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olic and related compound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6초

Ide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Effects from the Exudate of Germinating Peanut (Arachis hypogaea)

  • Lee, Jin-Hwan;Baek, In-Youl;Kang, Nam-Suk;Ko, Jong-Min;Kim, Hyun-Tae;Jung, Chan-Sik;Park, Keum-Yong;Ahn, Young-Sup;Suh, Duck-Yong;Ha, Tae-Jo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29-36
    • /
    • 2007
  • Five phenolic compounds 1-5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exudate of geminating peanut (Arachis hypogaea). The structures were fully characterized by analysis of physical and spectral data. All isolated compounds were test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hydroxyl radical. Compounds 2, 3, and 5 exhibited a strong scavenging effect on DPPH (2: $IC_{50}\;=\;10.4\;{\um}M$, 3: $IC_{50}\;=\;45.2\;{\mu}M$, 5: $IC_{50}\;=\;5.0\;{\mu}M$), and ABTS (2: $IC_{50}\;=\;9.6\;{\mu}M$, 3: $IC_{50}\;=\;5.5\;{\mu}M$, 5: $IC_{50}\;=\;3.3\;{\mu}M$) radical activity, whereas these compounds had weak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200\;{\mu}M$).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extracts using n-hexane, EtOAc, and n-BuOH were found to be 96.4-964.3 mg gallic acid equivalent per g dry material (GAE/g) and n-BuOH fraction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 (964.3 mg GAE/g).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 exudate of geminating peanut may possess possible health related benefits to humans.

약용식물(藥用植物) 추출액(抽出液)의 발아억제효과(發芽抑制效果)와 관련화합물(關聯化合物) 탐색(探索) (Inhibitory Effect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nd Identification of Inhibitory Substances)

  • 김길웅;이인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4-167
    • /
    • 1989
  • 시호(柴胡)를 포함(包含)한 21종(種) 약용식물(藥用植物)의 여러추출액(抽出液)이 벼, 피, 상치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이들이 함유(含有)한 phenolic compounds 와 지방산(脂肪酸) 및 유기산(有機酸)의 구성(構成)과 함량(含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공시약용식물(供試藥用植物)의 수용(水溶) 및 알코올추출액(抽出液)의 발아억제효과(發芽抑制效果)는 상치에 대(對)해 현저(顯著)하여 공시재료중(供試材料中) 석창포(石菖蒲), 천궁(川芎), 부자(附子), 시호(柴胡), 생강(生薑)당귀(當歸), 산약(山藥), 아무(莪茂)의 수용추출(水溶抽出) 5%는 상치의 발아(發芽) 및 생육(生育)을 90% 이상(以上) 억제(抑制)하였고, 향부자(香附子), 천남성(天南星), 석창포(石菖蒲), 천궁(川芎), 시호(柴胡), 부자(附子), 아무(莪茂), 독활(獨活), 산약(山藥), 조약(鳥藥), 작약(芍藥)의 알코올추출액(抽出液) 2%는 상치 의 발아(發芽) 및 생육(生育)을 95% 이상 억제(抑制)하였다. 2. 추출용매(抽出溶媒)를 달리한 결과(結果) 공시재료(供試材料)의 용매(溶媒)에 따른 억제정도(柳制程度)는 차이(差異)를 보여 ethanol, ether, aceton, chloroform 의 순(順)을 나타냈으나 공시재료(供試材料) 모두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3. 공시약용식물(供試藥用植物)로부터 분리(分離) 동정(同定)된 phenolic compounds 의 양(量)은 행인(杏仁) 30.6013 mg/g, 초조(草鳥) 29.1008 mg/g, 천궁(川芎) 27.2947 mg/g 순(順)으로 많았고 발아억제효과(發芽抑制效果)는 이들의 양(量)뿐만 아니라 구성(構成) phenolic compounds의 종류(種類)와 밀접(密接)한 관련(關聯)이 있는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4. 공시재료(供試材料)의 지방산(脂肪酸) 및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과 구성(構成)도 억제효과(抑制效果)와 다소(多少) 관련(關聯)이 있는 것으로 나타마 억제효과(抑制效果)가 높았던 천궁(川芎)은 24.10 mg/g의 지방산(脂肪酸)과 21.04 mg/g 의 유기산(有機酸)을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특히 발아억제효과(發芽抑制效果)가 높았던석창포(石菖蒲), 천궁(川芎), 시호(柴胡) 등(等)은 oleic, linoleic, linolenic 같은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을 다량(多量)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 PDF

