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n beam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3초

유방암에서 CT planning를 이용한 치료계획 (Radiotherapy Treatment Planning using Computed Tomography in Breast Cancer)

  • 김성규;신세원;김명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권2호
    • /
    • pp.59-65
    • /
    • 1992
  • 유방암은 여성암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빈도가 높으며, 한국에서도 세번째로 많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유방암에서 방사선치료는 photon beam를 이용하여 tangential field로 치료하거나 electron beam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치료범위 내부의 밀도와 tumor까지의 깊이는 방사선치료에서 선량분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CT planning를 이용하면 이러한 요소들을 정확하게 산출하여 선량과 선량분포를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저자들이 유방암 환자 65명중 전자선으로 치료를 받은 45명을 분석한 결과 cheast wall의 두께와 internal mammary lyphnode의 깊이가 1.5cm 이하인 경우에는 6MeV의 에너지가 적적함을 보여 주었으며, 1.5cm에서 2.0cm까지는 9MeV의 에너지가, 2.0cm에서 2.5cm까지는 12MeV의 에너지가 적절함을 보였다.

  • PDF

InAs/GaAs 양자점의 단전자-정공 재결합 연구 (Studies on single electron-hole recombination in InAs/GaAs Quantum dots)

  • 이주인;임재영;서정철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7-261
    • /
    • 2001
  • InGaAs/GaAs 초격자 구조들 사이에 InAs/GaAs 양자점을 MBE로 성장하고 광특성을 측정한 결과 매우 균일한 양자점을 얻을 수 있었다. Self-consistent한 이론 계산으로부터 얻은 p-i-n 구조의 최적 조건으로 단일광자구조를 성장하고 단일광자소자를 e-beam lithography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전기적 특성인 I-V곡선에서 나타난 전기 이력현상으로부터 단일 전자와 단일 정공이 다른 전압에서 투과하여 단일 전자-정공 재결합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제만 효과를 이용한 저온 원자빔 (Cold Atomic Beam Extracted by Zeeman Effect)

  • Kim, Kihwan;Noh, Heung-Ryoul;Wonho Jhe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1년도 제12회 정기총회 및 01년도 동계학술발표회
    • /
    • pp.250-251
    • /
    • 2001
  • There is a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generation of a cold atomic beam having a narrow velocity spread that can be used in various experiments in physics such as ultrahigh resolution atomic and molecular spectroscopy, atom optics, atom interferometry, study of solid surfaces, and low energy collision experiments. The invention of the techniques of laser cooling has stimulated developments in the production of cold and bright atomic beams. (omitted)

  • PDF

광계수형 센서의 포톤계수효율 평가를 위한 포톤플루엔스 측정 (Measurement of the Photon Fluence for the Evaluation of Photon Detection Efficiency of Photon Counting Sensor)

  • 박지군;허예지;김교태;노시철;강상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6
    • /
    • 2016
  • 현재 CCD 및 TFT LCD 기반의 평판형 디지털 X선 센서를 이용한 많은 디지털 X선 영상장치가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포톤계수형 센서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톤계수형 센서의 정량적 성능 평가 항목인 포톤계수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포톤계수형 센서 물질에 입사되는 X선 플루엔스 측정하였다. IEC 61223-1-2 권고안의 RQA-M2 Radiation beam quality를 이용하여 포톤 플루엔스를 측정한 결과, $10{\mu}m$ 핀홀 영역에서 입사 광자 플루엔스는 $4photon/unit\;area{\cdot}{\mu}Gy$, $30{\mu}m$ 핀홀 영역에서 약 $50photons/unit\;area{\cdot}{\mu}Gy$, $100{\mu}m$ 핀홀 영역에서 $698photons/unit\;area{\cdot}{\mu}Gy$의 플루엔스로 규정할 수 있었다. 셋업된 입사 플루엔스를 이용하여 포톤계수형 센서 물질에서의 X선 조사시 출력파형을 측정함으로써 실제 포톤계수효율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면 내 공동의 존재에 따른 선량분포의 변화측정 (The Measurement of Dose Distribution in the Presence of Air Cavity and Underdosing Effect Result from Lack of Electronic Equilibrium)

