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olipid content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6초

달걀 노른자위 레시틴의 첨가가 물/카놀라 기름 에멀션의 지방질 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Egg Yolk Lecithin on the Lipid Oxidation of a Water/canola Oil Emulsion)

  • 최지수;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61-566
    • /
    • 2015
  • 350 ppm 농도로 물/카놀라 기름 에멀션에 첨가된 달걀 노른자 위 레시틴은 에멀션 기름의 철 이온에 의한 자동산화와 클로로필에 의한 감광산화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에멀션의 산화 중 달걀 노른자위 레시틴으로부터 유래한 인지방질은 분해되었으며 감광산화에 비해 자동산화에서 분해 속도가 높았다. 그러나 PC와 PE 사이의 분해 속도는 두 종류의 산화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omega$6/$\omega$3계 불포화지방산을 투여한 후 혈장의 지질조성과 Tocopherol, Malondialdehyde 형성 및 적혈구의 Hemolysis 변화에 대한 Kinetic 연구 (Kinetic Study on Variations of Lipids, Tocopherol and Malondialdehyde Levels of Plasma and Red Blood Cell in Young Women fed Dietary $\omega$6/$\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 홍미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2호
    • /
    • pp.81-92
    • /
    • 1990
  • Ten college women were treated with either corn oil(CO< as a source of C18:2, $\omega$6) or fish oil concentrates(FO, as a source of C20:5+C22:6, $\omega$3) with experimental diet for 7 days and then returned to normal home made diet. Kinetic changes of plasma and RBC lipids, tocopherol, MDA levels and hemolysis were observed at day-0, -3, -7, -8, -10, -14 and -21 of experimental periods. Plasma and RBC tocopher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day-3 and -7 by tocopherol tocopherol supplement in dietary oi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 and FO diet with large dose of tocopherol supplement. After stop experimental regimen at day-7, plasma tocopherol content was sustained at high level until day-10 but drastically decreased at day-14 and remained at low level at day-21. However, RBC tocopherol level was not greatly responded to the dietary intake of tocopherol and was varied in the very narrow range. MDa levels of plasma and RBC were not responded in the same way as tocopherol content of plasma. MDa content of RBC was very low compared to that of plasma. RBC hemolysis by incubation in hypotonic solu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plasma tocopherol level and was not correlated to the level of MDa in either plasma or RBC.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levels of plasma cholesterol, HDL-chol, triglyceride, phospholipid, and lipoprotein pattern throught experimental periods.

  • PDF

담수어의 지질에 관한 연구 7. 천연 및 양식 뱀장어와 붕장어의 지질성분 비교 (Studies on Lipids in Fresh-Water Fishes 7.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among Wild and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and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 최진호;임채환;배태진;변대석;윤태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39-446
    • /
    • 1985
  • 양식 뱀장어의 품질을 지질성분면에서 평가하기위하여 천연 및 양식 뱀장어의 지질 조성 및 이들 지질의 구성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하였고, 붕장어의 지질성분과도 비교하였다. 또 양식 뱀장어의 지방산과 사료 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지질 함량은 양식 뱀장어가 천연 뱀장어 보다는 약간 높은 반면 붕장어 보다 약 2배 정도 높았다. 부위별 지질 함량은 뱀장어는 가식부($27.16{\sim}29.70\%$)가 내장부($5.10{\wim}5.86\%$)보다 훨씬 높았으나 붕장어는 거의 비슷하였다. 2. 천연 및 양식 뱀장어와 붕장어의 지질 조성은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즉 중성지질이 가장 많고, 인지질, 당지질의 순이었다. 또 부위별 지질 조성은 중성지질은 가식부가 내장부보다. 많은 반면 인지질과 당지질은 내장부가 가식부보다 많았다. 또 중성지질은 TG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인지질은 PC와 PE가 가장 많았다. 3. 식용으로 이용되는 가식부의 중성지질은 $C_{14:0},\;C_{16:0},\;C_{18:1}$산은 양식 뱀장어가 천연 뱀장어보다 높은 반면 $C_{16:1},\;C_{18:2},\;C_{18:3},\;C_{20:4},\;C_{20:5},\;C_{22:5},\;C_{22:6}$ 산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았다. 붕장어의 경우는 $C_{18:0},\;C_{20:4},\;C_{22:6}$산이 천연 및 양식 뱀장어에 비해 훨씬 높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또 인지질의 경우는 $C_{18:0},\;C_{18:2}$산이 양식 뱀장어가 천연 뱀장어보다 높은 반면 $C_{16:0},\;C_{16:1},\;C_{18:1},\;C_{18:3},\;C_{20:4},\;C_{20:5},\;C_{22:5},\;C_{22:6}$산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았다. 4. 중성지질의 불포화도(TUFA/TSFA)는 천연 및 양식 뱀장어와 붕장어 사이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인지질의 경우는 천연 뱀장어가 양식 뱀장어 및붕장어 보다 높았다. 가식부의 필수지방산 함량은 중성지질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3배이상 높았으며, 또 붕장어는 뱀장어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나 인지질의 경우에는 필수지방산 함량에 큰 차이가 없었다. 5. 가식부의 W3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중성지질은 천연 뱀장어가 양식 뱀장어 및 붕장어보다 $2.0{\sim}2.5$배 정도 높았으며 인지질의 경우도 천연 뱀장어가 양식뱀장어 및 붕장어보다 훨씬 높았다. 6. 사료 지방산(B)에 대한 양식 뱀장어의 지방산 (A)의 비(A/B)를 비교하여 보면 linoleic acid ($C_{18:2}\;w6$), linolenic acid ($C_{18:3}\;w3$) 등의 필수지방산과 eicosapentaenoic acid ($C_{20:5}\;w3$), docosahexaenoic acid ($C_{22:6}\;w3$)등의 w3 고도불포화지방산의 A/B비가 $0.23{\sim}0.48$로 아주 낮아, 이들 불포화지방산의 polyene 산의 생합성 및 체성장에 크게 관계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녹두발아(綠豆發芽)중 지방질성분(脂肪質成分)의 변화(變化)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Germination of MungBean)

