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oil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31초

은행, 은행잎 및 들깨잎에서 추출한 지용성 성분이 쥐의 혈소판 응집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Effects of Rat Platelet Aggregation by Ginkgo and Perilla Oil Dietary)

  • 박동기;박화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7-132
    • /
    • 1990
  • Linolenic acid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었는 들깨유, 은행유를 rat에 투여하여 혈소판 응집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은행유 및 들깨유를 투여한 쥐의 혈청중 혈소판의 수한 각각 $2.7{\times}10^{8}/m{\ell},\;4.7{\times}10^{8}/m{\ell}$ 였다. 이 수치판 대조군($7.5{\times}10^{8}/m{\ell}$)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은행유와 들깨유를 투여한 혈청증 혈소판 응집능은 대조군 보다 1.4배 낮았다. 은행유와 들깨유를 투여한 rat의 혈청중 총 cholesterol과 유리 지방산의 함량은 대조군과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위와 같은 결과로 부터 linolenic acid가 다량으로 함유된 들깨유 및 은행유는 혈소판 관련성 질환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역미설계를 이용한 들깨기름의 산화안정성 향상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Effect of Ascorbic Acid Solubilized via Reversed Micelle in Perilla Oil)

  • 이옥숙;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06-709
    • /
    • 1989
  • 역미설계를 이용하여 들깨기름에 아스코르브산을 용해하여 이의 산화방지 효과를 측정하였다. 계면활성제로서 레시틴과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역미셀을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용해된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합성 산화방지제에 비하여 들깨기름의 산화를 현저히 억제할 수 있었다. 한편, 아스코르브산과 델타-토코페롤과의 상승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들기름의 추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on the Extraction of Perilla Oil)

  • 이민정;김기홍;배재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39-1443
    • /
    • 2006
  • 들깨분말을 초임 계 이산화탄소로 추출온도, 압력, 시간을 달리하여 추출한 들기름과 토코페롤의 추출수율, 색도 및 지방산 조성을 측정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대한 지방과 토코페롤의 추출수율은 이산화탄소의 밀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추출온도보다는 추출압력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추출온도에 대한 토코페롤의 추출수율은 동일 압력에서 추출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 하였다. 들깨분말을 $40^{\circ}C/276$ bar에서 $60\sim180\;min$ 추출시 간을 달리하였을 때 들기름의 추출수율은 추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한 반면 토코페롤은 감소하였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밀도가 증가할수록 Red/Yellow값은 증가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통해 얻은 들기름의 지방산 조성은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불포화지방산들은 많이 추출되었고, 포화지방산들은 감소되었다. 이는 초임계유체 추출시 지방산의 불포화도가 높아질수록 용해도가 증가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위 결과는 초임계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식품이나 의약산업에 중요한 특정물질을 추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추출물에 잔존하는 유기용매가 없기 때문에 직접 식품가공에 이용할 수 있다.

돈지, 들깨유 및 달맞이꽃 종자유의 혼합급이가 흰쥐의 간장 및 뇌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s Mixed with Various Level of Lard , Perilla Oil and Evening Primrose Oil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in Rats)

  • 김성희;김한수;김군자;최운정;김소영;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55-560
    • /
    • 1994
  •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fees mixed with the lard and two vegetable seed oil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the oils mixed with 2.5% lard and various levels of perilla oil and evening primrose oil were administered to the male rats of the Sprague-Dawley for 4 weeks .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iver lipid, saturated fatty acid (SFA) contents were rich in the phopholiipide and cholesteryl ester fraction.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contents were rich in the triglyceride fraction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contents were rich in the phospholipid fraction.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iver lipid fractions, according as the contents of mixed perilla oil decreased and the contents of mixed evening primrose oil increased , n -3 PUFA contents tended to decrease and n-6 PUFA contents tended to increase. Fatty acid composition of liver lipid fractions were influenced from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test lipid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brain phospholipd, PUFA contents (40%) were rich and according as the contents of mixed evening primrose oil increased, the ratio on n-3/n-6 PUFA and eicosapentaenoid acid (EPA) /arachidonic acid (AA) tended to slightly decrease.

