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초

웨딩플래너 선택속성에 관한 에스노그라피적 연구 (Ethnographic study of the selection attributes for wedding planner)

  • 김하정;유지헌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2호
    • /
    • pp.217-232
    • /
    • 2018
  • As the types of wedding ceremonies become diversified, and consumers' needs become more selective, greater importance is given to wedding planners' roles in the wedding industry, and consumers require differentiated types of wedding service. As a preliminary qualitative study in this field, an ethnographic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valued by consumers when selecting a wedding planner in the wedding planner market, which has rapidly grown in recent years. An in-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with eight participants in terms of wedding planner utilization type and consumers' understanding of wedding preparation with a wedding plann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axonomy, component analysis and decision table analysis; for validation, professional wedding planners were asked to review the items valued by consumers in selecting a wedding planner. Four factors - expense characteristic, wedding planners, wedding consulting companies, and customer characteristics - were identified, along with eight sub-factors (capability, service attitude, technical communication, personal factors, wedding planner encounter paths, spouse's satisfaction status, and companies). Out of these, price (within budget), wedding planners' capability, wedding planners' service attitude are expected to be meaningful in further research because they were found to be attributes commonly valued by every respond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made a new approach to understanding wedding planner selection attributes through ethnographic research and identified new wedding planner selection attributes.

예술영재의 개인 및 환경적 특성 탐색 : 음악, 미술, 무용영재를 중심으로 (A Study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 of Gifted Students in Arts)

  • 이현주;이미나;이화선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47-570
    • /
    • 2010
  • 본 연구는 예술영역(음악, 미술, 무용)에서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은 예술영재들의 개인적 특성 및 환경적 특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개인적 특성 및 환경적 특성의 탐색을 위해 59명의 한국예술영재교육원 학생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별 특성과 관련해서는 예술영재의 재능 특성과 예술적 재능이 발현되는 과정 및 예술적 성장 요인에 있어서 분야별 차이가 나타났다. 환경적 특성을 살펴보면, 부모들은 적극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예술에 대한 관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에 있어서는 공교육 차원보다는 사교육차원의 교육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과 무용분야의 교육비용이 미술분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술영역에서의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예술영재에 대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차후 우리나라 예술영재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수산해양관광 관련 웹사이트의 정보탐색 특성과 상대적 중요도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Exploration Characteristic and Relative Importance Evaluation of Island Tourism Web Site)

  • 이동호
    • 수산경영론집
    • /
    • 제41권2호
    • /
    • pp.81-106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exploration characteristic and relative importance evaluation of island tourism web site. The survey items are developed based on the related studies and also implemented particular way so-called 'semi-online' that including both web based material and offline tutorial.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ve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exploration on island tourism of university students. The second is examining the peculiar properties of tourism information that exposed one's individual importance eval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most of the students have no difficulty in using the internet and exploring the island tourism information.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sing and exploring the interne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most popular type of island tourism information is picture type. Personal blog or user created contents(UCC) that containing the other's experience of island tourism is mostly wanted contents.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rtance of contents within the students. The community based information which including UCC, blog, and other community user's posting is evaluated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for relatively less experienced students. On the other hand more experienced students have a preference on expertise information which created by tourism experts. The difference within the determinant factors that affecting island tourism also significant. With analysis of variance(ANOVA) on determinant factors, the tourism activity and social/culture resource are less important than others(eg. natural environment, accommodation and so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practically used for implementing the local government's effective tourism web site and enhancing the current island tourism operation. And also it gives a advantage to facilitate the island tourism for young generations.

