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nt C

검색결과 1,599건 처리시간 0.028초

가정관리실습관에 있어서의 학생지도에 관한 연구 - 서울 시내모여자대학교대상- (A Study on the Student Guidance at Home Management House)

  • 김복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2권34호
    • /
    • pp.679-697
    • /
    • 1974
  • I. Preface A. Establishment. There are many psycological and physiological difficulties that students have made practical application to a building site of 600 pyung and a structure of 65 pyung each sixteen students in the Home Management House, but there exists problem in students apprentice and management of professors. B. Purpose of study This research aim to seek a high degree of efficiency approach in investigating, studying and analyzing factors of the problem in Home Management which have been faced in women colleges in seoul. C. Content of study. This study is aim at finding out the problems including facilites, system, guiding principle, working bottleneck and administrative problem in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Home Management. II. A plan and method of study A. This subject of statiscal research is 616 women students in senior year from september 27 1970 to October 31 1974. The rate of collection of questionnaire is 100 percent. B. The Method of study is devised through refering documents, interview with students, questionnaire and observation. III. Result of study Of the total of 29 university in seoul, 24 Universities have its Course of Home Economic among which only 12 have Home Management for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Home Management House for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is located mainly in campus but some of them exceptimally are in outside university. Students practice mainly at civilzed resident, apartment, bangalow so forth, and demention of which occupies approxiamtely 50-600 pyung (land) and 20-70 pyung (Building). A member with 4 or 20 students make practical application from 10 days to 3 months. A member consists of students and assistant teacher, and practice site classifies into living school for Professors living, and another school for Professors and assistant teachers. Answer to a questionnaire. 616 students answer to a questionnaire. 49 Perfect of 616 students like to have a member with 12 students like to have a member with 12 students, 38 percent student a member with 16 students. About the period of making practical About the period of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76 percent students like to have two or three week period. 19 percent students think it a short period and 4 percent students think it a long period. There is none who thinks 25 day period day period to be short. About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66 percent of 616 students feel uneasy, 40 percent students feel lack of sleep and tired. Students take a pleasure in having a conversation with their friends, inviting their mother, having dinner-party and birthday party. 77 percent students want to invite their father and 67 percent students want to invite their boy-friends. It is hard to have a good personal relation about the great the result of practice, students acknowledge themselves that they have learned about Cautiousness and they are sure of good Home Manager. There are 9 difficult problems during the period. IV. Summary discussion a. Many problems come from having a number of students. b. Students feel tired with their practice if over three weeks. No Matter how good a plan is, it useless if students can't adapt themselves to it. Suggestions 1) it is good to have a member with 5 or 6 students, and it is suitable to have two or three week period, and to have an area of 20 or 30 pyung. 2) it's proposed a profess or to live together in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Home Management 3) it is proposed a professor to have a sure T.O. and to be treated better.

  • PDF

기온변동이 벼 도열병균의 엽신에의 침입과 발병에 미치는 영향 II. 접종전 및 접종시의 온도처리에 의한 침입$\cdot$균사신전$\cdot$병반형성 차이 (Effect of Temperature Treatments on the Penetration and Disease Development in the Leaf Epidermis by the Rice Blast Fungus, Pyricularia oryzae Cavara II. Difference in Percent Penetration, Hyphal Growth and Lesion Formation by Pre­ and Postdisposing Temperatures)

  • 김장규;무목정부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2-127
    • /
    • 1985
  • 도열병 저항성유전자 $Pi-\alpha$를 가지고 있는 Aichi-asahi, Toyotama, Yamabiko를 공시하여 접종전$\cdot$접종후 $23/15^{\circ}C\;,\;29/21^{\circ}C$에 각각 3일간 처리하였다. 도열병균 6개 균주를 접종한 후, 도열병균의 침입$\cdot$균사신전$\cdot$병반수를 조사한 결과, $29/21^{\circ}C$에 처리한 유균에서 침입율이 높고 형성 병반수도 많았다. 균사신전도와 피침입세포수는 $29/21^{\circ}C$ 경우 접종후 72시간에서 96시간 사이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23/15^{\circ}C$에 처리한 유균에서 침입$\cdot$균사신전이 억제되어 병반형성이 지연되었다