  • PDF

Trimethyltin 유도성 인지기능 저하 동물 모델에 대한 들기름의 개선효과 (Amelioration of Trimethyltin-induced Cognitive Impairment in ICR Mice by Perilla Oil)

  • 강진용;박보경;승태완;박창현;박선경;진동은;강성원;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73-37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들기름의 TMT 유도성 인지 기능 상실에 대한 개선 효과와 함께 가정에서 식용유로서 사용량이 많은 대두유와 그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실험에서 들기름과 대두유를 섭취한 마우스를 TMT로 인지 기능 손상을 유발하여 Y-maze test와 Morris water maze test 한 결과, 공간 인지 기능 및 학습능력 개선에 대해 대두유는 효과가 미비하였으나 들기름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정도의 유의적 개선 효과를 보였다. 동물 실험 후 mouse로부터 적출된 뇌 조직을 대상으로 AChE 활성, MDA 함량, SOD 활성 측정 및 산화된 glutathione 측정한 결과, 대두유는 TMT 단독 처리군의 경우와 유사한 반면 들기름은 TMT에 의해 손상을 입은 mice의 뇌 조직에서 AChE의 활성과 MDA 생성 및 GSH의 산화를 억제시킬 뿐만 아니라 SOD 활성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들기름에 존재하는 풍부한 생리 활성 물질로서 ${\omega}$-3계 지방산, 페놀화합물 그리고 비타민 E 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결국 들기름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인지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냈고, 이는 건강기능 식품으로서 고부가가치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능성 유지자원으로서의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frutescens)의 이용과 가치 (Uses and Values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frutescens) as a Functional Oil Source)

  • 최용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5-144
    • /
    • 2015
  • The Korean daily intake of vegetable oils has increased about 2.5-fold from 17 g/day to 46 g/day for the last several decades.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frutescens) has been cultivated in Korea for a long time as a dietary oil seed which has the highest content of ${\alpha}$-linolenic acid, accounting for nearly 60%. It is known that the main role of ALA is as a precursor to the longer-chain ${\omega}-3$,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the metabolic products of ${\alpha}$-linolenic acid (ALA, ${\omega}-3$). Dietary ${\omega}-3$ fatty acids reduce inflammation and the risk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eart disease, cancer, and arthritis, but they also may act as functional components for cognitive and behavioral function. Thus, ${\alpha}$-linolenic acid is one of the essential nutrients in modern dietary patterns in which much linoleic acid is consumed. Nevertheless, perilla oil, rich in ${\alpha}$-linolenic acid, can be easily oxidized, giving rise to controversies with respect to shelf life, the deterioration of the product's commercial value, and further related toxicity. Recent research using genetic modifications has tried to develop new plant oil seeds that balance the ratio of ${\omega}-6/{\omega}-3$ fatty acids. Such trials could be a strategy for improving an easily oxidizable property of perilla oil due to high ${\alpha}$-linolenic acid. Alternatively, appropriate application of antioxidant to the oil can be considerable.

포도씨유, 들깨유 및 옥수수유의 급여가 흰쥐의 체내 지질패턴 및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ape Seed Oil, Perilla Oil, or Corn Oil-Containing Diet on Lipid Patterns in Rats and Fatty-Acid Composition in Their Liver Tissues)

  • 강명화;박원종;이지현;정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1호
    • /
    • pp.3-10
    • /
    • 2005
  • 포도씨유의 생체 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식이급원이 상이한 들깨유 및 옥수수유를 흰쥐에게 급여하여 체내 지질패턴 및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식이군과 고지방 식이를 급여받은 쥐의 체중은 7주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일반식이에 들깨유을 급여받은 쥐는 7주 후 체중이 감소하였고 다른 유지군을 급여받은 군들은 8주째부터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 은 고지방 식이군 보다 일반식이군이 높았고 식이효율은 일반식이에 들깨유을 혼합하여 급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지질패턴 분석결과, 총지질 농도는 들깨유을 혼합한 일반식이군과 고지방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중성지방과 인지질 농도는 일반식이군에게 들깨유 급여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C은 일반식이군이 고지방 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일반식이군에 포도씨, 들깨유 및 옥수수유을 혼합하여 급여한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던 반면 고지방 식이군와 들깨유을 급여한 군에서 HDL-C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DL-C은고지방식이군과 일반식이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고지방식이에 들깨유을 급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포도씨유 급여군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HDL-ChDL-C 수치가 고지방식이 군에서 다른 식이지방에 비하여 PHF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던 것은 혈중 지질패턴을유익하게 바꾸어준 결과이며, 이로 인하여 동맥경화인자인Al 지수가 CHF군에 비해 PHF군과 GSHF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총지방, 총콜레스테를 및 중성지방 함량은 일반식이군은 들깨유군에서 가장 낮았고 그다음이 포도씨유군 및 옥수수유군 순으로 관찰되었다. 간조직의지방산 조성 분석결과 고지방식이군은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고 단일불포화 지방산과 다가불포화 지방산은 일반식이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유지 급원에 따라함유하는 지방산 조성의 비율도 달라져 식이 급원에 의해 생체내 지방산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식용버섯과 식물성 유지의 혼합급여가 흰쥐 간장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Mixture of Mushrooms and Vegetables Oils on the Lipid Compon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iver in Rats)

