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otherapy Treatment Planning using Computed Tomography in Breast Cancer

유방암에서 CT planning를 이용한 치료계획

  • 김성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신세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김명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2.12.01

Abstract

Carcimoma of the breast are first frequency malignancy in women in the world. third frequency in Korea. Radiation therapy in breast cancer were treated through opposed tangential fields with photon beam or electron beam. Density within the field and thickness to tumor are very importent factors determining dose distribution in radiation therapy of electron beam. Radiotherapy traetment planning using computed tomography in Breast cancer are able to ideal dose distribution. Authors concluded as following. 6MeV energy of electron beam propered below 1.5cm in chest wall's thickness or internal mammary lymphnode's depth. 9MeV energy of electron beam from 1.5cm to 2.0cm. 12 MeV energy of electron beam from 2.0cm to 2.5cm.

유방암은 여성암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빈도가 높으며, 한국에서도 세번째로 많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유방암에서 방사선치료는 photon beam를 이용하여 tangential field로 치료하거나 electron beam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치료범위 내부의 밀도와 tumor까지의 깊이는 방사선치료에서 선량분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CT planning를 이용하면 이러한 요소들을 정확하게 산출하여 선량과 선량분포를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저자들이 유방암 환자 65명중 전자선으로 치료를 받은 45명을 분석한 결과 cheast wall의 두께와 internal mammary lyphnode의 깊이가 1.5cm 이하인 경우에는 6MeV의 에너지가 적적함을 보여 주었으며, 1.5cm에서 2.0cm까지는 9MeV의 에너지가, 2.0cm에서 2.5cm까지는 12MeV의 에너지가 적절함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