  • PDF

눈꽃동충하초 및 번데기동충하초균의 적정 병원력 유지조건 구명 (Study of optimal pathogenicity condition on cordyceps)

  • 정이연;남성희;홍인표;유승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1-33
    • /
    • 2003
  • 본 연구는 눈꽃동충하초속균과 번데기동충하초균의 적정 보관온도 및 모균주 보존기간에 따른 동충하초속균의 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보급종균(액체종균)의 보관온도 및 보관일수별 활성 검정에서 4$^{\circ}C$에서 10일간 보관시 누에 감염율 및 자실체 형성율이 각각 88.0%, 96.2%로 대조구와 비슷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나, $25^{\circ}C$ 보관시에는 감염율이 급격히 저하(5% 이하)하였다. 또한 모균주 보존기간별 조사에서 4$^{\circ}C$ 보존구가 냉동보존(-2$0^{\circ}C$, -7$0^{\circ}C$) 및 동결건조보존법에 비하여 우수하였고 대조구와 비교시에도 유의성이 없었으며 12개월 보존시에도 감염율 90% 이상이었다. 따라서 본 시험 결과로 볼 때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tenuipes) 및 번데기동충하초균(Cordyceps militaris)을 냉장보존(4$^{\circ}C$)이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Candida muscorum의 Amylase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mylase Produced by Candida muscorum)

  • 박윤중;윤한교;손천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43-249
    • /
    • 1975
  • 분리보존중(分離保存中)인 Candida muscorum의 밀기울 고체배양(固體培養)에 있어서의 amylase 생성조건(生成條件)과 그 amylase(조효소(粗酵素))의 성질(性質)에 대(對)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밀기울 고체배양(固體培養)에 있어서 amylase의 최적생산조건(最適生産條件)은 가수량(加水量) 75%, 배양온도(培養溫度) $25^{\circ}C$, 배양기간(培養期間) $4{\sim}7$일(日)이었다. 2. 밀기울에 ${(NH_4)}_2SO_4$$NH_4Cl$을 0.5%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는 액화효소(液化酵素) 및 당화효소(糖化酵素)의 생성(生成)이 약(約) 20% 증가(增加)되었으며, $NO_3$태질소화합물(態窒素化合物)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는 효소(酵素) 생성(生成)이 저해(沮害)되었다. 3. Amylase 생성(生成)에 있어서 탄소원(炭素原) 첨가효과(添加效果)는 없었다. 4. 실험균주(實驗菌株)의 액화효소(液化酵素)의 작용최적(作用最適) pH는 4.2, 작용최적온도(作用最適溫度)는 $60{\sim}65^{\circ}C$, 안정(安定) pH 범위(範圍)는 $3.2{\sim}6.8$, 내열성(耐熱性)은 $65^{\circ}C$이하(以下)(15분간(分間) 처리(處理))이었다. 5. 실험균주(實驗菌株)의 당화효소(糖化酵素)의 작용최적(作用最適) pH는 4.5, 작용최적온도(作用最適溫度)는 $55^{\circ}C$, 안정(安定) pH범위(範圍)는 $3.8{\sim}6.2$, 내열성(耐熱性)은 $45^{\circ}C$이하(以下)(15분간(分間) 처리(處理))이었다.

