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 usag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North Korean Research Institutes for Plant Resource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ir Agricultural Usage

  • Lim, Sang-Cheol;Kim, Wan-Seo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50-553
    • /
    • 2010
  • The representative research institutes in North Korea are the Academy of Science and the laboratories of major universities.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consists of headquarters, Academy of Medicinal Science, Academy of Forestry Science, and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Under the authority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Central Information Agency for Science and Technology (CIAST) has built up a database system integrating all the science technology data to provid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The major universities of North Korea include Kim Il-sung University, Kim Chaek University of Technology, Pyongyang Agricultural College, and Wonsan Agricultural College, and an agricultural college is situated in each province. Out of 3,860 plant species in North Korea, 158 species which amounts to approximately 4% of the total are rare and endangered, and deforestation is under a critical situation. The Oriental Medicine (Koryo Medicine) has been well developed using medicinal plants, and practical researches on biotic pesticide are largely conducted as an alternative to tackle the shortage of farming materials. Hereafter, a South-North joint research on the amount of plant resources and the methods of its conservation is needed and the North Korean research areas of biotic pesticide are worth adopting to the South Korean eco-friendly organic agriculture.

일부 경주지역 농민의 농약사용실태 및 농약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 조사 (A Survey on the Pesticide Use and Perceptions about the Hazards of Pesticiedes among the Farmers in Kyoungju Area, Korea)

  • 이경무;정문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0-79
    • /
    • 2000
  • This study was done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status of the use and perceptions of pesticides among the farmers who spray them in person. And it was also done to provide the basic statistics for the Agricultural Health Policy and study. Over the part of agricultural area in Kyungju and Ulsan City, Korea, from July to September 1999, 103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561 of them were collected and 447 were analysed.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ve special location for pesticides storage was only 5.3%, and that of those who lock hte storage location was only 13.6%. As to the treatment of bottles after use, most common response was 'burn in home'(47.7%). Most farmers purchase pesticides through 'pesticide store' or 'Agricultural Cooperatives'. The knowledge and Usage of pesticides depends in large part on experiences. The farmers who cultivate orchard spray pesticides more frequently than those cultivate paddy rice mainly. Most common pesticides in use are oganophosphates and carbamates. And also the pesticides that contains so-called 'Environmental Hormone' are used. The perception about the hazards of pesticides is rather superficial and insufficient. 'Herbicide(Gramoxon·Paraco)'(38%) is accepted as the most hazardous by farmers.

  • PDF

우리나라 골프장의 농약사용 실태 및 관리방안 (Status and Management Strategy of Pesticide Use in Golf Courses in Korea)

  • 김동진;윤정기;유지영;김수정;양재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3호
    • /
    • pp.267-277
    • /
    • 2014
  • 골프장에서 제초와 병해충방제를 위해 농약의 사용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농약은 적절하게 관리되지 않을 경우 주변 환경과 생태계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골프장의 농약사용에 관한 구체적인 통계나 체계적 관리방안이 없는 실정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골프장에서 사용되는 농약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국가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해 조사하였다. 골프의 대중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골프장은 급격히 증가하여 2011년 말 기준으로 421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면적으로 $379.53km^2$이다. 이와 더불어 농약사용량도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11년에는 216품목의 농약이 성분량 기준으로 총 118,669.4 kg이었고, 살균제(54.9%) > 살충제(24.4%) > 제초제(13.3%) > 생장조정제(0.1%) 순이었다. 2011년 골프장별 평균 농약사용량은 성분량으로 280.9 kg이였으며, 단위면적당 평균 농약사용량은 $5.4kg\;ha^{-1}$이였으나 이는 일반 농경지에서의 사용량의 50%에 해당되는 것이다. 골프장별 사용량은 $0.0-21.9kg\;ha^{-1}$ 범위로 편차가 매우 컸다. 골프장내 잔류농약성분의 검출빈도는 green > fairway, 잔디 > 토양 순이었다. 과거에는 일부 골프장에서 고독성농약을 사용하거나 검출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사용하지도 않으며 검출되지도 않았다. 골프장의 농약사용의 실태를 파악하고 농약에 따른 환경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환경부에서는 2010년 초에 '골프장 농약 사용실태 관리시스템'(환경부 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해 골프장에서의 농약사용 모니터링과 잔류 농약 검사에 관한 선진화된 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농약 잔류량 검사는 토양, 잔디 및 유출수 시료에 대해 실시하고 있고 검사시료는 골프장의 규모에 따라 결정할 수 있도록 정하였다. 우리나라는 골프장의 농약사용에 관련된 업무를 여러 부처에서 담당하다가 2009년부터 환경부로 일원화하여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법령과 행정규칙 등이 체계적으로 정비되지 않은 상태이다. 골프장에서의 농약사용과 관리 및 주변 생태계와 인간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별 골프장에 적합한 지역특이적 최적 관리방안(site-specific best management practices)이 우선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위해서는 위해성평가의 도입이 우선적으로 이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골프장의 농약사용 및 농약잔류량 검사,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기초연구, 환경오염 저감기술 등 관련 인프라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정부에서는 관련제도를 정비하고, 개선 발전시켜 골프장에 의한 환경피해를 최소화하여 골프장이 친환경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농약물질 중 살충제 관련 농업 종사자들의 직무 -노출 매트릭스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 조사 연구 (I) : 수도작 (Fundamental Research for Establishing a Job-Exposure Matrix (JEM) for Farmers Related to Insecticides (I): Rice Cultivation)