  • 김군자;김한수;김희숙;최운정;정승용;김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36-742
    • /
    • 199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mixed diets of edible mushrooms and vegetables oils on the lipid compon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liver of the diet induced hydpercholesterolemic rats. Ten groups of male S.D. rats were fed a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5% of one of three mushrooms(G.I, L.e, A.j) and 10% of one of three vegetable oils (olive ,safflower perilla) for three weeks. In liver,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 in group 3 (olive oil 10 % + L. edodes 5%) and 6 (safflower oil 10 % $_2$L. edodes 5%) ,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low in groups 8 (perilla oil 10 % + g. lucidum 5%) and 9 (perilla oil 10% + L. edodes 5%) and phospholipi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 in groups 3, 5, (safflower oil 10 % + G.lucidum 5%), 6, 7 (safflower oil 10 % + A .judae 5%) 8, 9 and 10 (perilla oil 10% + a. judae 5%).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inliver,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concentration s were high in groups 2 (olive oil 105 + g. lucidum 5%), 3, and 4 (olive oil 10% + A. judae 5%) and all the perilla oil groups,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and linoleic aicd concentrations were signifciantly high in all the safflower oil group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iver phospholipid , PUFA concentrations were ghih but MUFA concentrations were low. In the triglyceride component, MUFA were some more than saturated fatty acid (SFA) . In the cholesteryl ester component, MUFa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iver lipid components, linholeic acid was high in the PUFA and so it was major fatty acid. Eicosapentaenoic acid (EPA) of phospholipid component in liver was significantly high.

  • PDF

Effect of Perilla Oil Rich in $\alpha$-Linolenic Acid on Colon Tumor Incidence, Plasma Thromboxane B2 Level and Fatty Acid Profile of Colonic Mucosal Lipids in Chemical Carcinogen-Treated Rats

  • Park Hyun Suh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7호
    • /
    • pp.829-838
    • /
    • 199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 of different dietary fats on the incidence of colorectal tumor, the level of plasma thromboxane B2(TXB2) and fatty acid profiles of platelet and colonic mucosal lipids in N - methyl - N - nitro - N - nitrosoguanidine(MNNG) - treated rats. Male Sprague Dawley rats, at 8 weeks old, were divided into 2 groups and infused intrarectally with saline(control group) or with 2mg MNNG(carcinogen-treated group) twice a week for 3 weeks. Each group was again divided into 4 groups and fed one of four diets(BT, CO, PO, FO) containing dietary fat at 9%(w/w) level for 37 weeks, Dietary fats were beef tallow(7.2%)+corn oil(1.8%) for BT, corn oil(9.0%) for CO, perilla oil(9.0%) for PO, fish oil (6.5%)+corn oil (2.5%) for FO diets. MNNG-treated rats had colonic tumor, while no tumors(adenocarcinoma and adenoma) than others. Tumor sizes in BT-MNNG rats ranged from 2mm papillary form to 15mm of polypoid. However, the size of tumors in PO-MNNG or FO-MNNG rats could not be measured by gross examination. BT-MNNG and CO-MNNG groups were higher in the level of plasma TXB2 and the ratio of c20 : 4/c20 :5 platelet. PO-MNNG groups were lower in the ratio of c20 : 4/c20 : 5(p<0.05) in fatty acid of colonic mucosal lipids suggesting that perilla oil and fish oil could reduce the level of PGE2 and TXB2 by modifying its precursor content and restrain tumor promotion in colon. Effect of perilla oil rich in $\alpha$-linolenic acid on colon carcinogenesis was similar to that of fish oil and thus perilla oil could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olon cancer possibly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arachidonic acid metabolite.

  • PDF

돈지, 들깨유 및 달맞이꽃 종자유의 혼합급이가 흰쥐의 혈청 및 혈청 지단백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s Mixed with Various Level of Lard, Perilla Oil and Evening Primrose Oil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Lipid and Lipoprotein in Rats)

  • 김성희;김한수;김희숙;김군자;최운정;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48-554
    • /
    • 1994
  •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feeds mixed with the lard and two vegetable seed oil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lipkid and lipoprotein, the oils mixed with 2.5% lard and various levels of perilla oil and evening promrose oil were administered to the male rats of the Sprague-DAwley for 4 week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lipid and serum lipoprotein fractions, as the content so f mixed perilla oil decreased and the contents of mixed evening primrose oil increased, n -3 PUFa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and ratio of EPA/AA (eicisapentaenoiidacid/arachidonic acid) tended to decrease, but n-6 PUFA contents and ratio of AA/PUFA tended to increase.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lipid and serum lipoprotein fractions were influenced from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test lipi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