며 농축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의 폭이 컸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농축시간별 당도는 각각 45, 52, 63, $70^{\circ}Brix$였으며 농축시간이 길어질수록 당도와 점도가 증가하였다. pH는 떫은감의 경우 5.41이었으며 23시간 농축액의 pH가 4.71로 가장 낮았다. 농축시간이 길어질수록 명도와 적색도,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는 농축시간이 길어질수록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maltose는 떫은감이 가장 높았고 농축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떫은감과 농축액 모두 92% 이상으로 측정되어 대조구로 사용한 기존의 항산화제인 BHA 0.0002% 첨가구의 전자공여능인 43.3%보다 항산화력이 2배 이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떫은감 농축액의 경우 모든 페놀성 물질의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페놀성 물질 중 chlorogenic acid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flavanol tannin(catechin)함량이 높았다. 감농축액에 대한 관능평가는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acceptability)에서 23시간 농축액이 6.83으로 가장 좋게 평가되었고 그 다음으로 31, 15, 7시간 순으로 좋게 평가되었다. 31시간 농축액의 경우에 단맛은 가장 강하면서 쓴맛, 떫은맛, 신맛이 가장 적고 부드럽게 평가되었으나 상대적으로 색과 향이 매우 강해서 기호도가 약간 감소하였다. 반면 23시간 농축액의 경우는 단맛, 쓴맛, 떫은맛, 신맛에 대한 평가가 31시간 농축액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상대적으로 색과 향을 적당하게 평가함으로써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23시간의 가열 농축은 31시간에 비해 경제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떫은감을 가열 농축하여 제조한 23시간 농축액은 자연적인 강한 단맛을 제공할 수 있고 동시에 항산화성과 탄닌성분을 많이 함유함으로써 식품조리와 식품가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라봉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Yanggaeng Supplemented with Hallabong Powder)

  • 김현은;임정아;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918-1922
    • /
    • 2015
  • 한라봉 분말 대체량을 0~8%로 달리하여 양갱을 제조한 후 물리 화학적 품질 특성, 항산화 활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한라봉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양갱의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가용성 고형분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수분 함량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라봉 분말이 첨가될수록 명도($L^*$)는 감소한 반면 적색도($a^*$)와 황색도($b^*$)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경도는 대조군이 16.51 N으로 가장 낮았고 한라봉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계적인 유의적 증가 경향을 보였으나(P<0.05), 대조군과 2% 첨가군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부재료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기에 수소 원자를 공여함으로써 유리기를 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가하여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5), 두 지표 간 높은 상관관계가 보였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양갱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한라봉 분말의 항산화성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적정 첨가 농도는 2%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Kaolinite (Macsumsuk) and Herb Mixtures on the Qua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 Kim, Byung Ki;Hwang, Eun Gyeong;Jung, Dae Jin;Ha, Jae Jung;Oh, Dong Yep;Choi, Chang B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95-402
    • /
    • 2014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pork, based on the meat consumption habits of consumers. Macsumsuk, a type of kaolinite (a clay mineral), and/or a mixture of herbs (Mori Folium, Sophorae Radix, Glycyrrhizae Radix, Citri Leiocarpae Exocarpium, and Pogostemi Herba) were added to the diets of fattening pigs. Sixty barrow pigs (4 kinds of treatment ${\times}5$ pigs/treatment ${\times}3$ replicate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Control (no additives), T1 (3% Macsumsuk), T2 (3% Herb mixtures), or T3 (3% Macsumsuk + 3% Herb mixtures) groups, and were fed the diets for 60 d. Dressed weights were in the order of T1 ($93.40{\pm}4.68kg$) > T2 ($91.40{\pm}6.52kg$) > Control ($88.80{\pm}1.57kg$) > T3 ($86.80{\pm}2.01kg$). Back-fat thickness of the Control animals ($23.2{\pm}1.03mm$)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e various treatment groups (p<0.01). Numeric values representing the carcass yield and quality grade were higher for all the treated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though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rude fat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2.23{\pm}0.34%$) than in the treated groups (p<0.05). The addition of both Macsumsuk and herb mixtures into the diets of the pigs significantly reduced cooking loss of the pork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shear force (average $5.87{\pm}0.54kg/cm^2$), water holding capacity (average $54.59{\pm}3.16%$), or CIE values of the pork, whereas cholesterol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in those fed Macsumsuk and/or the herb mixtures. No significant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total saturated fatty acid (SFA),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UFA), or UFA/SFA ratios were observed by any of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Macsumsuk and/or herb mixtures into the diets of growing and fattening pigs improves the pork quality by reducing cooking loss, decreasing cholesterol content, and enhancing sensory characteristics.

냉수처리에 따른 쌀의 품질특성 변화 (Effects of Cold Water Irrigation on Quality Properties of Rice)

  • 정응기;김덕수;이정일;김선림;김기종;예종두;손종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119-124
    • /
    • 2006
  •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작물과학원 춘천출장소 냉수처리 포장에서 냉해피해 정도가 다른 시료를 채취하여 벼의 도정특성, 쌀의 이화학적특성, 쌀가루의 아밀로그램특성 및 밥의 식미관능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냉수관개에 의한 냉해 발생은 불임율이 높을수록 출수 지연일수가 길고, 간장의 단축정도는 심했으며, 이삭의 추출은 불량하였다. 2. 쌀의 외관품질은 불임을 20% 이상부터 완전미율이 낮아지고, 유백미율과 깨어진 쌀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쌀의 이화학적특성은 냉수관개로 냉해를 유발하고 생산된 쌀이 자연구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0.9{\sim}2.0%$ 높았으며, 백미의 투명도가 떨어지며, 밥의 윤기치도 낮았다. 4. 쌀가루의 아밀로그램특성은 저온피해를 받은 쌀은 호화개시온도가 높고, 최고점도와 강하점도는 낮았으며, 치반점도는 높았다. 5. 식미관능검정에서는 냉해로 인해 불임율이 높을수록 식미관능이 자연구에 비해 많이 떨어졌다. 평가항목 중에서 밥맛의 차이가 큰 것은 밥의 찰기와 식미총평 이었으며, 차이가 적었던 것은 밥의 냄새였다.

Production of Bioactive Yoghurt containing Cichorium intybus L. (Chicory) Extract - Preliminary Study

  • Jeong, Dana;Kim, Dong-Hyeon;Oh, Yong-Taek;Chon, Jung-Whan;Kim, Hyunsook;Jeong, Dong-Kwan;Kim, Hong-Seok;Kim, Yun-Gyeong;Song, Kwang-Young;Kim, Young-Ji;Kang, Il-Byung;Park, Jin-Hyeong;Chang, Ho-Seok;Lim, Hyon-Woo;Seo, Kun-Ho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9-15
    • /
    • 2017
  • Cichorium intybus L. (chicory) roots and leaves are widely used in herbal preparations, which have beneficial effects on the stimulation of digestion and metabolism of food ingredients, gastric juice excretion, diuretic action, and bile excretion. Notably, chicory root is well known as a source of polyphenols, compounds with recognized value in health improvem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TA, pH, and sensory evaluation) of bioactive yoghurt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icory. With increasing incubation time (5 h), the TA of the yoghurt increased whereas the pH decreased, regardless of the amount of chicory. As the amount of chicory increased, the scores for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generally decreased. Among the tested groups, yoghurt with the addition of 1% chicory attained the highest scores. Further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bioactive yogurt with optimum chicory concentration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