  • 김기연;조만수;이상길;강동묵;김종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9-64
    • /
    • 2014
  • Objectives: The principal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domestic usage amounts of insecticide in rice cultivation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ing a job-exposure matrix(JEM) related to farmers working with agricultural insecticides. Materials and Methods: An investigation of domestic usage amounts of insecticides rice cultivation was performed through two methods. The first method utilized information on agricultural pesticides published annually by the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KCPA). The second method made use of area of cultivation of rice as officially determined by Statistics Korea(SK). An estimation of domestic usage of insecticides in rice cultivation through the second method was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total cultivation area of rice($m^2$) by the optimal spray volume of insecticides for rice cultivation per unit of cultivation area($kg/m^2$).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ublic data regarding insecticides in rice cultivation, it was found that the domestic usage amount has decreased sharply from the first year of market sales(1969) to the final data year(2012).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he annual usage trend of insecticides in rice cultivation between shipment and estimation. Also, the annual usage trends of insecticides in rice cultivation based on regional classification were nearly similar to those based on the overall aspect. Conclusions: The region which used the largest volume of insecticide in rice cultivation in Korea was the Jeolla Provinces, followed by the Gyeonsang Provinces, the Chungcheong Provinces, Seoul/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Jeju Province. Substantially, the mean ratio of usage amounts of insecticide based on shipments and those based on estimation by cultivation area was $96{\pm}29%$, which indicates that the domestic usage amount of insecticide for rice cultivation corresponded to the optimal spray standard per unit area.

침투이행성 농약의 토양처리 후 토마토잎에서의 잔류에 의한 꿀벌 독성 (Honeybee Toxicity by Residues on Tomato Foliage of Systemic Insecticides Applied to the Soil)

  • 배철한;조경원;김연식;박현주;신관섭;박연기;이규승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8-184
    • /
    • 2013
  • 꿀벌에 대한 급성독성이 강한 침투이행성 농약을 대상으로 토양처리 후 흡수이행에 의해 나타나는 꿀벌(Apis mellifera)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고자 꿀벌 엽상잔류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침투이행성 농약인 dinotefuran 입제와 imidacloprid 입제 그리고 clothianidin 입제를 토마토 정식시 3가지 처리량으로 토양에 파구처리를 하였다. 처리 후 경과시간에 따라 잎을 채취하여 잎에서의 잔류농도를 분석하였고 꿀벌에 노출시켜 꿀벌치사율을 조사하였다. Dinotefuran 입제 처리구의 꿀벌 독성은 7일 이후 꿀벌치사율이 100%로 나타났고 17일 이후 감소하였다. Imidacloprid 입제의 경우 꿀벌 최대치사율이 44~72%로 낮았으나 그 영향은 18일까지 지속된 후 감소하였고 clothianidin 입제는 처리 후 7일에 꿀벌치사율이 100%이었으며 14일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시험농약 처리 후 경과시간에 따른 잎의 잔류 경향성과 각 시험농약에서 꿀벌의 치사율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으며, 토마토의 생장이 활발한 14일 이후에는 토마토 잎에서의 잔류량이 점차 감소하였고, 실제 사용량 처리시 21일 이후에는 엽상잔류에 의한 꿀벌의 영향도 확연하게 감소하였다.

대기중 난분해성 유기염소계 농약의 계절별 농도변화 (Seasonal Variations in the Concentration of Persistent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Atmosphere)

  • 정예표;최민규;여현구;천만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9-85
    • /
    • 2001
  • 경기도 안성시 한경대학교에서 1999년 7월부터 11월까지 2주간격으로 대기중 OCPs를 측정하였다. 현재도 사용중인 것으로 보고된 endosulfan I과 II의 농도가 오래 전에 사용 금지된 다른 OCPs와 대사물질의 농도보다 훨씬 높았다. 그리고 모화합물인 heptachlor보다는 대사물질인 heptachlor epoxide가 더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것은 이 성분이 사용된 지 상당히 되었지만, 환경중에서 독성이 강한 대사물질로 전환되어 잔류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모든 OCPs는 가을보다 여름에 높은 농도를 보였다. 온도가 높은 여름에 air-surface exchange과 관련된 휘발작용으로 농도가 높아지고 온도가 낮은 가을에 농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endosulfan I과 II는 온도의 영향뿐만 아니라 사용량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친환경유기농자재에 대한 농업인의 사용실태 및 인식도 조사 (A Survey on the Use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Materials among Korean Farmers)