  • PDF

보리새우의 섭이와 성장 (Studies on Feeding and Growth of the Oriental Brown Shrimp, Penaeus japonicus Bate)

  • 최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61-171
    • /
    • 1970
  • 보리새우(Penaeus japonicus Bate)의 섭이량, 주간, 야간 섭이율과 일간 섭이율, 이료의 종류에 따른 섭이률의 차이, 보리새우의 성장과 이료의 전환효율등에 관해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새우의 섭이율은 수온범위 $19\~30^{\circ}C$, 체중범위 $1.6\~14.9g$에서 수온이 높을수록, 또 새우의 크기가 작을수록 커지며, 평균 일간 섭이율은 $18\~44\%$에 달한다. 2. 항상 야간 섭이율이 주간 섭이율보다 크나, 무저질, 암상태 또는 직접광선을 피한 사육상태에서는 주간에도 일간 섭이률의 $22\~37\%$의 섭이를 이룩할 수가 있어, 그만큼 보리새우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가 있었다. 3. 멸치와 바지락의 두가지 이료에서는 주야의 구별없이 멸치를 한층 더 많이 섭취하였으며, 일간 섭이율중에서 멸치 및 바지락육의 섭이율은 각각 $12.9\%$, $10.3\%$이었다. 4. 보리새우의 체중(W;g)과 일간 성장률 ($DGR;\%$) 사이에는 log DGR=0.7035-0.7864 logW의 관계식이 성립되고, 새우의 크기에 비예하여 일간 성장율은 작아진다. 5. 보리새우의 이료의 전환효율은 새우의 크기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이 평균 $2.8\~7.8\%$의 범위로 변동하며, 지금까지 알려진 어류 (문치가재미, 고등어, 방어 등)와 참오징어의 그것에 비교하면 매우 작은 값을 취한다.

  • PDF

I.B.R.D. 새마을사업차관(事業借款)에 의한 연료림조성(燃料林造成)의 경제분석(經濟分析)에 관한 연구(硏究) (Economic Analysis of the Fuel Forests Established by I.B.R.D. Saemaeul Project Loan)

  • 송병민;박태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9-14
    • /
    • 1983
  • 본(本) 연구(硏究)는 I.B.R.D. 차관(借款)에 의해 실시(實施)된 연료림조성사업(燃料林造成事業)으로 인하여 발생(發生)하는 편익(便益)과 비용(費用)을 비교(比較)함으로써 사업(事業)의 수익성(收益性) 또는 투자효율(投資效率)을 판정하여 경제성(經濟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되었다. 조사지역(調査地域)을 선정(選定)하여 조사(調査)한 자료(資料)와 그 외 관계자료(關係資料)를 이용(利用)하여 B/C율(率)과 IRR(내부투자수익율(內部投資收益率)방법(方法)에 적용(適用)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연료림(練料林)의 경제성(經濟性) 분석(分析)에 있어서 연료림(練料林)의 생산가액(生産價額)을 연탄가격(煉炭價格)으로 환산(換算)했을 때, B/C율(率)은 할인율(割引率) 6%에서 1.18, IRR은 12.2%로 수익성(收益性)이 있는 것으로 평가(評價)되었다. 2) 농촌임금(農村賃金)의 년평균(年平均) 27% 상승요인(上昇要因)에 의한 감응도분석(感應度分析)에 있어서 B/C율(率)은 1.07, IRR은 9.2%로 낮은 수익성(收益性)이 있는 것으로 평가(評價)되었다. 3) 연탄가격(煉炭價格)의 년평균(年平均) 26% 상승요인(上昇要因)에 의한 감응도분석(感應度分析)에 있어서 B/C율(率)은 1.34, IRR은 15.7%로 높은 수익성(收益性)이 있는 것으로 평가(評價)되었다. 4) 연료림조성사업(練料林造成事業)의 간접효과(間接效果)를 가산(加算)하면 경제적(經濟的) 효과(效果)는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 PDF

옥천대(沃川帶)의 지질(地質) 및 광물자원(鑛物資源)에 관(關)한 연구(硏究) -무암사화강암(務岩寺花崗岩) 주위에서의 광화작용(鑛化作用)에 관(關)하여- (Studies on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of the Okcheon Belts -Mineralization in the Vicinity of the Muamsa Granite Stock-)