  • 조정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19권1호
    • /
    • pp.81-87
    • /
    • 1996
  • When high energy photon beam is incident upon an air cavity interface the effect of ionization build-up observed. This phenomenon is resulting from the surface layers of the lesions are significant deficiency of electrons reaching the layers because of the replacement of solid scattering material by the air cavity, that is lack of electronic equilibrium. Measurement have been made in an acrylic phantom with a parallel plate chamber and high energy Photon beams, CO-60, 4MV, 6MV and 10MV X-rays have been investigated. The result of our study show that a significant effect was measured and was determined to be very dependent on field size, air cavity dimension and photon energy. The reductions were much larger for 10MV beam, underdosage at the interface was 12, 12.2, 16.9 and 20.6% for the CO-60, 4 MV, 6MV and 10MV,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is non-equilibrium effect at the interface is more severe for the higher energy beams than that of lower energy beams and the larger cavity dimensions it is, the larger beam reductions we have. This problem is of clinical concern when lesions such as carcinoma beyond air cavities are irradiated, such as larynx, glottic and the patients with maxillectomy and ethmoidectomy and so forth.

  • PDF

Interpretation of two SINBAD photon-leakage benchmarks with nuclear library ENDF/B-VIII.0 and Monte Carlo code MCS

  • Lemaire, Matthieu;Lee, Hyunsuk;Zhang, Peng;Lee, Deokj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2권7호
    • /
    • pp.1355-1366
    • /
    • 2020
  • A review of the documentation and an interpretation of the NEA-1517/74 and NEA-1517/80 shielding benchmarks (measurements of photon leakage flux from a hollow sphere with a central 14 MeV neutron source) from the SINBAD database with the Monte Carlo code MCS and the most up-to-date ENDF/B-VIII.0 neutron data library are conducted. The two analyzed benchmarks describe satisfactorily the energy resolution of the photon detector and the geometry of the spherical samples with inner beam tube, tritium target and cooling water circuit, but lack information regarding the detector geometry and the distances of shields and collimators relatively to the neutron source and the detector. Calculations are therefore conducted for a sphere model only. A preliminary verification of MCS neutron-photon calculations against MCNP6.2 is first conducted, then the impact of modelling the inner beam tube, tritium target and cooling water circuit is assessed. Finally, a comparison of calculated results with the libraries ENDF/B-VII.1 and ENDF/B-VIII.0 against the measurements is conducted and shows reasonable agreement. The MCS and MCNP inputs used for the interpretation are available as supplementary material of this article.

1차원 광섬유 팬텀선량계를 이용한 치료용 광자선의 피부 및 선량보강영역에서 상대선량 측정 (Measurement of Relative Depth dose of Therapeutic Photon Beam Using One-Dimensional Fiber-Optic Phantom Dosimeter)

  • 문진수;장경원;유욱재;서정기;박장연;조영호;이봉수
    • 센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6-101
    • /
    • 2011
  • In this study, we fabricated a fiber-optic phantom dosimeter by arraying square type of plastic optical fibers in a PMMA phantom for measuring relative depth doses of therapeutic photon beams. To minimize the cross-talk between fiber-optic dosimeters, we selected appropriate septum by measuring leaked scintillating lights according to the various kinds of septa. In addition, we measured percentage depth doses of 6, 15 MV photon beams using a fiber-optic phantom dosimeter.

