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gamma}$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31초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전탕액과 발효액이 항비만(抗肥滿)효과에 미치는 연구 (The Study on Anti-obesity Effects of Gamiygin-tang Extract and Ferment)

  • 장성진;민들레;박은정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08-121
    • /
    • 2013
  •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iygin-tang (GY) extract (GYE) and fermented solution (GYF) on body weight, serum lipid level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high fat diet-fed obese mice. Materials and Methods High fat diet-fed obese mice and 3T3-L1 adipocytes mice were treated with GYE and GYF and obesity related markers were assessed. A cytotoxicity assay was carried out by MTS assay. Inhibitory effects of GYE and GYF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were carried out by Oil Red O staining. The effects of GYE and GYF on the express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regulatory factor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were measured by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effects of GYE and GYF on the express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regulatory factors were also determined in relation to protein production/protein levels by western blotting. The anti obesity effects of GYE and GYF were measured in high fat-diet induced obese mice. Various factors were measured from the serum of the high fat-diet mice. Results Though GYE did not show toxicity at the concentration of 1mg/ml, GYF showed toxicity at the concentration of 1mg/ml. The GYE at 0.1 and 1mg/ml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and the GYF also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The effect of GYE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factors including PPAR-${\gamma}$ and CEBP-${\alpha}$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concentration levels of GYF. GYE and GYF both suppressed the RNA and protein levels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factors. In the animal test both GYE and GYF reduced weight gain. GYE and GYF reduced blood cholesterol, TG and LDL levels. GYF better reduced blood cholesterol levels.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YE and GYF exerts anti-obesity effect in 3T3-L1 cells and obese mice induced by high-fat diet.

3T3-L1 지방세포에서 Bacillus subtilis KC-3 발효두유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the Bacillus subtilis KC-3 Fermented Soymilk in 3T3-L1 Adipocytes)

  • 김지영;정은정;문숙희;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26-1131
    • /
    • 2010
  • 3T3-L1 지방세포에서 상업용 Bacillus subtilis 균주와 순창 민속마을 전통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 KC-3(KCCM 42923) 균주를 이용해 두유를 발효시키고 이를 발효하지 않는 두유와 지방 생성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렙틴의 분비량은 B. subtilis MYCO 10001 발효두유(F-MYCO)와 B. subtilis KC-3 발효두유(F-KC)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지방 생성 억제 효과가 지방의 축적과도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지방구를 관찰한 결과 두유와 발효두유 모두에서 축적된 지방의 양이 감소했고 그중 F-KC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지방의 생성과 축적이 억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방축적의 감소가 지방 분해와도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글리세롤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는데 발효되지 않은 두유의 글리세롤 분비 정도는 control과 비슷하였으나 발효두유의 모든 군에서는 글리세롤의 분비량이 증가하였고 특히 F-KC에서 글리세롤 분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F-KC의 지방 축적 감소가 지방 생성 억 제로부터 기인된 것인지 조사하기 위하여 지방생성에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는 전사인자인 $PPAR{\gamma}$와 SREBP-1c의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두유나 다른 발효두유에 비하여 F-KC에서 이들 유전자 발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B. subtilis KC-3에 의해 발효된 두유의 항비만 효과는 지방 생성의 중요한 전사인자인 $PPAR{\gamma}$와 SREBP-1c의 발현 억제에 기인한 것으로서 그 결과 지방의 생성을 억제하고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감소 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홍삼 사포닌 분획의 Nrf2 Keap1 신호전달체계 조절을 통한 지방축적 및 활성산소종 억제효과 (Red ginseng-derived saponin fraction inhibits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by activating 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like 2 (Nrf2)/Kelch-like ECH-associated protein 1 (Keap1) pathway)

  • 김채영;강보빈;황지수;최현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88-69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홍삼 사포닌 분획(SF)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의 조성을 분석하고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축적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SF는 지방분화인자인 $PPAR{\gamma}$, $C/EBP{\alpha}$의 단백질 양을 억제함으로써 지방분화 동안 효과적으로 지방축적을 억제하였으며 주로 지방분화 초기시점부터 지방분화 초기인자인 $C/EBP{\beta}$, KLF2의 조절작용을 통해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SF는 또한 지방분화 동안 생성되는 ROS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는데 이는 SF가 산화방지 시스템인 Nrf2/Keap1 경로를 활성화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특히 Nrf2의 핵 내로의 진입을 활성화 함으로써 Nrf2의 타겟 산화방지 분자들인 HO-1, NQO1의 발현을 촉진하였다. 이는 지방분화 동안 SF의 지방축적 억제 효과가 Nrf2의 활성화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배암차즈기 에탄올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 저해 효과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and Anti-Adipogenetic Effect of the Salvia plebeia R. Br. Ethanol Extract in Murine Adipocytes, 3T3-L1 Cells)

