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s of scientis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과 관련된 경험 및 배경 조사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st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towards Science)

  • 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59-6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st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towards science. Subjects are 120 ordinary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75 participators in invention club and science camp for talented students in a metropolitan city. A questionnaire for investigating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Images about scientist was developed. That contains the items for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experiences towards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lementary students think scientist is younger than the previous students thought. But as yet, the representative image of scientist is the neat man with glasses and gown. Also, a majority of elementary students like science, science subject and science classroom, especially experiment activity. They have various experiences related in science.

  • PDF

변형된 DAST와 인터뷰를 이용한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자가 하는 일에 관한 초.중등 학생의 인식 조사 (Investigating Student뷰s Private Perceptions of Scientists and their Work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 Modified DAST and Interview.)

  • 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7권1호
    • /
    • pp.1-10
    • /
    • 1998
  •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s have a stereotyped image of a scientist, and this image is often a rather negative. Earlier work on images of the scientist revealed to be consistent across the various social classes and across countri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 Korean students' stereotyped images of scientist, compare it with earlier work, and also find out whether students have other ideas about scientist, apart from the stereotyped image. To these purposes, modified DAST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217 students and 53 stud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Most of the students portrayed the scientist as a neat and young man with well-featured face, which was different from earlier studies. 2. Year 3 boys described the scientist as a mu, but year 3 girls as a woman. 3. Most of the students gave positive answers which were at variance with the streotyped image. 4. An interview asking only one question was a complement to DAST. It was concluded that students have private perceptions of scientists and their work, as well as a stereotyped image.

  • PDF

과학, 과학자 및 과학활동에 대한 유아의 인식 (Children's Perceptions about Science, Scientists and Scientific Activity)

  • 김정화;조부경
    • 아동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7-190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young Korean children's perceptions about scientists, kindergarten science and the application of science in their daily lives. An interview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nd based on Chamber (1983)'s Draw-A-Scientist Test (DAST), was administered to 104 five-year-old children. Most of the children (68.2%) saw themselves doing activity-oriented science in kindergarten, but they did not use outside kindergarten for the knowledge and skills they learn in science (70.4%). In general, children recognized scientist as a male working with lab equipment in the laboratory. Although most of children (74.5%) were interested in science, only a few of them (12.5%) hoped to be a scientist in the futu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tributable to gender in preference for science; girls showed more interest in science than boys.

  • PDF

과학자의 연구 사례에 관한 비네트 개발 및 효과 탐색 (Developing Vignettes on Scientists' Research Cases and Exploring Their Effectiveness)

  • 박재용;이기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1호
    • /
    • pp.81-9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cientist vignettes and to explore their effects to change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sts, scientific attitudes, and the nature of science. The scientist vignettes developed in this study include research cases on seven scientists, including British zoologist Jane Goodall. Each vignette consists of 4 to 6 pages in consideration of the reading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ntains illustrations describing the main contents of the text. In addition, scientist vignettes contain descriptions on terms and text boxes explaining the higher concepts, and each vignette contains questions that students can think deeply based on the story of the scientist.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scientist vignettes,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of scientists, scientific attitudes, and the nature of science in 564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conducted group interviews with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conducting pre-test and post-test using a narrativ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6 questions, students became more sophisticate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sc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sts after experiencing scientist vignettes and thei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changed into a more moder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Also, in a group interview with teachers, teachers assessed that scientist vignettes would positively affect the understanding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the nature of science, and forming a scientific attitude, especially in increasing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We discussed ways to effectively utilize scientist vignett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

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미지와 인식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Images and Perceptions of Scientist, Technician and Engineer)

  • 김현영;박수경;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4-8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과학자, 기술자, 공학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미지와 인식 비교 79자에 대한 이미지 및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검사 도구는 Fralick 등(2009)이 개발한 'Draw a scientist at work and draw an engineer at work'와 그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일하는 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의 그림을 그리고 외형적인 특징과 일하는 장소, 일하는 행동, 다루는 대상 또는 사물에 대하여 서술하도록 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인식하는 과학자가 취급하는 대상 또는 사물로는 플라스크, 비커, 시험관이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차이가 없었다. 학생들이 그린 과학자 이미지에서 복잡한 기계나 설계도를 묘사한 경우가 다수 나타나 학생들이 과학자와 공학자를 유사하게 인식하는 반면 공구, 다리, 건물에 대한 묘사는 없는 것으로 보아 과학자와 기술자는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기술자가 일하는 곳은 공장이나 카센터 등으로 인식하였고 스패너,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차량을 수리하는 것으로 묘사하였다. 기술자의 외형적 특징으로 과학자에서는 매우 낮은 비율로 나타났던 작업복과 모자의 빈도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그림에서 나타난 기술자의 행동으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손으로 만들거나 고치는 공통적인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셋째, 공학자가 일하는 곳은 실내이며 기계를 다룬다는 공통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으며 남학생의 경우 공학자가 컴퓨터로 설계하거나 발명하는 모습을 주로 표현한 반면 여학생들은 차량을 고치거나 만드는 일을 한다고 인식하여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지구과학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Earth Science Scientists)

