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stence

검색결과 953건 처리시간 0.034초

온라인 대학원 학습자의 학업 스트레스, LMS 활용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LMS Utilization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n Academic Persistence among Online Graduate Students)

  • 이다예;김영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44-151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utilization satisfaction of learners attending online graduate schools and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academic persist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students of K online graduate school and the data of 143 students, in total,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May in 2019.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x2 test,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 23. Results: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LMS utilization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academic persistence of online graduate student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persistence showed that the model was significant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3% and tha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it were academic stress (β=-.23, p=.002), LMS utilization satisfaction (β=.31, p<.001) and jobs (β=.23, p=.002). Conclusion: Although the online graduate students' level of academic persistence was high, it is required to develop strategies to alleviate their academic stress and increase LMS utilization rate in order to increase their persistence to academic succ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foundation on which the utilization of major knowledge regarding jobs can be enhanc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graduate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tension of professional and advanced education in response to social needs by developing a variety of online high education learning systems beyond time and space.

재난적 의료비 발생과 재발생이 빈곤화와 빈곤지속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ccurrence and Reoccurren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ransition to Poverty and Persistence of Poverty in South Korea)

  • 김은경;권순만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2-184
    • /
    • 2016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ccurrence and reoccurrence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HE) on transition to poverty and persistence of poverty in South Korea. Methods: The data of the year 2008-2011 from the Korea Health Panel were used. CHE was defined as the share of total health expenditure in a household out of a household's total income at various threshold levels (more than 5%, 10%, 15%, and 20%). The effect of catastrophic expenditure on transition to poverty and persistence of poverty was analyzed through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shares of households facing CHE at various threshold levels have increased gradually with 37.7%, 21%, 13.1%, and 9.5% in 2011. Households facing CHE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transition to poverty at thresholds level of more than 5% and 20% in 2010 set. Households facing CHE seemed to experience persistence of povert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ut 40% of households facing CHE in 2009 encountered another shock of CHE in 2010. Households without CHE seemed to experience more transition to poverty and persistence of povert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household with multiple CHE, those with medical aid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transition to povert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disappeared in case of persistence of poverty. Conclusion: The Korean health system needs to be improved to serve as a social security net for addressing transition to poverty and persistence of poverty due to facing CHE.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빈곤화 및 빈곤 지속에 미치는 영향: 복지패널 2007-2012년 자료 분석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Transition to and Persistence of Poverty in South Korea: Analysi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2007-2012)

  • 송은철;신영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2-253
    • /
    • 2014
  • Background: The low benefit coverage rate of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causes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an be the cause of the transition to and persistence of pover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transition to and persistence of poverty, using 6 year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the 22,528 households that participated in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07-2012.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defined as equal to or exceeds thresholds (10%, 20%, 30%, and 40%) of household's capacity to pay.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transition to and persistence of poverty was ascertained vi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Four-point-seven percent to 20.6% of the households are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Rates of the transition to (relative risk [RR], 18.6 to 30.2) and persistence of (RR, 74.8 to 76.0) poverty of households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higher than households not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Even after adjus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and the household hea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found to affect transition to (odds ratio [OR], 2.11 to 3.04) and persistence of (OR, 1.53 to 1.70) poverty. Conclusion: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transition to and persistence of poverty resulting from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e reinforcement of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including the benefit coverage enhancement is required.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집단지성,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bility, Collective Intellige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of the College Classroom)

  • 송윤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20-12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 변인으로 감성지능, 학습과정 변인으로 의사소통능력과 집단지성, 학습성과 변인으로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선정하여 각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수도권 소재 A대학교 3,47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성지능은 의사소통능력, 집단지성,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의사소통능력은 집단지성과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집단지성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 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협력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교양체육수업의 만족이 대학생활만족도 및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융합적 분석 (The Converged Analysis of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on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 박재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57-26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양체육수업의 만족도가 대학생활만족도 및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업지속의도를 높이는 효과적 대학정책 수립에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교양체육수업에 참여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185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체육수업의 만족도는 대학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만족도는 학업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체육수업만족도는 학업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체육수업만족도는 대학생활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학업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상황 속 대학의 동시적·비동시적 원격수업 촉진요인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Facilitating Factors Affecting Learning Persistence in Synchronous & Asynchronous Emergency Remote Teaching In University Pandemic Situations)

  • 이대영;박성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75-186
    • /
    • 2022
  • 정부는 감염병 사태를 극복하고 이로 인한 학습공백을 메우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제언과 관련 법령을 정비하는 등 원격수업 혁신 의지를 내비쳤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고자 이 연구는 원격수업의 유형을 구분하고, 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원격수업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K대학교 569명의 학습자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결과는 빈도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검정,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통계분석 처리되어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동시적 원격수업의 학습지속의향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지각된 유용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해당 수업에 대한 적절한 교수전략 탐색, 안정적인 인프라 구축과 같은 다양한 전략을 안배하여 학습자의 인식을 개선시켜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비동시적 원격수업의 학습지속의향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지각된 유용성, 사회실재감, 시스템품질이 도출되었다. 그러므로 해당 수업에 대한 유용성 인식개선뿐만 아니라, 원만한 상호작용과 적시 피드백, 강의 품질관리가 수반되어야 학습자의 학습지속의향이 촉진될 것이다.

