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seed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simultaneous supplementation of laying hens with α-linolen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docosahexaenoic acid resources on egg quality and n-3 fatty acid profile

  • Zhang, Pingping;Tang, Chuanqiu;Ding, Zongqing;Huang, Hui;Sun,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73-978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multaneous supplementation of laying hens with alpha-linolenic acid (ALA) resources (flax, perilla, and Eucommia ulmoides [E. ulmoides] seeds) and eicosapentaenoic acid/docosahexaenoic acid (EPA/DHA) resources (Schizochytrium sp.) on egg quality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profile. Methods: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i) diet C (control diet); ii) diet F (diet C+10% flaxseeds); iii) diet P, (diet C+10% perilla seeds); iv) diet E (diet C+10% E. ulmoides seeds); v) diet A (diet C+1.5% microalage); vi) diet AF (diet C+10% flaxseeds+1.5% microalage); vii) diet AP (diet C+10% perilla seeds+1.5% microalgae); viii) diet AE (diet C+10% E. ulmoides seeds+ 1.5% microalage). Results: Egg weight, yolk weight and production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either algae or in combination with seed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A and DHA concentration in eggs between flaxseed, perila, and E. ulmodies seeds supplementation alone (p>0.05). N-3 PUFA in eggs was slightly improved by microalgae supplementation. The best supplementation, a combination of microalgae and perilla seeds, elevated (p<0.05) ALA from 19.7 to 202.5 mg/egg and EPA+DHA from 27.5 to 159.7 mg/egg. Highest n-3 PUFA enrichment (379.6 mg/yolk) was observed with supplementation of a combination of perilla seed and microalgae (362.2 mg/yolk), followed by a combination of flaxseed and microalgae (348.4 mg/yolk). The ALA, EPA, and DHA content obtained with a combination of microalgae and seeds surpassed the total sum of that obtained with microalgae or ALA-seeds alone. Conclusion: It is feasible to enrich eggs with n-3 PUFAs by perilla or E. ulmodies seeds instead of flaxseeds. Simultaneous supplementation of microalgae and seeds helped improve the transfer from EPA and docosapentaenoic acid into DHA.

한국산 식물식용유지의 성분에 관한 연구 -제 7 보-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흰깨 검은개 들깨중의 아미노산 조성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Edible Oils and Fats -Part 7- Amino Acid Composition of white Sesame, Black Sesame and Perilla Se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김혜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9권3호
    • /
    • pp.190-198
    • /
    • 1986
  • The result of the analytical experimental by HPLC on amino acid which is contained in such samples as white-raw-sesame, white-roast -seasame, black -raw -sesame, black-roast-sesame, raw-perilla seed and roast-perilla seed is as follows ; In the six smaples, the amino acid contents in raw seeds were all higher than those in roasted seeds, and the contents of alutamic acid and lysine were more reduced in roasted seeds than in raw seeds. All the amino acid contents except threoninewere highest in raw perilla seed. The amino acids which the six samples contain to a higher degree were in order of glutamic acid (18 %-21%), threonine(16%-19%), glycine (8%-9%), leucine(77.5%), aspartic acid (7%-7.4%), while methinine (1-2%) was contained least in all six samples followed by Isoleucine(3%).

  • PDF

들깨의 식이 섬유소 함량분석과 들깨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Quantitative Analysis of Dietary Fibers from Perilla frutescens Seeds and Antimutagenic Effect of Its Extracts)

  • 박동숙;이경임;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00-90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들깨의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 섬유소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들깨의 methanol 추출물, hexane 추출물, MSF 및 식이 섬유소를 추출하여 항돌연변이 효과를 관찰하였다. 들깨의 총 식이 섬유소의 함량은 신선물인 경우 17.2%였고 건조물인 경우 18.2%였으며 이 가운데 94%가 불용성식이 섬유소였다. 들깨의 용매 추출물 중에서 methanol 추출물과 MSF는 AFB$_{1}$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를 상당히 억제시켰으며 methanol 추출물과 MSF를 2.5mg/assay 첨가군에서 각각 91%와 87%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같은 농도에서 SDF의 첨가군은 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hexane 추출물은 2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를 돌연변이원으로 사용한 경우에 항돌연변이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즉 SDF를 1.25mg/assay 첨가한 군은 17%, MSF 2.5mg/assay 첨가군은 27%의 저해율을 보였을 뿐 methanol과 hexane 추출물 첨가군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들깨의 용매 추출물은 간접 돌연변이원에 의한 돌연변이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불용성 식이 섬유소의 경우 Trp-P-2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를 다소(13~18%)억제 하는것을 알 수 있다.