지능형 개인비서(IPA)의 사용의도에 관한 통합모형 (An Integrated Model of the Intention to Use th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IPA))

  • 김찬우;서창교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135-156
    • /
    • 2017
  • 지능형 개인비서(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IPA)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실제 이해가 기대보다 낮고 아직은 사용량이 많지 않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능형 개인비서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과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과 정보시스템 성공모형(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을 기반으로, 지능형 개인비서의 기능특성을 포함하는 통합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통합모형의 가설검증을 위해 지능형 개인비서를 실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203부의 설문 데이터를 PLS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혁신확산이론에서 도출된 IPA 혁신특성(상대적 이점, 적합성, 관찰 가능성)은 모두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통해 도출된 IPA 품질특성(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중 정보 품질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IPA 기능특성(지각된 지능, 지각된 개인화) 중 지각된 지능 또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지능형 개인비서의 사용의도를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는 연구결과로 정리하였다.

의류쇼핑동기에 따른 소비자 특성에 관한 연구 -과시소비성향과 의복구매행동을 중심으로- (A Characteristic of Consumer Groups Classified by Clothing Shopping Motives)

  • 이승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242-125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hopping motive factors of clothing and to classify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motives, and also to analyz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among consumer groups. The subjects were 329 women in their twenties living in Seoul. For data analysis, mean,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hi$$^2$-test, ANOVA, Duncan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ree factors of clothing shopping motives were identified: fashion/leisure pursuit, economic, and personal motive. Consumer groups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subdivisions: personalizing group, apathetic group, fashion/leisure pursuit group, economic group. 2. Among consumer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ge, occupation of the subjects. 3. Among consumer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picuous consumptions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brand intention, status symbol intention. 4. Among consumer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othing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use of information sources. Regardless of clothing shopping motives, consumer preferred department stores in purchasing formal dress, and preferred haberdashery.bonded store in purchasing casual wear.

  • PDF

친환경 화장품 잡지 광고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agazine Advertisement in Eco-friendly Cosmetics)

  • 김명리;제기연;이경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1호
    • /
    • pp.150-162
    • /
    • 2011
  • Personal health and environment is being aimed recently to show increase in preferences of eco-friendly cosmetics with longing of clean nature, and environment on pure plant ingredients.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inquiring components and types of magazine advertisement in eco-friendly cosmetics and to analyze the model characteristics. The standards of analysis were classified as product, face, background, article, arrangement of colors, image, and eco-friendly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n inquir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agazine advertisement in eco-friendly cosmetics, the results were shown as the order of attention on product, face, background, article, arrangement of colors, image and eco-friendly factors. Second, in inquiring the components and types of magazine advertisement in eco-friendly cosmetics, the results showed an attentive difference in product, face, background, article, arrangement of colors and eco-friendly factors. Third, in inquiring relationships of model characteristic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eco-friendly cosmetics, the results showed lots of domestic cosmetics advertising direct advertising, product type emerged was a lot of character type emerged. International cosmetics advertising, indirect advertising and highlighting the many articles that appeared prominently type is characterized.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수산식품 구매요인 우선순위 분석: AHP 기법을 활용하여 (Priority Analysis for Consumers' Purchasing Factors of Seafood Online Using AHP Method)

  • 정현기;기해경;박세현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449-461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factors consumers prioritize when purchasing seafood online. The originality of the study lies on adopting AHP-based approach in analyzing prioritized purchasing factors of seafood online. Design/methodology/approach -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Korean consumers who have purchased seafood online. AHP method was applied to rank factors consumers prioritize before making decision. Findings - First, product's factor ranked first among other high level factors including delivery service, seller, online platform. Second, sanitation, taste, country of origin ranked first, second, third respectively, within product's factors. Third, safe delivery, timeliness, information accuracy ranked first, second, third respectively, within delivery factors. Fourth, consumer reviews, consumer response ability, promotion ranked first, second, third within seller factors. Fifth,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redibility, user-friendliness ranked first, second, third, within online platform factor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o activate seafood online market, it is crucial to assure consumers that the seafood is well managed in a sanitary way from the production site to table. Existing government programs such as seafood traceability system, HACCP, and cold-chain infrastructure needs improvement. Due to highly perishable characteristic of seafood, delivery factors matter when purchasing online. Online platforms needs to continue to improve delivery service. Seafood products are mostly not branded and without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ir properties. Creating quality classification and seafood brands are likely to help consumers chose seafood online.