A Monochromatic Soft X-ray Generation from Femtosecond Laser-produced Plasma with Aluminum

  • Son, Joon-Gon;Hwang, Byung-Jun;Seo, Okkyun;Kim, Jae Myung;Noh, Do Young;Ko, Do-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 /
    • 제73권12호
    • /
    • pp.1834-1839
    • /
    • 2018
  • A tabletop ultrafast soft x-ray has been generated from the laser-produce plasma with a femtosecond pulsed Ti:Sapphire laser. The estimated total flux of Al $K{\alpha}$ is of $2.2{\times}10^9photons/sec$ in $4{\pi}$ radian and the parameters related to the optical performance were obtained. The tungsten/silicon multilayer, flat quartz and bent thallium acid phthalate (TLAP) crystal were used for monochromatization of soft x-ray to refine the aluminum $K{\alpha}$ radiation and compared the respective value of $E/{\Delta}E$. To estimate the size of the x-ray source beam generated by a fs laser, the approximation using the FWHM obtained from the x-ray beam scan near the focal point was discussed, and the size of the diameter was about $9.76{\mu}m$.

입체적횡다증회전조사를 병합한 방사선수술의 새로운 접근 : 포톤나이프 (A New Approach with Combined Stereotactic Trans-multiarc Beams for Radiosurgery Based on the Linear Accelerator : Photon Knife)

  • 최태진;김진희;김옥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49-158
    • /
    • 1996
  • 목적 : 선형가속기의 광자선을 이용한 두개내 소병변의 방사선수술에서 다중회전조사와 횡다중회전조사를 병용한 방사선 수술방법을 개발하고, 컴퓨터단층영상을 재구성한 방사선수술계획을 통해 선량분포를 비교하여 병변이외 정상조직의 선량을 줄이기 위한 선량변수를 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선형가속기 6 MV 광자선을 이용하여 치료대 각과 선원지지체 회전 및 환자체위변위를 이용한 입체적 다중 및 횡다중회전조사를 조사하여 선량분포를 비교하였다. 입체적 선량분포와 횡단면, 시상면 및 관상면 치료대 영상재구성의 선량분포는 본 대학에서 개발한 방사선수술기구 및 소프트웨어 (Photon Knife)를 통해 이루어졌다. 입체적 다중회전조사에 의해 얻은 선량은 치료대 각이 20, 50, 120, 160 도, 각각의 선원지지체 회전각은 20-160도이며, 다중회전조사의 치료대각 30, 150도와 횡다중회전조사의 치료대각 30, 150도에 선원 회전각 20-160도를 입체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선량분포는 동일 콜리메이터에서도 치료대와 선원지지체 각에 따라 크게 변하였다. 입체횡다중회전조사를 시행한 경우 표적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의 선량분포는 다중회전조사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선량기울기가 증가하여 정상뇌조직의 손상을 더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병변주위의 치명장기 위치에 따라 방사선 회전 방향을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방사선수술의 입체선량과 주위 장기 및 표적의 On-Target 입체화는 방사선수술의 정확성, 복수개의 표적중심결정과 주위정상장기의 선량포함범위를 비교적 정확하게 보여줌을 알 수 있다. 결론 : 방사선수술선량계획의 입체화는 선량과 표적 및 주위장기의 선량범위를 입체적으로 정할 뿐만 아니라, 표적의 모양이 불규칙형일 때는 복수개의 표적중심결정에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다중회전조사와 횡다중회전조사를 병합한 방사선수술은 표적주위의 치명정상장기의 손상을 줄이기 위해 총회전각의 변화없이 치명장기에 도달될 선량을 줄일 수 있으며, 25 mm 직경의 콜리메이터를 사용한 선량분포는 $80-50\%$의 간격이 $1.1\~3.0 mm$, $90\~50\%$$2.0\~3.0mm$를 나타내었다.