  • 윤석규;김규한;우종상
    • 자원환경지질
    • /
    • 제19권spc호
    • /
    • pp.3-17
    • /
    • 1986
  • Hundred mineral deposits including W-Mo, Pb-Zn-Cu, fluorite and talc occur in the Cambre-Ordovician limestone contacting with the Cretaceous Muamsa and Wolak granitoids in the Susanri-Hwanggangri mineralized zone. In most mineral deposits characterized by metasomatic replacement, skarn and hydrothermal vein types, two distinct tendencies were found as W-Mo mineralization in or/and near granitoid batholith and ($Pb-Zn-Cu(CaF_2)$) mineralization which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batholith. W-Mo veins of extensive vein system occupy northly striking fractures whilst $Pb-Zn-Cu-CaF_2$ veins strike northeast or northwest. In this work, three representative lead-zinc-copper deposits choosing the Dangdu, Useog and Eoksu mines were dealt with in detail. Skarn ore bodies in the Dangdu mine were grouped into early diopside rich clinopyoxene-garnet, barren skarn and ore bearing late hedenbergite rich clinopyroxene-garnet skarn. Temperature and $X_{CO_2}$, obtained from hedenbergite-andradite-calcite-quartz mineral equilibria in the Dangdu ore deposits were $580{\sim}650^{\circ}C$ and 0.15~0.3, respectively. Fluid inclusien evidence in the Useog mine indicates that main stage mineralization temperature ranges from 224 to $389^{\circ}C$ with a salinity of 2~17 equivalent wt. percent NaCl. Sphalerites from the Dangdu and Useog mines have 16~17.7 mole percent in FeS which is relatively consistent to those of some other lend-zinc ore deposits in South Korea. Filling tcmjCerature of fluid inclusion frem the Eoksu mine shows deposition of ore within the temperature ranges from 237 to $347^{\circ}C$ and within the salinity ranges from 2.6 to 10.77 equivalent wt. percent NaCl.

  • PDF

첨가제(添加劑) 알칼리 법(法)에 의한 일본 잎갈 나무의 펄프화(化)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ulping Characteristics of Larchwood (Larix leptolepis Gordon) by Alkaline Process with Additives)

