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usability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6초

Internet Protocol TV 환경에서 효율적인 웹 탐색기법의 사용성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Usability of Semantic Zooming Methods for Efficient Web Browsing on Internet Protocol TV)

  • 홍지영;채행석;조운정;정대현;김종완;김성은;이혜정;한광희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5-26
    • /
    • 2008
  • Recently, Internet Protocol TV technology has a latent power for searching information by using internet-connected interactive TV media. It is hard to browse and search web site conveniently since the visual and input devices are not sufficient for navigating through the websites. Zoomable user interface is a possible solution that may reduce users' task load and improve their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made three types of web browsers as scroll, physical zooming and semantic zooming type. Fifteen participants asked to do searching tasks and their task time, accuracy and subjective responses are recorded. In the result, though scroll type is evaluated more efficient than other types in task time and accuracy since participants are familiar with scroll type interface, semantic zooming type is highly rated in subjective responses such as perceived searching efficiency, satisfaction and joyfulness. This result implied semantic zooming is a possible solution which is improving user experience of searching websites using Internet Protocol TV.

금융 서비스 챗봇의 인터렉션 유형별 UX 평가 (UX Evaluation of Financial Service Chatbot Interactions)

  • 조국애;윤재영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1-69
    • /
    • 2019
  • 최근 새로운 ICT 흐름으로 부상하고 있는 챗봇은 금융분야에서 활발한 도입이 되고 있다. 챗봇은 사용자와 대화의 인터렉션을 통해서 서비스를 수행한다. 본 연구는 금융 서비스 챗봇의 인터렉션 대화유형이 사용자의 유용성, 사용성, 감성, 보안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챗봇의 구현방식에 기반한 대화방식에 따라 닫힌대화, 열린대화, 혼합대화 유형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3 가지 유형의 금융 챗봇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고, 실험자들은 계좌조회, 계좌이체, Q&A 의 금융 테스크 수행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연구분석 결과 챗봇의 인터렉션 대화 유형은 유용성,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들은 닫힌대화와 혼합대화의 인터렉션이 금융 서비스를 오조작없이 쉽게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써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의 감성적인 요소와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기능적인 요소를 모두 고려해야 하는 금융 챗봇 사용자들의 심층적인 이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중국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택시 앱 이용실태, 가치속성에 대한 지각과 만족도 (The Smart Phone Taxi Application Using State, Valu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mong Chinese Consumers)

  • 양진;왕다운;최혜경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1호
    • /
    • pp.141-159
    • /
    • 2018
  • 본 연구는 중국 상하이 시에 거주하거나 출퇴근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스마트폰 택시앱의 가치속성에 대한 지각, 만족도 및 택시 앱 사용빈도 등의 영향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총 306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택시 앱 이용실태 조사 결과, 대상자들 중 가장 많은 수가 택시 앱을 이용한지 1년 이상이라고 응답하였으며, 1주일에 1~2번이용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의 연령, 학력에 따라 택시 앱 이용실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은 스마트폰 택시 앱의 가치속성 중 용이성 지각을 5점 척도 중 4.41점으로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반대로 위험성 지각은 3.34점으로 가장 낮게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택시 앱 이용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택시 앱 가치 지각 변수들이 택시 앱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품질, 유용성, 시스템 활용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시스템 활용성과 유용성 지각이 미치는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호흡 측정 기능의 스마트 의류를 위한 기초 디자인 연구 (A Study of the Basic Design for Smart Clothing based on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 조하경;민세동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415-424
    • /
    • 2012
  • 1990년대 이후 웰빙 라이프스타일의 도입 및 인구 고령화 사회의 진입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지속적으로 측정가능한 생체 신호 센싱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지속적으로 호흡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비자 수요에 기반한 스마트 의류적용을 위한 호흡 측정 시스템의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압전의 원리를 이용하여 호흡시 인체의 체표면이 변화하면서 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호흡을 측정하는, 전도성 섬유기반의 전기용량성 섬유 압력 센서(Textile Capacitive Pressure Sensor, TCPS)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센서의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Nasal로부터 측정된 호흡율과 TCPS를 통해 측정된 호흡율간의 상관계수는 r=0.9553 (p< 0.0001)로 TCPS의 신호 측정 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사용성 및 착용성 평가의 결과 인지적 변화, 착용성, 운동성, 관리의 용이성 및 유용성에서 모두 만족한다 정도의 평가 결과를 가져와 본 연구에서 개발된 TCPS의 착용성 및 의류 적합성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TCPS의 의류 적합 위치 평가 결과는 복부 부위에서 신호의 안정감을 갖으며, 착용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호흡 측정 기능의 스마트 의류 개발을 위한 기초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 PDF