  • 최갑성;김재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1-275
    • /
    • 1985
  • 녹두(綠豆)를 7 일간(日間) 발아(發芽)시키면서 2 일(日)간격으로 자엽부(子葉部)와 배축부(胚軸部)의 조지방량(粗脂肪量), 구성지방질(構成脂肪質) 및 구성지방산(構成脂脂酸)의 변화(變化)를 연구(硏究)한 결과(結果) 녹두발아(錄豆發芽)중 자엽부(子葉部)와 배축부(胚軸部)의 조지방질(粗脂肪質)은 다 같이 감소(減少)하였는데 감소(減少)정도는 자엽부(子葉部)에서 더 심하게 나타나며 자엽부(子葉部)의 triglyceride는 계속 감소(減少)하였고 free fatty acid의 함량(含量)은 계속 증가(增加)하였으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반대(反對)경향을 보였다. sterol은 자엽부(子葉部)에서 증가(增加)했고 배축부(胚軸部)에서는 약간씩 감소(減少)경향을 나타냈으며 인지질은 배축부(胚軸部)에서 약간의 증가(增加) 현상(現狀)을 나타냈고 자엽부(子葉部)에서는 계속적으로 감소(減少)하였다. 발아(發芽)중 자엽부(子葉部) 및 배축부(胚軸部)의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은 불규칙하게 변화(變化)했고 자엽부(子葉部)에서는 linoleic acid가 배축부(胚軸部)에서는 stearic acid가 주요(主要)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으로 나타났다.

  • PDF

만금탕(萬金湯) 및 가미만금탕(加味萬金湯)이 고지혈증(高脂血症)에 미치는 영향(影響)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Mangumtang and Gamimangumtang on Hyperlipidemia)

  • 서운교;정지천;박선동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3권
    • /
    • pp.299-315
    • /
    • 1994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ngumtang(MT) and Gamimangumtang(GMT) experimental studies were performed in Ex.1(treated with cholesterol and administration of sample at a time) and Ex.2(administration of sample after the treatment of cholesterol).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content of Total cholesterol in the serum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in MT group, whereas in GMT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Ex.1 and all significantly decreased in MT group and GMT group in Ex.2. 2. The content of Triglyseride in the serum was all significantly decreased in MT group and GMT group in all case. 3. The content of Phospholipid in the serum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in MT group, whereas in GM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Ex.1 or Ex.2. 4. The content of Free Fatty Acid in the serum was all significantly decreased in MT group and GMT group in all case. 5. The content of HDL-Cholesterol in the serum was tended to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ce in Ex.1 or Ex.2. 6. The content of LDL-Cholesterol in the serum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in MT group and GMT group in Ex.1, whereas in Ex.2 not significantly decreased in MT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GMT group.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assumed that Mangumtang and Gamimangumtang have a valid effect on Hyperlipidemia, especially Gamimangumtang have a more valid effect on prevention and cure of Hyperlipidemia.