  • 김성옥;김미려;황경아;박노진;정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01-408
    • /
    • 2017
  •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 에탄올 추출물(SP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 생성 및 축적 저해 효능을 조사하였다. 배암 차즈기 에탄올 추출물은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mouse embryo fibroblast) 유래 지방세포인 3T3-L1에서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PPAR{\gamma}$, $C/EBP{\alpha}$, SREBP-1c, pACC, pAMPK, CPT-1, 지방산 합성효소(FAS, fatty acid synthase) 발현 억제, 호르몬자극지방분해효소(HSL, hormone sensitivity lipase) 활성화 등 지방합성 관련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SPE가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대사에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지방 생성 및 지방 축적을 저해하는 효능을 보유하기 때문에 배암차즈기를 활용한 비만 개선을 위한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세잎쥐손이풀(Geranium wilfordii Maxim.) 에탄올 추출물이 지방생성 및 지방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ranium wilfordii Maxim. Ethanol Extract of on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 김태우;김경곤;임재천;이혜림;김정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7-313
    • /
    • 2024
  • 본 연구는 추출용매에 따른 세잎쥐손이풀 추출물의 중성지방 조절에 대한 논문으로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해 지방세포로 분화유도한 뒤 lipid accumulation, triglyceride contents, PPARγ, C/EBPα, FAS, SCD-1 및 AMPK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다섯가지 조건의 세잎쥐손이풀 추출물 중 NG-GT-T3L lipid accumulation과 triglyceride contents의 가장 높은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NG-GT-T3L 추출물의 세포내 지방 축적 억제는 지방세포 내 adipogenesis와 lipogenesis를 조절하는 효소 조절을 통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세잎쥐손이풀 추출물은 PPARγ, C/EBPα, FAS, SCD-1를 억제시키고, AMPK를 증가시켜 세포내 중성지방을 조절함으로서 체지방 감소 후보 소재로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동애등에 유충 에탄올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Ethanol Extract of Hermetia illucens Larvae Inhibits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 박지영;곽규원;최지연;이시은;김용순;구본우;김은선;박관호;김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094-1099
    • /
    • 2021
  • 동애등에(Hermetia illucens)에 대한 몇 가지 약리적 효능이 보고된 바 있으나, 이 추출물의 항비만 및 작용기전에 대한 보고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에 동애등에 유충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여 분화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방세포 분화에서 나타나는 중성지방의 양을 Oil red O 염색을 통하여 지방 축적 정도를 측정하였고,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 합성에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량을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다. 동애등에 추출물에 의해 지방세포의 지방구 형성은 유의한 수준으로 억제되었다. 또한, 지방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와 CCAAT 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의 단백질 발현은 400 ㎍/ml 동애등에 추출물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동애등에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 축적 억제를 통한 항비만 소재로 활용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솔장다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Salsola collina Ethanol Extract)

  • 진경숙;이수현;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888-895
    • /
    • 2017
  • 솔장다리(S. collina)는 건조한 대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한해살이 식물로 한방에서는 고혈압의 치료에 사용되어왔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솔장다리가 보유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밝힌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솔장다리 에탄올 추출물(SCEE)의 항비만 활성을 췌장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과 세포실험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SCE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 생성된 지방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을 유의적으로 분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솔장다리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PPAR{\gamm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솔장다리가 보유한 췌장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 내 지방 분해능, 지방분화관련 인자 신호전달기전 조절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troglitazone on radiation sensitivity in cervix cancer cells