신고 배 저온 저장 중 발생하는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체 (Major Metabolites Involved in Skin Blackening of 'Niitaka' Pear Stored under Cold Temperature)

  • 이은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359-365
    • /
    • 2014
  • 본 연구는 신고 배 저온 저장 중 발생하는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체를 untargeted GC-MS 그리고 targeted HPLC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GC-MS 분석 결과 아미노산, 유기산, 당 관련 총 40개의 대사체를 정성할 수 있었고 건전과는 과피흑변과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높은 대사체 함량을 보였다. 특히 serine, malic acid, succinic acid가 건전과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과피 흑변과에서는 threonine, fumaric acid, gluconic acid 함량이 높았다. 개개의 phenolic compounds 분석 결과 건전과에서 높은 phenolic compounds 함량을 보였다. 또한 항산화 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는 ascorbic acid가 과피 흑변과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세포 내 비정상적인 호흡 및 에너지 대사과정, 항산화 능력 결여가 신고 배 과피 흑변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s of Flavonoids on Pollen Tube Growth in Arabidopsis thaliana

  • Kim, Young-Soon;Song, Kyu-Sang;Cheong, Hyeon-Sook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4호
    • /
    • pp.273-278
    • /
    • 1996
  • Arabidopsis mutants deficient in flavonoid and sinapate ester (tt4 and fah1-7, respectively) were evaluated in vivo and in vitro to study the possible role of flavonoid compounds in pollen tube growth. In vivo, we investigated pollen tube growth in the pistils of the mutants and wild type(Ler). The growth of pollen tub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enotypes. In the fal1-7 pistils, the tubes grew to a greater length relative to those of the wild type or tt4. To examine in vitro pollen tube growth, a solid medium was devised for pollen germination and subsequent growth. In vitro, the identical result was obtained; fahl-7 pollens developed the longest tubes and elongated most rapidly. Therefore, the growth response of pollen tubes to phenolic compounds was examined by adding quercetin or sinapate ester in various concentrations to the media. Quercetin enhanced both germination rate and tube growth in the pollens of the mutants and the wild type, especially in tt4. In contrast, sinapate ester inhibits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growth in three genotyp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lavonoids and related phenolic compounds have physiological role in the plant reproductive system.

  • PD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Changes in 'Autumn Sense' Hardy Kiwi (Actinidia arguta) as Honey Plant during Fruit Ripening

  • Park, Youngk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7-332
    • /
    • 2017
  •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of Actinidia arguta fruit of Autumn Sense cultivar during fruit ripening.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find the knowledge of the changes of physiochemicals associated with fruit quality, antioxidant properties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during fruit ripening. The highest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100{\mu}g/ml$) and reducing power (at $100{\mu}g/ml$) in A. arguta fruit were 78.57% and 0.22, respectively. Total phenolic content and vitamin C content in fruit of 10 days after fruit set were $639.48{\mu}g/g$ and $1052.2{\mu}g/g$, respectively. In general,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related parameters, including total phenolic content and vitamin C content decreased during fruit ripening. These results improve knowledge of the effect of ripen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related compounds contents that could help to establish the optimum A. arguta fruit harvest data for various usages.

Changes of Antioxidant Capacity,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Contents During Rubus coreanus Fruit Ripening

  • Park, Young-Ki;Kim, Sea-Hyun;Choi, Sun-Ha;Han, Jin-Gyu;Chung, Hun-Gw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251-256
    • /
    • 2008
  •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of Rubus coreanus fruit of 3 clones (S13, S114, and S16), which were selected from different sites, were studied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Antioxidant activities (t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were determined and their relationships to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scorbic acid were analyzed. The highest t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3 clones (S13, S14, and S16) were 79.39, 75.80, and 81.16% at $125\;{\mu}g/mL$, respectively. In general,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related parameters, including total phenolic content and vitamin C content decreased during fruit ripening.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R. coreanus fruits (S13, S14, and S16) were correlated with t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2=0.8114$, 0.9186, and 0.9714). These results improve knowledge of the effect of ripen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related compounds contents that could help to establish the optimum R. coreanus fruit harvest data for various usages.