  • PDF

현미와 백미의 극성지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olar Lipids Composition in Brown Rice and Milled Rice)

  • 이희자;이현주;변시명;김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2-268
    • /
    • 1989
  • 다수계 품종인 남풍, 밀양 23호와 일반계 품종인 화성, 진흥을 각각 현미, 백미, 겨로 구분하여 준비한 12가지 시료에서 추출한 극성지질의 조성을 TLC로 분별 정량하였고, 지방산 조성을 GC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당지질은 TLC 상에 6가지가 분리되었으며, esterified steryl glycosides(ESG) 함량이 가장 높고, monogalactosyl diglycerides(MGDG) 와 steryl glycosides(SG) 함량은 다음으로 둘은 비슷한 값이었다. 현미와 백미 그리고 겨의 ESG함량은 51.05%, 47.88%, 50.76%로 별 차이가 없었으며, MGDG는 겨에서 높았고, SG, cerebrosides(CB), digalactosyl diglycerides(DGDG)는 현미와 백미에 비해 낮았다. 2. 인지질은 TLC 상에서 7가지가 분리되었고 이중 phosphatidyl cholines(PC)와 phosphatidyl serines(PS)는 겹쳐져서 나타났으며, 한가지의 확인할 수 없는 물질이 있었다. 인지질 조성은 PC+PS가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현미중의 PC+PS가 62.08%로 가장 높았다. 다음이 PE로 시료 군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3. 당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현미와 백미에서는 총 지질, 중성지질의 조성과는 달리 palmitic acid의 함량이 30.84%, 34.13%로 매우 높아서 linoleic acid 함량과 비슷하였고 oleic acid 함량이 23.11%, 18.11%로 매우 낮았다. 이와 달리 겨는 oleic acid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이 linoleic acid 그리고 Palmitic acid 였다. 4.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현미의 경우 linoleic acid 함량이 39.20%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oleic acid로 34.04% 였으며, palmitic acid는 22.60%였다. 백미는 linoleic acid 함량이 40.55%로 가장 높고, 다음이 palmitic acid였으며, oleic acid는 현미와는 달리 함량이 낮았다. 한편 겨는 현미, 백미와는 달리 남풍, 화성, 진흥에서 myristic acid 함량이 각각 37.53%, 44.20%, 45.42%로 가장 높고 linoleic, oleic, palmitic acid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밀양 23호 겨만이 oleic, linoleic acid 함량이 비슷하게 37% 정도였고, palmitic acid 20.52%, myristic acid가 2.02%로 현미, 백미의 조성 비율과 비슷하였다.

  • PDF

탄수화물이 Aspergillus, Rhizopus, Candida 세포의 인지질 합성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ohydrates on the Biosynthesis of Phospho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Aspergillus, Rhizopus and Candida Cells)

  • 조선희;이종삼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30
    • /
    • 1994
  • 탄수화물(포도당, 서당, raffinose)을 각각 처리한 배지에서 배양한 진균류(Aspergillus phoenicis, Rhizopus acidus, Candida albicans)의 세포에서 일어나는 지질대사 특히 인지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당은 Aspergillus와 Candida의 생장에, 포도당은 Rhizopus의 생장에 최적의 당이었다. 포도당은 Aspergillus와 Rhizopus total lipid 합성에, Raffinose는 Candida total lipid 합성에 가장 유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포도당 처리는 Aspergillus의 Pl를 73.7%, Rhizopus의 PC를 292% 증가시켰다. 서당 처리는 Aspergillus의 Pl를 112%, Rhizopus와 Candida의 PC의 함량을 77.7%와 71.8%의 촉진 현상을 보여 주었다. Raffinose 처리는 Aspergillus에서 PC의 함량을 29.5% 증가시컸고, PE의 함량은 Rhizopus에서 50.9%, Candida에서 49.1% 촉진하였다. Aspergillus와 Candida의 당 처리구에서 PC와 PE를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주로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이었다. 인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으로 Aspergillus에서는 palmitic acid와 linoleic acid, Rhizopus에서는 palmitic acid, Candida에서는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로 조사되었다. 이들 3진균류가 당 처리시 인지질 합성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로 분석되었다.