  • An, Zhengzhe;Liu, Xianguang;Song, Hye-Jin;Choi, Chi-Hwan;Kim, Won-Dong;Yu, Jae-Ran;Park, Woo-Yo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78-87
    • /
    • 2012
  • Purpose: Troglitazone (TRO) is 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agonist. TRO has antiproliferative activity on many kinds of cancer cells via G1 arrest. TRO also increases $Cu^{2+}/Zn^{2+}$-superoxide dismutase (CuZnSOD) and catalase. Cell cycle, and SOD and catalase may affect on radiation sensitivit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RO on radiation sensitivity in cancer cells in vitro. Materials and Methods: Three human cervix cancer cell lines (HeLa, Me180, and SiHa) were used. The protein expressions of SOD and catalase, and catalase activities were measured at 2-10 ${\mu}M$ of TRO for 24 hours. Cell cycle was evaluated with flow cytometr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measured using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Cell survival by radiation was measured with clonogenic assay. Results: By 5 ${\mu}M$ TRO for 24 hours, the mRNA, protein expression and activity of catalase were increased in all three cell lines. G0-G1 phase cells were increased in HeLa and Me180 by 5 ${\mu}M$ TRO for 24 hours, but those were not increased in SiHa. By pretreatment with 5 ${\mu}M$ TRO radiation sensitivity was increased in HeLa and Me180, but it was decreased in SiHa. In Me180, with 2 ${\mu}M$ TRO which increased catalase but not increased G0-G1 cells, radiosensitization was not observed. ROS produced by radiation was decreased with TRO. Conclusion: TRO increases radiation sensitivity through G0-G1 arrest or decreases radiation sensitivity through catalase-mediated ROS scavenging according to TRO dose or cell types. The change of radiation sensitivity by combined with TRO is not dependent on the PPAR ${\gamma}$ expression level.

Bioconversion of Citrus unshiu peel extracts with cytolase suppresses adipogenic activity in 3T3-L1 cells

  • Lim, Heejin;Yeo, Eunju;Song, Eunju;Chang, Yun-Hee;Han, Bok-Kyung;Choi, Hyuk-Joon;Hwang, Jina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6호
    • /
    • pp.599-605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Citrus flavonoids have a variety of physiological properties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ti-cancer, and anti-obesity. We investigated whether bioconversion of Citrus unshiu with cytolase (CU-C) ameliorates the anti-adipogenic effects by modula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lipid metabolism in 3T3-L1 cells. MATERIALS/METHODS: Glycoside forms of Citrus unshiu (CU) were converted into aglycoside forms with cytolase treatment. Cell viability of CU and CU-C was measured at various concentrations in 3T3L-1 cells. The anti-adipogenic and lipolytic effects were examined using Oil red O staining and free glycerol assay, respectively. We performed real time-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immunoblotting assay to detect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respectively. RESULTS: Treatment with cytolase decreased flavanone rutinoside forms (narirutin and hesperidin) and instead, increased flavanone aglycoside forms (naringenin and hesperetin).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3T3-L1 cells were treated with CU or CU-C at a dose of 0.5 mg/ml.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inhibited in CU-C group, but not in CU group. CU-C markedly suppressed the insulin-induced protein expression of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as well as the mRNA levels of $CEBP{\alpha}$, $PPAR{\gamma}$,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1c (SREBP1c). Both CU and CU-C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dipolytic activity with the higher release of free glycerol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s. CU-C is particularly superior in suppression of adipogenesis, whereas CU-C has similar effect to CU on stimulation of lipolysi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oconversion of Citrus unshiu peel extracts with cytolase enhances aglycoside flavonoids and improves the anti-adipogenic metabolism via both inhibition of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induction of adipolytic activity.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Acacia catechu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Effect of Acacia catechu Extract on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 김동규;강민정;서화진;권오운;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107-1113
    • /
    • 2016
  •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아선약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분화유도제를 처리하여 3T3-L1 세포에서 아선약의 세포독성, 지방축적 억제 효과, triglyceride 억제 효능, 지방분화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아선약 추출물을 최대 $200{\mu}g/mL$ 농도까지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아선약 추출물은 $100{\mu}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Oil red-O 염색을 통해 지방축적률을 확인한 결과 아선약 추출물에 의한 농도 의존적인 지방축적의 감소 효과가 있었다. Triglyceride 생성량 역시 농도 의존적인 감소가 확인되었다. 아선약에 의한 지방분화의 감소가 어떠한 기작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고자 관련 지표단백질인 $PPAR{\gamma}$와 SREBF-1 그리고 $C/EBP{\alpha}$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해본 결과 $100{\mu}g/mL$ 농도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아선약 추출물은 지방세포의 분화억제와 분화된 지방세포의 지방축적을 저해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