  • 김윤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9-168
    • /
    • 2014
  • 본 연구는 90명의 고등학생들(성취도 상 중 하 수준의 각 30명)을 대상으로 GAP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된 10개의 문항으로 지구과학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고등학생들은 지구과학 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으나, 직업인으로서 지구과학자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하며, 자신의 진로로 연계하여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지구과학 학습의 실패는 지구과학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미래 진로로의 비연계로 이어졌다. 학교교육 현장에서부터 학생들이 지구과학자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직업으로 연계시키려는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환경과학자 그리기를 이용한 환경과학자와 환경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An Investig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Scientists and Their Work by Using the Draw-An-Environmental-Scientist-Test)

  • 주영;김경순;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53-463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Draw-An-Environmental-Scientist-Test(DAEST)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환경과학자와 환경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인식과, 환경과학자 그림을 그리는데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했다. 서울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3개교에서 1학년과 2학년 학생 413명을 대상으로 DAEST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환경과학자에 대한 이미지는 과학자의 정형적인 이미지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그림에는 환경과학자의 나이와 성의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환경과학자를 야외에서 실험기구와 노트북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환경오염과 관련된 데이터 수집을 하는 사람으로 인식했다. 한편, 학생들은 환경과학자에 대한 그림을 그리는데 영향을 준 요인으로 대중매체, 학교교육, 인터넷 등을 제시했다. 환경과학자와 환경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인식 및 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학생들의 학년과 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작은 생물을 연구하는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및 이미지 분석 (Perceptions and Image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on Scientists studying Small Organisms)

  • 최영미;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4호
    • /
    • pp.655-673
    • /
    • 2014
  • We investigated perceptions and image analysis on scientists studying small organisms reflected in elementary student's drawing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Drawing-A-Scientist-Test. The participants were 530 of fifth and sixth graders consisted of 449 ordinary students and 81 science gifted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ssociated words, images and explanatory notes depicted by students engaged in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larger number of students reminded small sized animals and/or plants as words associated with small organisms. In addition, some students depicted anthropomorphic or abstract microorganisms. In this study, more stereotypes of scientists' appearance were exhibited at sixth graders and city region group. Most of the students depicted indicators such as lab coat, glasses, scientific instruments for observing, indoor, male and young, whereas only a few students depicted collaborative work.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irls and boys, because boys perceived male scientists only, while half of girls depicted female. More frequent research instruments and scientific captions were used when science gifted students depicted scientists studying small organisms. These results could be contributed to education on microorganisms in elementary science.

초등학생의 과학, 공학, 기술에 대한 인식 및 과학자, 공학자, 기술자에 대한 이미지 조사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and on the Images of Scientists, Engineers, and Technicians)

  • 정진규;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719-730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과학, 공학, 기술에 대한 인식과 과학자, 공학자, 기술자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도구로 Fralick et al. (2009)의 연구에서 사용된 DAST(Draw a scientist test)를 Draw a scientist at work와 Draw a engineer at work를 수정하고 변형하여 사용하였으며, 경남 G시의 S초등학교 6학년 2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자의 이미지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전형적인 과학자의 이미지와 비슷하였다. 공학자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짧은 머리에 안경을 쓰고 있지 않으며 평상복을 입고 일을 하고 있는 형태이다. 그리고 주로 선박, 로봇, 컴퓨터, 비행기를 설계하거나 만드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기술자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짧은 머리에 보호 장갑을 끼고 용접용 마스크를 착용하였다. 기술자는 자동차, 로봇 등을 고치거나 렌치, 드라이버,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일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학생들은 공학과 기술을 학문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공학, 기술의 연구 분야, 연구 방법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인식하지 못하였다.

교대생과 초등교사의 과학-기술-사회(STS)에 대한 인식도 조사 (The Examination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학 Perceptions about Science - Technology -Society(STS).)

  • 김맹희;권치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8권1호
    • /
    • pp.29-3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and compare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Science-Technology-and Society (STS), particularly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ir interaction within society, and the epistemology of science. Large percentag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understood to perceive as follows : 1. they regarded the science as 〃Knowledge scheme aiming content'and technology as 'skill for solution of actual problems'. 2. they revealed themselves to perceive tat science/ technology influence our lives through new terms and ideas, that science/ technology is affected by governmental policies and that all the people concerned including scientist and technologist should participate in the course of decision making. 3. they perceived that scientist perform their studies by characteristic abilities and that the studies are affected by their religious viewpoint. Moreover, they were understood to perceive that scientific knowledge are constructed through social interaction. 4. they perceived that scientist discover and develop scientific laws by scientific methods such as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and that those scientific laws could be changed la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