  • PDF

고 에너지 방사선치료에서 환자의 피폭선량 분포와 생식선의 차폐 (Shielding for Critical Organs and Radiation Exposure Dose Distribution in Patients with High Energy Radiotherapy)

  • 추성실;서창옥;김귀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1-10
    • /
    • 2002
  • 의료용 선형가속기에서 발생되는 고 에너지 광자선은 콜리메이터에 의하여 누출되며 치료두부(head), 콜리메이터, 환자를 포함한 치료실내의 모든 벽과 구성 물질들에 의하여 많은 산란선이 발생된다. 방사선치료는 종양에 따라서 최소한 40 Gy에서 80 Gy까지 조사되기 때문에 주위건강조직 특히 생식가능한 사람에 대한 생식선의 피폭선량을 평가하여야하며 종양치료에 영향을 주지 않은 범위에서 가능한 방법을 동원하여 피폭선량을 줄여야한다. 방사선 안전관리등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과학기술부령 제17호) 제3절 의료분야의 특별기준, 제44조(진료환자의 방사선 피폭)에 의하면 진료를 위한 환자 피폭선량을 합리적으로 달성 가능한 최소의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절차를 구비하여야 하며 과학기술부 장관은 이에 준하는 의료시설 및 장비취급의 기술기준을 정하고 고시하여야한다고 명시 되어있다. 고 에너지방사선은 악성종양환자들의 치료성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치료후 방사선에 의한 만성효과가 발생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선속의 다양한 산란선과 누출선의 선질변화와 선량을 측정하고 생식선과 같은 주요장기를 산란선으로부터 차폐할 수 있는 기구를 제작 사용함으로서 방사선 피폭선량을 최대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고 에너지 방사선은 의료용 선형가속기(CLINAC 2100C/D. 2100C. 600C)에서 발생시킨 4, 6, 10 MV x-ray와 코발트원격치료장치(ALCYON II)의 코발트선원에서 방출되는 1.25 MV의 감마선을 이용하였다. 선량측정은 폴리스틸렌과 인체팬텀(Rando)사용하였으며 측정기는 이온함, TLD 및 필름을 사용하였다. 고 에너지 방사선에 의한 산란선은 장치의 콜리메이터 뿐만 아니라 치료실 벽 인체내부등 모든 방향에서 방사됨으로 납 벽돌에 의한 차폐율측정은 많은 변수를 가졌으며 고환인 경우에는 3면이 모두 차폐되도록 항아리모양으로 제작하였다. 태아인 경우 태아가 위치하고 있는 골반위에 육교모양의 선반을 만들고 그 위에 납 벽돌을 장치하도록 고안하였다. Co-60 감마선, 4 MV x-선, 10 MV x-선에서 발생되는 누출선량과 산란선량에 의한 평균 피폭선량은 조사면 중심으로부터 10, 30, 60cm 거리에서 조사면내 최대선량에 대하여 각각 $10^{-2},\;10^{-3},\;10^{-4}$의 비율로 측정되었으며 거리에 따라 지수함수로 줄어들었다. 흉부에 국한된 종양을 10 MV x-ray, $12{\times}12 cm^2$ 조사면으로 치료하였을 때 자궁에 받는 피폭선량은 0.9 mGy/Gy이며 고환이 받는 피폭선량은 0.6 mGy/Gy 이었으며 체장과 신장은 각각 4.8 mGy/Gy 와 2.5 mGy/Gy이다 10 MV x-선, $14{\times}14cm^2$ 조사면 경계로부터 10 cm 밖에서 납벽돌의 반가층 두께는 약 9.0 mm 이였고 20cm 밖에서는 반가층 두께가 약 6.5 mm로 측정되었다. 복부에 위치한 악성종양을 60 Gy 조사하였을 경우 태아가 위치하고 있는 자궁의 피폭선량은 약 370 mGy이고 이곳을 10 mGy이하가 되도록 차폐하려면 약 6.2 cm두께의 납 벽돌을 자궁위에 장착하여야 하며 골반치료시 고환에 10 mGy이하가 되도록 차폐하려면 약 5 cm 두께의 납 항아리가 요구된다. 고 에너지 고 준위 방사선치료시 고환은 3면을 항아리모양으로 차폐할 수 있어 피폭선량을 상당히 줄일 수 있으며 자궁인 경우 체내에서 산란된 선량의 차폐는 불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