  • PDF

흰깨, 검은깨 및 들깨가 고아미 2호를 이용한 쌀쿠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Based on Goami 2 with Sesames(White and Black) and Perilla Seeds)

  • 정영정;서한석;명정은;신정민;이은주;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85-792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ice cookies based on 'Goami 2' rice, and made with sesame (white and black) and perilla seeds. Furthermore, we studi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cookies as well as the alternative effects of the sesames or perilla seeds for butter, where we substituted the sesames or perilla for 30% of the total butter. The pH values of the cookie doughs made with the sesames or perilla see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01), whereas the spread factors of the dough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Hunter color L-, a-, and b- val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cookies made with the added sesames or perilla seeds (p<0.001). The brittleness of the Goami 2 rice cookies (contro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okies made with the sesames or perilla (p<0.001). In a descriptive analysis performed by 8 trained panelists, the following sensory characteristics: yellow, black, sweet taste, nutty taste, nutty odor, oily flavor, and off flav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ookie samples. In a consumer test by 50 women students, the Goami 2 rice cookies were preferred in the following order: Goami 2 rice cookies with no additions > black sesame cookies > white sesame cookies > perilla cookies. In conclusion, som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cookies were different, in relation to being made with or without the sesame or perilla seeds. However, because of the small difference in acceptance among the cookies, the sesame and perilla rice cookies show strong potentials for consumer acceptance. Moreover, the black sesame cookies were more acceptable in terms of butter substitution for the cookie preparation.

방사선 조사된 수입 참깨, 들깨의 광여기 발광 (Pulsed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PSL) of Irradiated Importation Sesame and Perilla Seeds)

  • 이상덕;우시호;양재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3-177
    • /
    • 2001
  • 본 연구는 PPSL를 이용하여 수입 참깨와 들깨의 방사선 조사여부가 확인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측정시간이 증가할수록 photon count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수입 참깨 및 들깨와 여기에서 분리된 광물질의 photon count는 방사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10 kGy에서는 5 kGy에서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photon count를 보였다. 참깨 와 들깨(5 g) 자체와 분리된 광물질(1㎎)로부터 측정된 photon count는 모두가 비슷한 수치를 보여 광물질에서 더 높은 photon count가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깨, 들깨 자체로 측정된 시험구 보다 분리된 광물질에 대한 시험구에서 더 높은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PPSL 측정시 참깨 및 들깨 자체를 사용하거나 분리된 광물질을 사용하여도 조사여부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 PDF

들깨 품질평가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Quality Evaluation in Perilla)

  • 이봉호;류수노;곽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150-162
    • /
    • 2002
  • 1. 들깨는 용도면에서 볼 때 종실은 식용으로, 기름은 식용과 공업용, 깻잎은 채소로 또 깻잎의 정유성분은 향료로 이용될 수 있는 다용도 작물이다. 2.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18-28% 정도이고 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에 있어 글루타메이트(glutamate)함량은 계란보다 월등히 많다. 3. 종실의 기름 함량은 35~54%로서 기름중에는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60% 이상 함유되어 있으므로 생리적 기능성 식품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필수지방산의 공급원으로서도 중요하다. 4. 기름의 특성상 들기름은 고도의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렌산이 주성분이기 때문에 들기름을 짜서 상온에서 보관하게 되면 산패(oxidation)되기 쉬우므로 장기간 저장 이용하기 어렵다. 5. 깻잎은 비타민 C와 베타카로틴($\beta$-carotene) 함량이 많고 다른 미량성분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들깨잎은 생식용 채소로서의 이용가치가 높다. 6. 깻잎의 정유(essential oil) 성분은 페릴라알데하이드(perilla aldehyde)가 주성분이며 이는 식품이나 식품첨가제로 쓰일 때 광범위한 항균작용(antimicrobial activity)을 나타낸다. 7 들깨나 자소잎의 붉은 색소중에는 안토시아닌(anthocynins)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식품색소로 널리 쓰인다.

들깨종자의 성숙과정중 당지방질과 인지방질의 변화 (Changes' of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during maturation of perilla seed(Perilla frutescens))

  • 민용규;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3호
    • /
    • pp.146-151
    • /
    • 1992
  • 들깨종자의 지방질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원 10호와 제주의 두 품종을 시료로 하여 성숙과정중에 지방질의 구성성분과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자의 성숙중당 및 인지방질은 감소하였다. 완숙종자의 지방질을 구성하는 당, 인지방질은 수원 10호에는 25.4%, 4.5% 들어 있었고 제주에서는 44.5% 및 4.0% 들어 있었다. 에테르추출 당지방질의 주요성분은 세레브로시드, 갈락토실 디글리세리드 및 모노갈락토실 디글리세리드였다. 완숙 종자의 에테르추출 당지방질의 주요구성 지방산은 수원 10호가 리놀렌산이 51.1%로 올레산 19.4%보다 많았으나 제주는 올레산이 31.1%로서 리놀렌산 18.6%보다 많았다. 인지방질의 주요성분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이었으며 그중 포스파티딜 글리세롤의 변화는 제주에서는 불규칙하나 수원 10호에서는 성숙기간에 따라 증가되었다가 후기에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메탄올추출 인지방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올레산이 $28.7{\sim}35.2%$ 리놀렌산 $8.2{\sim}11.2%$, 리놀레산 $16.4{\sim}32.5%$ 및 팔미트산 $22.7{\sim}29.9%$ 범위에 있었다.

