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8초

교사들의 교육지침 인식 개선을 위한 생활지도 정보요구와 교육지침 변화에 대한 인식 간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Information Need about Guidance and Perception regarding Educational Guidelines to Improv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Instruction)

  • 김진명;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1-157
    • /
    • 2022
  • 본 연구는 교사들의 생활교육에 대한 정보요구와 교육청으로부터 배부되는 교육지침에 대한 교사 인식 간 관계를 밝혀 이를 기반으로 한 학교도서관 정보서비스 제안에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 모형을 제작하고 설계를 진행하였으며, 예비연구를 통한 심층면담을 분석하여 연구에서 고려할 요소들을 추출하고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경기도는 4개 권역으로 나누어지며, 각 권역별 3개 학교에 설문을 실시한 후 최종적으로 217부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생활교육 정보요구에 대한 관심이 궁극적으로 교사들의 학생생활교육 실태 개선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교사들의 생활지도 정보요구를 학교 내부에서 해결하도록 학교도서관 서비스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충청북도교육청 공동보존자료관 설립에 대한 현장 인력의 인식 분석 (A Study on the Survey of the Level of Book Saturation in Chungcheongbuk-do Libraries)

  • 노영희;강봉숙;곽승진;장인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139-159
    • /
    • 2023
  • 본 연구는 충청북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한 공동보존관의 설립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통한 실태조사와 인식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충북교육청 공동보존자료관의 기능은 귀중자료의 보존과 충북교육 및 학교 특성화 자료 구축에 중점을 두되, 이관자료 중 중요한 자료의 디지털화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의 기능을 중점 수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향후 이관하고자 하는 자료 기준은 원형보존과 매체변환 등이 필요한 자료를 우선적으로 이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향후 이관하고자 하는 자료 유형은 운영 계획 시 단행본 유형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되 그 외의 유형에 대한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자료 이관 시 자료의 소유권의 경우, 공동보존자료관 운영 위원회를 통해 충북교육청과 개별 도서관과의 논의를 거쳐 소유권을 포함한 세부적인 이관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RDA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Librarians on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 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55-477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사서의 RDA에 대한 인지 여부와 감정, 친숙도, 이해, 도입, 장애요인, 교육에 관한 인식 수준을 고찰하고, 인식 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4년제 대학도서관 정리 사서 7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첫째 67.1%의 사서가 RDA를 들어본 적이 있었고, 인지 수단은 학교 수업이 5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서들은 RDA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보다는 긍정적인 감정이었고, RDA 관련 원리나 개념에 대해 친숙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RDA 자체와 FRAD에 대해 더 친숙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사서는 RDA 관련 원리나 개념에 대해 보통 수준으로 이해한다고 인식하였고, 특히 전거와 인코딩을 더 이해하지 못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사서들은 RDA 도입에 대해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지만, 문항 중 'RDA가 AACR2를 대체한다'는 것은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사서는 RDA 도입의 저해요인을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RDA 관련 교육 부족을 높게 인식하였다. 넷째 사서들은 RDA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RDA Toolkit의 사용, RDA 레코드 변경, RDA와 AACR2의 차이, RDA와 MARC 21 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RDA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비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자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rs' Perception Influencing the Non-use of Public Libraries)

  • 김하야나;김기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년도 제2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3-216
    • /
    • 2014
  • 본 연구는 현재 공공도서관 비이용자이나 향후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이용자의 공공도서관 비이용 원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도서관 이용 중단자 및 비이용자 3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잠재적 이용자들의 이용/비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서 '동기', '도서관 지식', '만족', '접근성', '대용채널'의 5가지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공공도서관에 대한 요구사항이 개선되었을 경우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충남지역 일부 대학생의 성별과 비만도에 따른 에너지음료 섭취실태 및 인식 (Intake Status and Perception of Energy Drink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Obesity of Some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 고갑금;김명희;이제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7-17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ake status of energy drinks, knowledge of caffeine and the perception on intake of energy drinks by university students. We surveyed 351 university students from October 25, 2017 to January 25, 2018. The subjects (70.9%) consumed energy drinks more than once. Male students consumed energy drinks more frequently than the female ones. A huge portion (68.3%) of the subjects consumed energy drinks to recover from fatigue and reduce sleepiness. Moreover, they consumed most of the energy drinks at home and the university library. The main anticipated efficacy of energy drinks was the relieving drowsiness. Respondents (86.3%) perceived that energy drinks could be hazardous to the health of human beings. The main risks of consuming energy drinks were sleep disorders, addiction problems and heart beating. The main recognized effects of energy drinks were relieved drowsiness and decreased fatigue. The major side effects were heart beating, nausea, vomiting, heartburn and sleeping disorders. This study suggests that nutritional education is needed to confirm the recommendation of daily intake for caffeine and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side effects of energy drinks.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and Needs on Implemen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55-27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를 기반으로 한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과 요구, 운영 시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사서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이해 및 인식, 사서교사 선택과목 운영에 대한 인식과 요구, 선택과목 운영 시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온라인 조사하여 그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서교사들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높았으며, 선택과목 운영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특히 연구·선도학교에 근무하는 사서교사들이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사서교사보다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 및 운영 기반에 대한 이해가 높았다. 선택과목 운영에 있어서 사서교사에 대한 학생, 교사들의 교육적 역할 인식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성별, 지역, 경력 등과 같은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사서교사 대상의 고교학점제 연수 및 지원, 독서, 미디어, 정보활용능력과 연계된 선택과목 개설 및 교과서 개발, 독서, 미디어, 정보활용능력 교육 관련 과목 필수 이수 제도화 등을 제안하였다.