초등수학영재 및 일반학생의 인지적 조합요인과 리더십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Co-cognitive Factors and Leadership of Elementar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이정임;류성림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7-358
    • /
    • 2012
  • 본 연구는 영재 행동을 도와주는 근원으로 개인의 정의적이고 성격적인 특성인 인지적 조합요인과 리더십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으로서 연구대상은 초등수학영재 77명과 초등일반학생 110명이다. 연구 결과, 초등수학영재가 인지적 조합요인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일반학생보다 수준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은 리더십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며, 모든 하위 영역에서 영재의 리더십 수준이 높았다. 인지적 조합요인과 리더십의 관계에 있어서는 영재 및 일반학생 두 집단 모두에게 있어 인지적 조합요인의 하위 영역과 리더십 하위 영역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인지적 조합요인은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인지적 조합요인을 계발하면 리더십 또한 계발될 것이다. 따라서 리더십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인지적 조합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통제수용자에 의해 인지된 정보보안정책 특성요인이 보안스트레스와 보안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 of Information Security Stress and Behavioral Intention for Characteristic factors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Perceived by Employee)

  • 임광수;권헌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43-253
    • /
    • 2016
  • 기업들은 중요한 지적 자산을 보호하고, 개인정보 유출과 같은 보안 사고를 예방을 위하여, 사내 보안 활동을 강화 하고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한 구성원들의 보안스트레스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내부자에 의한 보안사고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리고 기업 내 다양한 정보보안 상황과 활동에 따라 통제수용자가 실제 인지하는 보안 스트레스 강도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행동결정을 설명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는 합리적 행동이론, 계획된 행동이론, 일반 억제이론 등을 정보보안 분야에 접목한 기존 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기업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보안정책 및 보안활동으로부터 인지된 조직 구성원의 보안정책 특성요인을 탐색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이러한 특성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이들 변수들과 조직 구성원이 체감하는 보안스트레스와의 인과관계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설명하고, 궁극적으로는 통제수용자의 인지된 보안스트레스가 통제수용자의 보안준수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설명하고자 금융회사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고자 한다.

e-Finance의 확산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usion Factor of e-finance)

  • 김민호;송채헌;송선옥;차순권
    • 통상정보연구
    • /
    • 제4권2호
    • /
    • pp.253-277
    • /
    • 2002
  • 현재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물리적인 거래 패러다임을 전자방식으로 확대시키는 극적인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금융서비스는 거래당사자간 대부분의 금융거래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자거래의 확대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금융기관들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금융기관들은 정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e-Finance 시스템을 도입하여 인터넷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측면에서 인터넷을 이용한 e-Finance의 이용 실태와 확산요인을 분석함으로써 e-Finance 고객서비스의 질적인 향상과 신속한 확산 그리고 올바른 전략 수립에 기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문헌 검토와 요인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해 e-Finance 자체에 대한 지각된 효율성과 지각된 신뢰 및 안전성, e-Finance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 기술적 요소, 고객서비스 품질 그리고 개인특성에 있어 혁신성향 등 6가지를 확산요인으로 채택한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가설 검증 결과에 따르면, e-Finance시스템에 있어서 기술적 요소와 고객서비스 품질 그리고 개인 특성에 있어 혁신성향은 e-Finance의 확산여부에 각각 유의수준 0.05와 0.01%에서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e-Finance 자체에 대한 지각된 효율성과 지각된 신뢰 및 안전성은 이의 확산여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Finance 시스템과 관련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는 통계적으로 이의 확산에 유의적이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이용자 측면에서 e-Finance 확산요인에 관해 실증적 연구를 하는데 기본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고, 이에 대한 기업이나 정부의 정책 수립 또는 구현과 금융기관의 고객서비스 품질정도 결정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만족요인과 이의 e-Finance에 대한 영향을 다루지 못했다는 점과 국내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 그리고 다중희귀분석을 실시하지 못했다는 점 등 몇 가지 한계를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