  • PDF

n-3 및 n-6계 다불포화 지방산의 함유비율이 다른 유지가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의 뇌, 심장 및 비장의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Mixed Oils with Various Level of n-3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the Fatty Acid Metabolism of Brain, Heart and Spleen in Dietary Hyperlipidemic Rats)

  • 김한수;정효숙;강정옥;김희숙;이수정;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92-701
    • /
    • 1993
  • n-3계 EPA와 DHA의 함유 비율이 높은 정어리유와 n-6계 linoleic acid 함유 비율이 높은 홍화유의 혼합 급여가 고지질식이 흰쥐의 뇌, 심장 및 비장의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Sprague Dawley계 숫 흰쥐에게 버터 식이를 대조군으로 하고 정어리유 및 홍화유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유지를 급여하여 4주간 실험 사육한 후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결고, 뇌 지질중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EPA 및 DHA의 함유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phosphatidylethanolamine에서는 DHA의 함유 비율이 월등히 높았고, cardioliipin에서는 arachidonic acid의 함유 비율이 높았다. 심장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 PUFA의 함유 비율은 5군(4% 정어리유|4% 홍화유)에서 가장 높았고, 특히 DHA 함유 비율은 4군(6% 정어리유+2% 홍화유), 5군에서 높았으며, 비장 지질의 조성 지방산중 EPA 및 DHA의 함유 비율은 3군(8% 정어리유)에서 높았다.

  • PDF

한국고유식품중(韓國固有食品中)의 지질함량(脂質含量)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Contents of Lipids of Traditional Diet in Korea)

  • 박홍현;김을상;성낙응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1권1호
    • /
    • pp.27-32
    • /
    • 1978
  •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determine crude fat, crude protein, phospholipid,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s of Seolnong-Tang and Other 11 Samples which are traditional diet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lows; 1)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was $7.34{\pm}1.08%$ in Chueo-Tang to $2.94{\pm}0.08%$ in Sundae-Gug, and the content of crude fat was $7.20{\pm}0.31%$ in Seonji-Gug to $2.64{\pm}0.31%$ in Jog-Tang 2) Triglyceride Content of fat was the highest value in Seolnong-Tang ($89.09{\pm}1.34%$) and the lowest one Samgae-Tang ($75.29{\pm}0.37%$). 3) Phospolipid content of fat showed the highest group in Yuqqae-Jang ($12.39{\pm}0.28%$) and Seonji-Gug ($12.18{\pm}0.31%$) the lowest group was Seolnong-Tang ($4.88{\pm}0.73%$) and Dogani-Tang ($4091{\pm}0.30%$). 4) In total cholesterol content of fat extracted, Bosin-fang ($1732.28{\pm}80.85mg%$) was the highest value and Dogani-Tang ($570.66{\pm}22.04mg%$) showed the lowest. 5) In total cholesterol contents of one diet, the highest group was Seonji-Gug ($667.40{\pm}35.73mg$) and Bosin-Tang ($652.96{\pm}22.27mg$) the lowest group was Jog-Tang ($147.64{\pm}17.33mg$) Daggom-Tang ($174.32{\pm}16.63mg$) and Dogani-Tang ($176.36{\pm}19.13mg$).

  • PDF

Different Function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between ApoA-I and ApoA-4 in Lipid-Free and Reconstituted HDL State: ApoA-4 Showed Less Anti-Atherogenic Activity

  • Yoo, Jeong-Ah;Lee, Eun-Young;Park, Ji Yoon;Lee, Seung-Taek;Ham, Sihyun;Cho, Kyung-Hy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6호
    • /
    • pp.573-579
    • /
    • 2015
  • Apolipoprotein A-I and A-IV are protein constituents of high-density lipoproteins although their functional difference in lipoprotein metabolism is still unclear. To compare anti-atherogenic properties between apoA-I and apoA-4, we characterized both proteins in lipid-free and lipidbound state. In lipid-free state, apoA4 showed two distinct bands, around 78 and $67{\AA}$ on native gel electrophoresis, while apoA-I showed scattered band pattern less than $71{\AA}$. In reconstituted HDL (rHDL) state, apoA-4 showed three major bands around $101{\AA}$ and $113{\AA}$, while apoA-I-rHDL showed almost single band around $98{\AA}$ size. Lipid-free apoA-I showed 2.9-fold higher phospholipid binding ability than apoA-4. In lipid-free state, $BS_3$-crosslinking revealed that apoA-4 showed less multimerization tendency upto dimer, while apoA-I showed pentamerization. In rHDL state (95:1), apoA-4 was existed as dimer as like as apoA-I. With higher phospholipid content (255:1), five apoA-I and three apoA-4 were required to the bigger rHDL formation. Regardless of particle size, apoA-I-rHDL showed superior LCAT activation ability than apoA-4-rHDL. Uptake of acetylated LDL was inhibited by apoA-I in both lipid-free and lipid-bound state, while apoA-4 inhibited it only lipid-free state. ApoA-4 showed less anti-atherogenic activity with more sensitivity to glycation. In conclusion, apoA-4 showed inferior physiological functions in lipid-bound state, compared with those of apoA-I, to induce more pro-atherosclerotic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