Risk factors for prostate-specific antigen persistence in pT3aN0 prostate cancer after robot-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a retrospective study

  • Jun Seop Kim;Jae Hoon Chung;Wan Song;Minyong Kang;Hyun Hwan Sung;Hwang Gyun Jeon;Byong Change Jeong;Seong Il Seo;Hyun Moo Lee;Seong Soo Je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4호
    • /
    • pp.412-418
    • /
    • 2023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persistence in pathological stage T3aN0 prostate cancer (PCa) after robot-assisted laparoscopic radical prostatectomy (RALP).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326 patients with pT3aN0 PCa who underwent RALP between March 2020 and February 2022. PSA persistence was defined as nadir PSA of >0.1 ng/mL after RALP, and the risk factors for PSA persistence were evalu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mong 326 patients, 61 (18.71%) had PSA persistence and 265 (81.29%) had PSA of <0.1 ng/mL after RALP (successful radical prostatectomy [RP] group). In the PSA persistence group, 51 patients (83.61%) received adjuvant treatment. Biochemical recurrence occurred in 27 patients (10.19%) in the successful RP group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15.22 month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factors for PSA persistence were large prostate volume (hazard ratio [HR], 1.01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02-1.036; p=0.046), lymphovascular invasion (LVI) (HR, 2.605; 95% CI, 1.022-6.643; p=0.045), and surgical margin involvement (HR, 2.220; 95% CI, 1.110-4.438; p=0.024). Conclusion: Adjuvant treatment may be needed for improved prognosis in patients with pT3aN0 PCa after RALP with a large prostate size, LVI, or surgical margin involvement.

한국 기업의 기술혁신 지속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innovation persistence of Korean firms)

  • 송창현;이정우;장필성
    • 기술혁신연구
    • /
    • 제29권3호
    • /
    • pp.1-31
    • /
    • 2021
  • 기업의 경쟁우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서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혁신의 지속 여부 또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혁신 지속(innovation persistence)은 기업의 혁신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혁신 연구에 사용되는 자료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횡단면 조사로 수행됨에 따라 종단적인 지속 현상을 다룬 연구는 드문 편이며, 특히 국내의 혁신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혁신 지속 현상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기업의 혁신 지속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는 한편,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혁신 지속 현황 및 특성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2년부터 2018년까지 격년으로 수행된 한국기업혁신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복수관측된 3,379개 기업에 대한 불균형 패널자료를 구성하였다. 기술혁신의 지속 현상을 살펴본 결과, 지속적인 혁신이 관측되는 기업은 전체 중 일부(혁신성과에서는 10~12%, 혁신활동에서는 15~17%)에 불과하였으며, 오히려 비혁신의 지속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약 52~57%). 또한 혁신성과보다는 혁신활동의 지속 현상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제품혁신이 공정혁신보다, 내부 R&D가 공동/외부 R&D보다 지속성이 높게 나타나는 등 세부 유형에 따른 지속 현상의 특징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혁신 지속의 영향요인 식별을 위해 추가적으로 로짓분석을 수행한 결과, 급진적 혹은 점진적 제품혁신이 다음 시기에서 혁신이 지속되게 하는 가장 영향력 높은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패널자료는 원시자료의 한계로 인해 표본 선택 편의가 존재하기 때문에, 분석 결과의 지나친 일반화는 경계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 지속 현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초기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공식적인 패널자료의 구축 및 개선된 방법론 등을 통해, 혁신 지속 관련 발전된 연구 결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어류의 가격형성과 수요구조분석 (Model for Price Formation of Fish and Its Demand Structure)

  • 박환재
    • 수산경영론집
    • /
    • 제40권1호
    • /
    • pp.133-15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odel price formation and analyze demand structures for fishes under the restriction of Korean fisheries regulations. This study suggests the model that the price of fish is formed by its quantity, expenditure, and habit persistence. In economic literature, such a fishery market demand is called the inverse demand with dynamic habit persistence. Based upon a static differential price formation model, the paper has generalized it dynamically incorporating habit persistence effect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ll the species have values less than one and (-) sign of price flexibilities, thus being price inflexible. The estimated habit adjustment coefficients are significant at the level of 1%. Especially, TAC species have the smaller values of them than those of other main fish species. The contribution an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shery market demand has a strong dynamic effects from habit persistence. Second, the fishery market demand structure could be analyzed in a way different from the ordinary demand analysis, which is based upon price flexibility, scale flexibility, and cross adjustment flexibility. Third,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that it ignores the increasing stock effects by catching restrictions, thus raising consumers' benefit in the future.

  • PDF

지속적 호몰로지를 이용한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기법 제안 (Proposal of Image Segmentation Technique using Persistent Homology)

  • 한희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23-229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각 연결성분들의 위상적 지속구간 정보를 그래프 기반 이미지 세그멘테이션에 결합하여 보다 안정적인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이미지의 밝기 또는 색상정보 등을 이용하여 모스 함수를 정의하고 이의 레벨세트로부터 각 연결성분의 위상적 지속구간을 구한다. 각 연결성분이 생성되고 긴 지속구간을 갖는 연결성분에 적절히 병합되는 과정을 영 차원 호몰로지 군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다양한 특성을 갖는 이미지들에 대하여 짧은 지속구간을 갖는 연결성분들을 지속구간이 긴 인근 성분에 적절히 병합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보다 안정적인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결과들 얻을 수 있음을 실험으로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