  • 임기표;신동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3-30
    • /
    • 1979
  • 우리나라에서는 일본잎갈나무가 대량(大量) 조림(造林)되어 축적(蓄積)과 생장량(生長量)으로 보아 주요(主要)한 조림(造林) 수종(樹種)이나 각종(各種) 추출물(抽出物)과 활성(活性) phenol 성분(成分)이 많고 심재율(心材率)이 높아 펄프화(化)에서 수율저하(收率低下)와 표백곤란(漂白困難)이 초래(招來)되어 펄프원료(原料)로서의 이용(利用)이 기피(忌避)되고 있다. 따라서 일본잎갈나무의 화학(化學)펄프 원료화(原料化)의 제고(提高)로서 펄프수율(收率) 향상(向上)과 표백성(漂白性) 개선(改善)을 위하여 셀룰로오스보호제를 첨가(添加)한 소다펄프화(化)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였다. 증해(蒸解)는 최고온도(最高溫度) 170$^{\circ}C$까지 90분간(分間) 가열(加熱)하고 90분간(分間) 유지(維持)하는 일정조건(一定條件)으로 황화도(黃化度) 25%, 활성(活性)알칼리 18%의 크라프트법(法)으로 일본잎갈나무의 수령별(樹齡別) 펄프화(化)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고, 18%활성(活性) 알칼리의 소다증해(蒸解)에 첨가제로 2.5% $MgSO_4$, 2.5% $ZnSO_4$, 2.5% $Al_2(SO_4)_3$, 2.5% KI, 2.5% hydroquinone, 2.5% ethylene diamine 또는 0.1~1.0% anthraquinone를 가(加)하여 15년생(年生) 일본잎갈나무의 변재(邊材)와 심재별(心材別) 소다펄프화(化)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한 후(後), 0.5% anthraquinone과 18% 활성(活性)알칼리로 증해(蒸解)된 펄프를 3%, 6%, 9% NaOH를 투입(投入)한 30%의 고농도(高農度)펄프를 상압(常壓) 산소표백(酸素漂白)하고, 이산화염소(二酸化鹽素)의 DED로 계속표백(繼續漂白)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일본잎갈나무의 수령별(樹齡別) 크라프트펄프는 수령간(樹齡間)에 펄프의 정선수율(精選收率)은 차(差)가 없으나, 수령(樹齡)이 증가함에 따라 펄프의 총수율(總收率)은 감소(減少)하고 비인열도(比引裂度)는 증가하였으며, 목재(木材)의 심재율(心材率), 용적밀도(容積密度) 수(數), 섬유장(纖維長) 및 온수추출물(溫水抽出物)도 증가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2. 일본잎갈나무의 변재(邊材)와 심재별(心材別) 소다증해(蒸解)에 셀룰로오스 보호제로 첨가(添加)된 7종(種)의 첨가제들은 변재(邊材)와 심재(心材)펄프화(化)에 대한 영향(影響)이 대체로 소다법(法)보다 증가되었으나 크라프트법(法)에 미치지 못하고, 크라프트펄프법(法)에 가까운 첨가제는 펄프수율(收率)에서 KI $MgSO_4$, anthraquinone이며, 특(特)히 다른 첨가제의 25분(分) 1이 첨가(添加)된 anthraquinone은 펄프의 정선수율(精選收率)과 KappaNo. 및 비파열도(比破裂度)에서 다른 첨가제보다 효과적이었다. 3. anthraquinone첨가량(添加量)에 따른 변재(邊材)와 심재별(心材別) 소다펄프의 품질(品質)은 변재(邊材)와 심재(心材) 모두 첨가량(添加量)이 많을수록 탈(脫)리그닌도(度)와 펄프수율(收率)이 높으나 활성(活性)알칼리가 낮으면 정선수율(精選收率)도 낮았으며 활성(活性)알칼리 17%의 소다 증해액(蒸解液)에 0.5% anthraquinone을 첨가(添加)한 조건(條件)에서는 크라프트펄프보다 비교적(比較的) 양호(良好)한 펄프가 얻어졌다. 4. 일반화(一般化)된 CEDED표백중(漂白中) 염소화(鹽素化)와 알칼리 추출단계(抽出段階) 대신(代身)에 30%의 고농도(高濃度)펄프에 상압(常壓) 산소표백(酸素漂白)한 ODED표백(漂白)은 산소단계(酸素段階)에서 변재(邊材)와 심재(心材)펄프 모두 NaOH투입량(投入量)이 증가될수록 백색도(白色度)와 비인열도(比引裂度)가 향상(向上)되나 펄프수율(收率)과 Kapa No.는 감소(減少)되었으며, NaOH 투입량(投入量)이 높을수록 펄프품질(品質)은 CEDED 표백(漂白)과 유사(類似)하나 펄프수율(收率)이 떨어졌다. 5. 따라서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펄프수율(收率) 향상(向上)을 위해서는 원료(原料)에서 심재율(心材率)이 낮은 수령(樹齡)의 경우가 펄프재(材)로 적당(適當)하고, 0.5% anthraquinone을 첨가(添加)한 활성(活性)알카리 18%의 소다증해(蒸解)하는 것이 적당(適當)하며 폐수중(廢水中)의 염소화합물(鹽素化合物)을 감소(減少)시키기 위하여서는 펄프농도(濃度) 30%이상(以上)의 고농도(高濃度)에서 상압(常壓) 산소(酸素)로 표백후(漂白後) 이산화(二酸化) 염소(鹽素)로 DED 표백(漂白)하면 일본잎갈나무의 크라프트법(法)보다 비교적(比較的) 우수(優秀)한 펄프를 얻을 수 있다.