  • PDF

국내산 및 중국산 들깨 종자의 대사체 분석 (Metabolomic analysis of perilla seeds harvested from Korea and China)

  • 구수연;최나영;손예진;박지영;최성길;이명희;김현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11-419
    • /
    • 2019
  • 국내산 및 중국산 들깨 종자에 들어있는 지방산과 이차대사물질들의 프로파일들을 대사체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PLS-DA score plot 상에서 국내산 들샘, 다미, 소담들깨 종자들과 중국산 들깨 종자들과 서로 분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들깨 종자들 사이의 차이에 관여하는 물질들을 분석한 결과 지방산, phytosterols, 페놀화합물을 포함하는 23종의 물질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들의 함량과 재배환경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강수량, 온도, 위도, 고도가 들깨 종자 대사물질의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하였다. 동일 품종을 사용한 다양한 재배환경의 변화가 들깨 종자의 품질뿐만 아니라 들깨의 생육에 미치는 연구가 더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는 재배환경이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들깨 종자를 구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hytonutrient Profile of Purp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Seeds

  • Bhandari, Shiva Ram;Lee, Ju-Kyong;Lee, Young-Sa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99-204
    • /
    • 2011
  • To characterize phytonutrients, the seeds of 12 purp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accessions collected from Korea and Japan wer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ocopherols, phytosterols, squalene and fatty acids. The average tocopherol, squalene and phytosterols contents were 12.2 mg $100g^{-1}$, 3.99 mg $100g^{-1}$ and 77.20 mg $100g^{-1}$, respectively. Among 4 tocopherol (T) isomers (${\alpha}$-T, ${\beta}$-T, ${\gamma}$-T, and ${\delta}$-T), ${\gamma}$-T was present in the highest quantity (11.03 mg $100g^{-1}$) with the least variation (CV = 13.7%), while ${\beta}$-T was present in lowest quantity (0.25 mg 1$100g^{-1}$). Compared to campesterol (4.36 mg $100g^{-1}$) and stigmasterol (13.32 mg $100g^{-1}$), ${\beta}$-sitosterol exhibited higher quantity (59.51 mg $100g^{-1}$) with 9.5% of variation. The major fatty acids were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linolenic (61.5%), linoleic (17.3%), and oleic (9.9%) acids compared to saturated ones: palmitic (7.6%) and stearic (3.7%) acids. When Korean and Japanese accession were compared, almost no difference in content could be observed, while more variation as evaluated by CV (%) could be observed in Japanese accession in most phytonutrients suggesting wider genetic variation of purple Perilla in Japan. Presence of all above-mentioned phytonutrient compounds strongly suggested health beneficial value of purple Perilla seeds.

들깨종자의 성숙과정중 지방질의 변화 (Changes' of lipids during maturation of perilla seed(Perilla frutescens))

  • 민용규;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3호
    • /
    • pp.139-145
    • /
    • 1992
  • 들깨종자의 지방질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원 10호와 제주의 두 품종을 시료로 하여 성숙과정중에 지방질의 구성성분과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테르추출 지방질 함량은 성숙됨에 따라 크게 증가하여 완숙종자에는 수원 10호가 46.3%, 제주가 24.0% 이었다. 완숙종자로부터 추출한 에테르추출 지방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으로는 포화지방산인 팔미트산이 $9.4{\sim}18.2%$, 스테아르산이 $2.2{\sim}5.1%$ 이었고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이 $19.1{\sim}32.7%$, 리놀레산이 $12.4{\sim}15.3%$, 리놀렌산이 $30.6{\sim}54.1%$여서 불포화지방산이 많았다. 그러나 성숙후기에는 반대로 포화지방산이 불포화지방산보다 많았는데 이 경향은 제주에 비하여 수원10호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종자의 성숙중 중성지방질은 증가하였다. 완숙종자의 지방질을 구성하는 중성지방질은 수원 10호는 70.1% 였으며, 제주에서는 51.5% 들어 있었다. 에테르추출중성지방질의 주요 구성성분은 트리글리세리드, 유리지방산 및 디글리세리드였으며 특히 트리글리세리드는 성숙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여 완숙종자에는 수원 10호가 61.4%, 제주가 68.2%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