예비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 조사 - 심층 면담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Perception on the Education Practicum of Pre-service School Librarian Teacher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Data)

  • 임정훈;강봉숙;박주현;한상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75-9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현행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교육실습 제도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사서교사 33명(사범대학 6명, 교직이수 16명, 교육대학원 11명)을 대상으로 면담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 기법과 함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혼합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사서교사는 교육실습을 통해 다양한 현장의 경험을 예비할 수 있고, 향후 학교 현장에서 마주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질적 탐구를 통해 학교현장실습 전반에 대한 인식과 학교현장실습 과정에 대한 인식,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실습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학교현장실습 기간의 확대, 시기의 분산, 상시실습 체계의 구축, 현장교사와 지속적인 논의, 체계적인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 도구로서 LibQUAL+TM에 대한 재평가 (Toward an Evaluation Framework of Library Services: Re-examination of LibQUAL+TM)

  • 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27
    • /
    • 2007
  • 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 도구인 $LibQUAL+^{TM}$에 대한 많은 연구논문이 발표되었으나, $LibQUAL+^{TM}$ 요인과 도서관 서비스 이용의도 사의의 관계를 연구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 본 논문은 Icek Ajzen의 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도서관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요인을 추출하기 위하여 미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웹 설문을 실시하였고, 요인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 서비스 이용의도는 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와 관련이 있었다. 통계분석결과 유의미하게 나타난 태도요인은 이용자가 지각한 (1) 정보원 및 시스템 이용시의 주도성, (2) 서비스 제공 의향정도, (3) 제공되는 정보의 포괄성이었다. $LibQUAL+^{TM}$ 요인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반면에,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으로는 정보접근의 적시성과 물리적인 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을 지각하는 부분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에 대한 연구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이용의도를 고려한 새로운 평가 체계를 제시한 점이다.

대학도서관 인력 현황에 관한 현장 인식 조사 (Field Perceptions on the Staffing Situation of Academic Libraries)

  • 나은엽;나상오;이종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23-143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대학도서관 인력 현황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대학도서관 현장에 근무하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인력 현황과 현재 적용되고 있는 대학도서관 인력 배치 기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인력 변화에 대한 분석은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의 대학도서관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인식 조사는 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 도서관 소속 응답자 216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인력 변화 분석 결과, 대규모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 도서관에서 평균 직원 수는 감소하였는데, 정규직은 감소하는 반면 비정규직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설문조사 결과 이러한 원인을 학령인구 및 입학 정원의 감소, 대학의 예산 부족 및 구조 조정 등에서 찾을 수 있었다. 대학도서관 인력 배치 기준에 대한 4년제 대학, 전문대학 직원들의 인식은 대부분 부정적이었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는 기준 수의 상향 및 세분화, 정사서 및 정규직을 명시한 기준의 구체화, 기준 산출 항목의 수정, 기준 이행의 강제성 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도서관 인력 배치 현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현장 사서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향후 대학도서관 인력 배치 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Students & Parents to Comics for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 이종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27-246
    • /
    • 2012
  • 출판업계가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이른바 학습만화를 고안해 내면서 만화를 통해 교과학습 및 관련 사물을 이해하려는 학생들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만화에 대한 유해성이 높은 독서자료라는 과거의 인식은 아직도 많은 학부모들로 하여금 자녀들의 만화독서를 금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실제 만화를 독서하고 있는 학생들과 이를 대하는 학부모들은 만화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3개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 한반씩 총 12개 반의 291명의 학생들과 203명의 학부모 설문지가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분석한 결과, 상당수의 학생들이 학교도서관 등의 정보원으로부터 학습만화를 입수하여 독서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만화가 학업성취에 상당히 도움이 되고 있으며 두 집단에서 학습만화 독서가 일반 독서로 이어지는 독서전이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도서관운영자는 학습만화를 중요한 교수학습매체로써 인식해야 하며 아울러 독서흥미유발을 위한 견인매체로써 학습만화를 활용하여야 하고 정규교과목 시간에서도 교수학습활동에 학습만화를 보조교재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