  • PDF

발아온도에 따른 당근, 상추, 양파 및 파 종자의 Priming 효과 (Effect of Seed Priming of Carrot, Lettuce, Onion, and Welsh Onion Seeds as Affected by Germination Temperature)

  • 정연옥;김종철;조정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21-326
    • /
    • 2000
  • 발아온도를 $10^{\circ}C$에서 $5^{\circ}C$ 간격으로 $35^{\circ}C$까지 달리한 후 priming 종자의 발아율, T50 및 평균발아소요일수(MDG)를 조사하였다. 당근은 -0.50MPa PEG 8000에서 priming한 종자가 무처리에 비하여 $10^{\circ}C$$35^{\circ}C$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며 T50 및 MDG는 모든 발아온도에서 단축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PEG에 100mM $K_3PO_4$ 혼용 priming시 PEG 단용 priming에 비하여 발아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상추의 무처리는 $30^{\circ}C$$10^{\circ}C$에서 단지 2%만 발아 되었으나 50mM $K_3PO_4$에 priming한 종자는 $30^{\circ}C$$35^{\circ}C$에서 각각 40%와 21%로 발아율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K_3PO_4$ 단용 priming에 비하여 $K_3PO_4$에 200mM $KH_2PO_4$ 혼용 priming시 발아율은 낮았지만 T50 및 MDG는 더 단축되었다. 양파는 200mM $KH_2PO_4$, 파는 100mM $Ca(NO_3)_2$에서 priming시 $10^{\circ}C$$35^{\circ}C$에서 발아율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양파는 $KH_2PO_4$ 단용 priming보다 100mM $Ca(NO_3)_2$ 혼용priming, 파는 $Ca(NO_3)_2$ 단용 priming보다 100mM $KH_2PO_4$ 혼용 priming시 발아율은 향상시키지 못하였으나 T50 및 MDG 단축에는 더 효과적이었다.

  • PDF

부산지역 생선횟집을 중심으로 생선 매운탕 소비실태 및 최적 조리법 확립 (A Study on Preference to Korean Spicy Fish Soups by Questionnaire Methods in Busan and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Recipe)

  • 김정선;조영제;이남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2호
    • /
    • pp.150-163
    • /
    • 2006
  • 1. 생선매운탕 소비실태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3%가 생선회 먹은 후 식사로 먹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횟집에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선 매운탕의 맛은 집집마다 다르다고 응답하였으며, 얼큰한 맛을 응답자의 56%가 원하고 있었으며, 감칠맛과 시원한 맛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선 매운탕의 표준 조리법의 개발의 필요성을 응답자의 89%가 인식하고 있었다. 2. 맛의 평가를 100점으로 가정할 때, 생선 매운탕 C는 $80.9{\pm}15.9$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D, B의 생선 매운탕은 각각 $75.7{\pm}17.1$, $75.7{\pm}17.2$로 나타났으며, 생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A가 $61.8{\pm}22.8$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시원한 맛의 정도는 야채(콩나물, 양배추, 양파) 육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D 가 가장 시원한 맛이 좋다고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생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A, 멸치+다시마 육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B, 생선뼈+머리 육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C 순서로 시원한 맛이 가장 좋다고 응답한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39명, 13.73%). 감칠맛을 느끼는 순서는 연령과 성별에 상관없이 모두 CBDA 순(134명, 47.2%)이 가장 많은 응답을 나타났다. 보편적으로 맛이 좋다고 느끼는 순서도 감칠맛 과 마찬가지로 CBDA순(109명, 37.2%)으로 나타났다. 3. 영양성분분석결과는 각 조리법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기호적인 측면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받은 생선 매운탕 C 즉, 머리뼈 등의 잡뼈를 이용하여 육수를 만들고 매운탕으로 조리하는 조리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