시각 예제에 의한 질의: 시각정보 검색지원을 위한 이미지 질의 패러다임의 유용성 비교 연구 (Query by Visual Example: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icacy of Image Query Paradigms in Supporting Visual Information Retrieval)

  • 콜린 벤터스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3호
    • /
    • pp.71-94
    • /
    • 2011
  • 시각적 실례에 의한 질의는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환경에서 질의 표현을 위한 중요한 질의 패러다임이다. 이미지 및 스케치에 의한 질의는 질의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오랫동안 알려졌다. 하지만 이 방법이 질의를 쉽게 작성하는 데 얼마나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효율성에 대한 실험적 입증은 아직 미미하다. 정보검색시스템에 표현하는 탐색자의 능력은 검색과정의 기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탐색자의 정보 문제와 효율적이고도 효과적인 시각적 질의 작성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질의 방법들 간의 지식 격차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정보 요구를 지원하는 데 있어서 유용성 실험을 통해 이미지에 의한 질의와 스케치방법에 의한 질의 조사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이미지에 의한 질의가 시각적 질의 작성에 실행 가능한 접근방식임을 제시한다. 반면에, 본 연구결과를 통해 탐색자의 정보 문제와 시각적인 질의 작성에 도움을 주는 스케치 패러다임에 의한 질의표현 능력 간에 상당한 불일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효율(시간)과 유효성(오류)에 초점을 둔 유용성 실험결과와 이용자의 만족도는 큰 차이점이 있다고 보여준다(p<0.001). 이는 다음 세 가지 측정(시간, 오류, 이용자의 만족도)에 대한 두 가지 질의 방식(이미지에 의한 질의, 스케치에 의한 질의) 사이에서 나타난 시간(Z=-3.597, p<0.001), 오류(Z=-3.317, p<0.001), 그리고 만족도(Z=-10.223, p<0.001)에서 드러난다. 본 연구결과는 또한 질의도구를 참가자가 인지하는 유용성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Z=-4.672, p<0.001).

조작 방식에 따른 음성과 소리 피드백의 할당 방법 가전제품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An Arrangement Method of Voice and Sound Feedback According to the Operation : For Interaction of Domestic Appliance)

  • 홍은지;황해정;강연아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5-22
    • /
    • 2016
  • 가전제품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 터치스크린 등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기기 역시 사운드, 음성, 시각적 신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조작 방식에 따른 피드백 방식을 배정하는 원칙이나 기준이 없어 각 브랜드, 기기 별로 임의로 배정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가전제품을 음성 명령을 통해 조작할 때와 버튼으로 조작할 때 가전제품에서 주어지는 피드백의 방식으로 음성, 소리 중 어떤 방식이 적절한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조작 방식(음성 인식, 버튼), 피드백 방식(음성 안내, 소리)의 조합으로 구성 된 총 4가지($2{\times}2$) 셀을 갖는 요인 설계 실험을 진행하였고, 조작 방식과 피드백 방식의 조합에 따라 피 실험자가 느끼는 사용성, 만족도, 선호도, 적합도가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전제품을 음성 인식으로 조작 하는 것이 사용 용이성, 조작 만족도가 높았다. 하지만 버튼으로 조작 했을 때는 피드백 방식의 종류에 따라 사용 용이성, 조작 만족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작 방식과 피드백 방식의 상호작용 효과가 검정되었다. 조작 방식, 피드백 방식의 조합이 가전에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피드백 방식의 주효과가 검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음성 인식으로 조작 할 때는 피드백이 소리(earcons)로 제시되는 것이 만족도가 높았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검정 되는 정도는 아니었으며, 버튼을 조작 할 때는 피드백이 음성 안내로 제시되는 것이 만족도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검정 되었다. 또한 가전에 어떠한 조작 방법이나 피드백 방법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피드백 방법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강현실기반의 패션제품 어플리케이션 특성요인과 사용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Augmented Reality-based Fashion Product Application on Intention to Use)