약용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검색과 폴리페놀 함량 (Antimicrobial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 문지숙;김선재;박윤미;황인식;김의형;박정욱;박인배;김상욱;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7-213
    • /
    • 2004
  •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생약재 32종을 대상으로 천연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메탄올로 추출한 항균활성 물질을 몇 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젖산균 및 효모 등 12종의 균주 B. subtilis, M. luteus, Sta aureus, Sta. epidermidis, Strep. mutans, E. coli, Pse. aeruginosa, Sal. typhimurium, V. vulnificus, Lac. brevis, Leu. mesenteroides, Sacch. cerevisiae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색하였으며, 항균력이 강한 생약재 추출물은 최소저해농도(MIC)를 측정하였다. 검색한 결과 계피, 목단, 적양, 정향, 팔각향 등의 메탄올 추출물은 12균주 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낮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B. subtilis에 대해 강한 증식억제효과를 보였고, Sta. epidermidis나 Pse. aeruginosa에 대해서도 거의 모든 추출물이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항균활성 측정시 거의 저해가 없었던 Lue. mesenteroides도 대부분의 추출물에서 억제 효과를 나타내 항균성과는 약간 다른 결과를 보였다. 생약재 중 강한 항균력을 보인 녹차, 정향, 적양, 인진호 등은 폴리페놀 함량이 약 7 mg/g 이상으로 높아 이들 페놀성 물질들이 항균활성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여러 미생물에 의해 변패될 수 있는 식품에서 천연보존료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Cytoprotective Constituents of Alpinia katsumadai Seeds Against Glutamate-Induced Oxidative Injury in HT22 Cells

  • Jeong, Gil-Saeng;Li, Bin;Lee, Dong-Sung;Byun, Erisa;Kang, Dae-Gill;Lee, Ho-Sub;Kim, Youn-Chul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3호
    • /
    • pp.268-271
    • /
    • 2007
  • Glutamate-induced oxidative injury contributes to neuronal degeneration in many central nervous system (CNS) diseases, such as epilepsy and ischemia.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the MeOH extract of the seeds of Alpinia katsumadai Hayata (Zingiberaceae) furnished three phenolic compounds, alpinetin (1), pinocembrin (2), and (+)-catechin (3). Compounds 2 and 3 showed the potent neuroprotective effects on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in the mouse hippocampal HT22 cells. In addition, Compounds 2 and 3 showed significan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ounds 2 and 3 could be the effective candidates for the treatment of ROS-related neurological diseases.

동송근(Pinus densiflora root) 추출물의 미용식품활성 (Beauty food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inus densiflora root)

  • 이은호;박기태;박혜진;조재범;이재은;임수빈;김예진;안동현;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19-124
    • /
    • 2017
  • 소나무 뿌리(동송근)로부터 phenolic compounds를 추출 후 미용식품활성을 검정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동송근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ethanol 추출물이 92%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ethanol 추출물이 각각 61, 78%의 높은 저해력을 나타내어 주름개선효과가 높았다. 수렴효과는 $50{\mu}g/mL$ phenolics의 저농도 ethanol 추출물에서 82%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염증억제효과를 나타내는 hyaluronid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100-200{\mu}g/mL$ phenolic 농도의 ethanol 추출물에서 74-94%의 매우 높은 염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동송근 추출물이 미용식품활성 또는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Miq.)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aryopteris incana Miq.)

  • 이재은;이은호;김병오;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1호
    • /
    • pp.61-68
    • /
    • 2017
  • 본 연구에서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Miq.)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 활성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층꽃나무의 생리활성은 고형분 함량보다 첨가된 tota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후 모든 실험은 층꽃나무로부터 추출한 물과 80 % ethanol 추출물의 total phenolic compounds 함량을 조절하여 실시하였다. 층꽃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를 측정하였다. $200{\mu}g/mL$의 농도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로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각각 84, 92 %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ABTS radical 소거능은 물과 ethanol 추출물 둘 다 약 99 %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PF를 측정한 결과 물과 ethanol 추출물이 각각 1.56, 1.67 PF 값을 나타내었고, TBARs는 각각 62, 82 %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주름개선 및 피부미백 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200{\mu}g/mL$의 농도에서 80 % ethanol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눈에 띄게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주름개선과 연관된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활성은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58, 89 %로 측정되었다. 피부미백과 연관된 tyrosinase의 저해활성은 ethanol 추출물에서 13 %로 측정되었고, 수렴효과는 50 %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층꽃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주름개선 및 미백효과가 우수하므로 기능성 화장품 원료의 새로운 자원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