  • 백민경;박성은;김봉회;김용기;오진아;김두호;이제봉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1-4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사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사용실태, 부작용 경험 및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친환경유기농업에 종사하는 농업인이 친환경농업에 참여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안전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안전성에 대해 보통이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재배면적이 많은 농업인이 재배면적이 작은 농업인에 비해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더 낮았다. 친환경유기농업 인증을 받은 응답자의 23.6%와 인증을 받지 않은 응답자의 33.8%가 부작용을 경험함으로써 친환경유기농업 인증을 받은 농업인의 부작용 경험 비율이 낮았다. 친환경유기농자재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의 종류는 주로 '눈가려움', '손발가려움', '피곤함'으로 나타났으며, 부작용을 경험한 사람($3.79{\pm}1.15$)이 경험하지 않은 사람($4.15{\pm}0.86$)에 비해서 사용방법을 준수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남에 따라 부작용의 발생 여부는 포장지에 기재된 사용방법 준수 행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해서 정책 및 교육부문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정밀한 의견 수렴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거창지역 사과원 농약사용 실태분석 (Analysis of Pesticide Applications on Apple Orchards in Geochang, Korea)

  • 장일;김향미;이순원;최경희;서상재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3-100
    • /
    • 2015
  • 거창지역에서 사과재배 50농가를 대상으로 2012년부터 2013년까지 2년간 사용농약 및 사용량, 선택방법, 살포실태 등을 분석한 결과, 연간 살균제는 $13.9{\pm}3.5$회, 살충제 $12.6{\pm}3.2$회, 살비제 $2.6{\pm}1.3$회를 살포하였으며, 살균제는 갈색무늬병, 탄저병, 점무늬낙엽병, 살충제는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응애류 등을 방제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었다. 농약판매상은 병해충의 발생을 현장에서 직접 파악하지 않고 농약을 판매하였으며, 적용작물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농약을 판매하는 경우도 있었다. 대부분의 농민들은 농약을 스스로 선택하지 못하는 등 판매상에 대한 의존도가 82.5%로 매우 높았다. 병해충종합관리(IPM)체계와 관련하여 거창지역의 사과원에서 살포되는 살균제, 살충제, 살비제의 성분조사를 통해 실질적으로 빈번하게 살포되는 농약을 분석하고, FAO의 권장기준에 부합하는지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약제가 권장기준에 부합하였다.

밀의 제분에 따른 밀가루 중 농약 가공계수 산출 연구 (Studies for the Processing Factors of Pesticides during the Milling of Wheat Grain)

  • 박소영;박건상;임무혁;최훈;장문익;권찬혁;김선구;이효구;홍무기;심재한;김정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0-78
    • /
    • 2009
  • 밀가루의 농약잔류허용기준설정에 필수자료인 밀의 제분공정에 따른 농약의 가공계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번 연구를 위해 밀에 대한 농약 연간사용량과 검출이력이 있는 azinphos-methyl, chlorpyrifus,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 malathion, trichlorfon를 대상농약으로 선정하였다. 밀에 이들 농약을 밀의 잔류허용기준 수준 정도로 침투시키기 위하여 농약을 첨가된 침지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제분은 pilot plant system에서 수행하였다. 가공계수는 가공 전 밀과 가공 후의 밀가루 및 부산물의 농약잔류량을 분석하여 각 농약 잔류량을 나누어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밀가루의 가공계수는 각각 azinphos-methyl 0.05, chlorpyrifos 0.06, chlorpyrifos-methyl 0.05, fenitrothion 0.07, malathion 0.07, trichlorfon 0.06이었다. 또한, 분석법 검증을 위해 회수율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회수율은 $93.2{\sim}98.6%$, 표준편차는 $0.1{\sim}0.9%$이었다.

국내 농약 제품표지 내용 및 유독성 표시의 적절성 (Appropriateness of Labelling Practice for Pesticides in Korea)

  • 오범진;노형근;김원;조규종;손유동;강희동;임경수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1-78
    • /
    • 2005
  • Purpose: The morbidity of pesticides are largely related with accidental ingestion in human. The four principal ideals of clarity, completeness, conformity and consistency of label are important to make a correct usage and prevent unnecessary health risk.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pesticides labelling practice in Korea. Methods: The photographic label images of pesticide products were gathered through visiting thirteen manufacturers that produce pesticide products in Korea. We scored labelling practice by guidelines o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in 1995. Results: From August 2005 to November 2005, we gathered 1,296 label images of pesticide and $58.3{\%}$ (755/1,296) of images were scored by check lists for reviewing label content. The average score of four check list categories was $71.9{\pm}2.2$. Each categorical score were $91.7{\pm}0.9$ for the information appearing on the label, $31.3{\pm}0.0$ for safety precaution, $77.7{\pm}2.0$ for instructions for use, $87.0{\pm}8.7$ for general configurations. In safety precaution, the sentence of keeping locked up the product and two mandatory safety pictograms were missed in all label images. In general configurations category, there was score difference in product package types between bottle and bag container ($85.1{\pm}9.0$ vs. $90.3{\pm}7.2$, p < 0.01). Conclusion: Although there was no comparable previous data, the score of safety precaution was lowest than other categories because the two mandatory safety pictograms and locked up warning sentence were missed. In general configurations, the colour contrast was more inappropriate in the labels on bottle than bag contain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