  • 김혜경;박지혜;김용석;최정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9-102
    • /
    • 2020
  • With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grated into the industry as a whole, digital transformation (DT) is becoming an innovative and essential element of corporate survival in the fashion industr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paradigm shift in shopping will become an unavoidable reality, especially based on the A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were presented separately as perceived realism, interaction, pleasure, and usability, and the influence of augmented reality by immersion parameters on the user's satisfaction and intend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usag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nd the available 209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ile immersion has the greatest effect on satisfaction, the effect on use intention has a stronger effect on satisfaction than immersion. This indicates that purchase occurs when the user's immersion leads to satisfaction, and when the satisfaction falls, the intention to use is also lowered. Second, interactivity, enjoyment, and ease of use amo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fashion applica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immersion. Among them, ease of use had a strong effect on immersion. In light of this, it can be seen that ease of use should be considered first when creating an applic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the future fashion industry. However, the perceived reality is low in the degree of immersion, and the effect on satisfaction is also lowered, so it is difficult to be connected to intention. Considering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irect experience through video viewing, this study expects the development of research through a more practical research model in the future, as the impact is considered to be a relatively low measurement.

간호사의 병원정보시스템(HIS) 만족도 영향요인 -지각된 HIS 품질과 개인 및 조직특성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Hospital Nurses' Satisfaction on Hospital Information System(HIS): Focused on Perceived HIS Quality,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 유영미;유일;김소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38-449
    • /
    • 2013
  •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조직적, 시스템 요인이 간호사들의 병원정보시스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병원정보시스템 성과를 평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제공된 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고, 업무의 효율성과 시스템 만족에 보다 나은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시스템 요인 중에서는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요인이 병원정보시스템 성과인 사용자 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적인 요인인 컴퓨터 자기효능감, IT혁신성, IT활용능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조직적 요인에서의 최고경영층의 지원과 관리자의 관여도 역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가 인지하는 지역환경의 고령친화정도 - 일본 나가사키 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 (The Degree of Age-Friendliness of Living Environments Perceived by the Aged - Focu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Nagasaki Area in Japan -)

  • 김수영;배용준;오찬옥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99-211
    • /
    • 2016
  • 본 연구는 일본 나가사키시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자가 거주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어느 정도 고령친화적이라고 인지하고 있으며 이는 고령자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일본 나가사키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고령자 96명이었으며 조사내용은 고령자와 관련된 근린생활시설의 위치와, 보행로, 교통, 노인공동주택의 제공정도, 주택 내부공간, 주택 내부공간의 휠체어 사용편리성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된 지역환경의 고령친화도이다. 자료수집은 일대일 면접조사방법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고령자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부분의 근린생활시설들이 도보거리 내에 있거나 버스로 10분 이내의 비교적 가까운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었다. 둘째, 지역환경의 5개 영역 중 교통환경과 주택 내부공간, 보행로 영역은 전반적으로 고령친화적으로 되어 있는 반면 노인주택의 제공정도와 주택 내부공간의 휠체어 사용편리성은 다소 미흡하였다. 셋째, 조사대상 고령자의 특성 중 성별과 학력에 따라서는 지역환경의 고령친화도에 대한 인지가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모바일 인터넷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Research on Important Factors of Mobile Internet Usage)

  • 김호영;김진우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2권3호
    • /
    • pp.89-113
    • /
    • 2002
  • As Mobile Internet users grow rapidly, Mobile Internet Companies will be in a fierce race to catch a new customer. In this situation, companies want to identify of what factors make peoples use Mobile Internet in order to develop the effective Mobile Internet services and to supply the higher service quality. However, prior researches on Mobile Internet focused on technical area such as higher data delivery, efficient compression of images, so they do not have given companies beneficial materials for making fascinating Mobile Internet service. To offer the service development materials, this research investigated important factors to use Mobile Internet from the viewpoint of customer. Moreover, the study was progressed how much these factors influenced Mobile Internet actual usage. After being surveyed service adopting model and significant factors in Marketing and in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was suggested Mobile Internet Adopting Model reflected in Mobile Internet characteristics. To collect the effective data, Internet survey had been done for two weeks. The respondents were identified if they were real Mobile Internet users and how much they had used Mobile Internet for a month. The results were that important factors of Mobile Internet usage were Usefulness, Usability, System Quality and Instant Connectivity. Perceived Value of Mobile Internet influenced Mobile Internet Behavioral Intention significantly and Behavioral Inten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obile Intent usage by results. This paper concludes with discussion of thes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for researcher and Mobile Internet company managers.